목차
Ⅰ. 들어가며
Ⅱ. 형태지각에 관한 이론들
ㄱ. 형태주의 접근.....(Gestalt Approach)
ㄴ. 구성주의 접근
1. 형판맞추기(template matching) 모형
2 .세부특징 분석(feature analysis)모형
3. 성분재인 이론(Recognition-By-Components:RBC)
4. 계산이론(computational theory)
A. 초벌 스케치
B. 2½차원 스케치
C. 3차원 모형 표상
5. 공간주파수 분석 접근(spatial frequency analysis approach)
Ⅲ. 맺으며
참고문헌
Ⅱ. 형태지각에 관한 이론들
ㄱ. 형태주의 접근.....(Gestalt Approach)
ㄴ. 구성주의 접근
1. 형판맞추기(template matching) 모형
2 .세부특징 분석(feature analysis)모형
3. 성분재인 이론(Recognition-By-Components:RBC)
4. 계산이론(computational theory)
A. 초벌 스케치
B. 2½차원 스케치
C. 3차원 모형 표상
5. 공간주파수 분석 접근(spatial frequency analysis approach)
Ⅲ. 맺으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점을 지닌다.
첫째로, 영상을 공간주파수에 따라 처리하는 것은 수학적으로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을 가능하게 한다. 푸리에 변환은 18세기 프랑스의 학자 푸리에가 제안한 원리로서 어떠한 복잡한 함수도 제한된 수의 단순한 함수들(예: 정현파 함수=sine wave fuction)의 선형조합(linear combination)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푸리에 변환을 통해서 망막상에 맺힌 상을 단순한 정보로 변환하고, 또 어떤 지점에 이르러서 역푸리에 변환을 통해서 정보의 복원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런 분석과 합성의 장점은 한 정보처리체계로부터 다른 정보처리체계로 정보를 전달할 때
정보의 손실 없이 잡음(noise)을 제거하고 순수한 신호만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데 있다. 그러므로 이를 이용하면 매우 복잡한 시지각 과정을 몇 개의 간단한 용어와 수식들로 충실하게 기술할 수 있는 과학적 단순성이 보장된다.
둘째로, 시각기관 내에 자극의 세부특징에 따라 각기 달리 반응하는 다양한 종류의 처리기들을 가정하지 않아도 된다. 국소특징을 재인과정의 최초 입력값으로 규정한 전통적인 시각이론들에서는 종류의 세부특징들에 선별적으로 반응하는 여러 규모의 탐지기들이 필요했었지만, 한가지 원리에 따라 정보처리 과정을 설명하는 공간주파수 분석에서는 그런 것들을 가정할 필요가 없다.
신경정보 사용의 효율성과 이론의 단순성을 지닌 반면에 이 접근 방법의 한계점 역시 존재한다.
첫째로, 가장 중요한 시각의 목적이 무엇이냐에 대한 명확한 해답을 주지 못한다는 것이다. 시각의 목적은 많은 정보 중에서 필요한 정보만을 추출하는 것이라 볼 수 있는데 공간주파수 분석에서처럼 단순히 정보의 선별이 아닌 정확한 전달만을 위한 변환이란 신경자원의 낭비밖에 되지 않는다.
둘째로, 수많은 신경생리학적 연구들로부터 알려진 각 세부특징들에 반응하는 신경세포(예: 방위선별세포, 모서리 탐지기, 얼굴에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세포등)들의 기능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Ⅲ. 맺으며
대략적으로나마 여러 이론들을 통해 대상지각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각 이론들을 살펴보면서 앞에서도 말했듯이 대상의 지각이란 사실은 그리 단순한 것이 아니고 어느 한 이론만으로 설명될 수 없다는 것이 충분히 알았으리라 생각한다. 가장 큰 호응을 얻고 있는 Marr의 계산이론조차도 개념주도적 처리를 간과하였으니 말이다. 아직까지도 인간의 시지각에 관한 명쾌한 해답을 내놓지는 못했지만, 지금까지 꽤 여러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또 지금도 여러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21세기가 가기 전에는 우리 인간의 시지각에 관한 비밀을 밝혀내고 인간처럼 볼 수 있는 진짜 터미네이터를 볼 수 있기를 희망하며 글을 마친다.
참고문헌
E.Bruce Goldstin ,「Sensation&Perception」, Brooks/Cole, 1999.
이정모외 다수 공저,「인지심리학」, 학지사. 서울:1999.
이인식,「사람과 컴퓨터」, 까치글방. 서울:1992.
