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습득-학습 가설(The acquisition-learning hypothesis)
2. 모니터 가설(Monitor hypothesis)
3. 자연순서 가설(The natural order hypothesis)
4. 입력 가설(The input hypothesis)
5. 정의적 여과 가설(The affective filter hypothesis)
2. 모니터 가설(Monitor hypothesis)
3. 자연순서 가설(The natural order hypothesis)
4. 입력 가설(The input hypothesis)
5. 정의적 여과 가설(The affective filter hypothesis)
본문내용
정의적 여과 장치는 주어진 입력의 충분한 활용을 막는 정신적인 장애가 된다. 어린이에 비해 성인의 L2 능력 개발이 성공적이지 못한 이유는 정의적 여과가 높기 때문이다.
상술한 Krashen의 습득 가설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그림1)와 같다. 언어에 노출되었을 때 언어 입력이 이루어지면, 즉, 그 언어를 이해하면 그 언어는 언어 습득 장치에 의해 습득된 언어 능력이 되어 언어 출력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어너 입력을 정의적 여과막이 가로막을 수 있다. 따라서 정의적 여과막이 높게 형성되면 아무리 많이 언어에 노출된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언어 습득자에게 이해 가능한 입력이 되지 못하고 언어 습득과 연결될 수 없다.
한 편, 언어에 노출되었을 때 의식적인 언어 학습을 하게 되면 학습된 언어 능력을 얻게 