그 외 다수의 web site들
첫째로, 영상을 공간주파수에 따라 처리하는 것은 수학적으로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을 가능하게 한다. 푸리에 변환은 18세기 프랑스의 학자 푸리에가 제안한 원리로서 어떠한 복잡한 함수도 제한된 수의 단순한 함수들(예: 정현파 함수=sine wave fuction)의 선형조합(linear combination)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푸리에 변환을 통해서 망막상에 맺힌 상을 단순한 정보로 변환하고, 또 어떤 지점에 이르러서 역푸리에 변환을 통해서 정보의 복원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런 분석과 합성의 장점은 한 정보처리체계로부터 다른 정보처리체계로 정보를 전달할 때
정보의 손실 없이 잡음(noise)을 제거하고 순수한 신호만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데 있다. 그러므로 이를 이용하면 매우 복잡한 시지각 과정을 몇 개의 간단한 용어와 수식들로 충실하게 기술할 수 있는 과학적 단순성이 보장된다.
둘째로, 시각기관 내에 자극의 세부특징에 따라 각기 달리 반응하는 다양한 종류의 처리기들을 가정하지 않아도 된다. 국소특징을 재인과정의 최초 입력값으로 규정한 전통적인 시각이론들에서는 종류의 세부특징들에 선별적으로 반응하는 여러 규모의 탐지기들이 필요했었지만, 한가지 원리에 따라 정보처리 과정을 설명하는 공간주파수 분석에서는 그런 것들을 가정할 필요가 없다.
신경정보 사용의 효율성과 이론의 단순성을 지닌 반면에 이 접근 방법의 한계점 역시 존재한다.
첫째로, 가장 중요한 시각의 목적이 무엇이냐에 대한 명확한 해답을 주지 못한다는 것이다. 시각의 목적은 많은 정보 중에서 필요한 정보만을 추출하는 것이라 볼 수 있는데 공간주파수 분석에서처럼 단순히 정보의 선별이 아닌 정확한 전달만을 위한 변환이란 신경자원의 낭비밖에 되지 않는다.
둘째로, 수많은 신경생리학적 연구들로부터 알려진 각 세부특징들에 반응하는 신경세포(예: 방위선별세포, 모서리 탐지기, 얼굴에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세포등)들의 기능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Ⅲ. 맺으며
대략적으로나마 여러 이론들을 통해 대상지각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각 이론들을 살펴보면서 앞에서도 말했듯이 대상의 지각이란 사실은 그리 단순한 것이 아니고 어느 한 이론만으로 설명될 수 없다는 것이 충분히 알았으리라 생각한다. 가장 큰 호응을 얻고 있는 Marr의 계산이론조차도 개념주도적 처리를 간과하였으니 말이다. 아직까지도 인간의 시지각에 관한 명쾌한 해답을 내놓지는 못했지만, 지금까지 꽤 여러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또 지금도 여러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21세기가 가기 전에는 우리 인간의 시지각에 관한 비밀을 밝혀내고 인간처럼 볼 수 있는 진짜 터미네이터를 볼 수 있기를 희망하며 글을 마친다.
참고문헌
E.Bruce Goldstin ,「Sensation&Perception」, Brooks/Cole, 1999.
이정모외 다수 공저,「인지심리학」, 학지사. 서울:1999.
이인식,「사람과 컴퓨터」, 까치글방. 서울:1992.
그 외 다수의 web site들
추천자료
[심리학] 남녀의 인지적 차이와 정서적 차이
(사범대) 학습에 대한 인지주의적 접근 (형태심리학, 통찰설, 장이론, 형태이론 비교분석)
프로이드의 인간발달이론(성격발달이론), 융의 인간발달이론(분석심리학적성격이론), 에릭슨...
[발달심리학][프로이드][에릭슨][피아제]인간발달의 원리, 발달심리학의 출현, 발달심리학을 ...
심리학 이론별 치료과정 및 기법,정신역동이론 인지이론 행동주의이론 인본주의이론의 치료기법
성격심리이론정리 - 행동주의적, 인지주의,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적,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융...
교육심리학의 개념과 발달의 의미 및 발달이론-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프로이드의 성격발달...
경영학 소비자심리학) 내용 인지욕구에 따른 소비자 특징 및 광고 메시지 방안 수립
[인지][사회인지][상위인지][메타인지][초인지][사회][상위][메타][사고][심리학]사회인지, ...
[교육심리학 발표 피티티 & 핸드아웃]인지발달이론 -피아제와 비고츠키
[상담심리학]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인지상담이론을 비교.설명하고, 그...
임용 대비를 위한 인지주의 심리학 요약정리
상담심리학 공통)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지상담이론, 행동수정이론을 비교·설명한 후, 핵심...
[상담심리학]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인지상담이론을 비교·설명하고 그 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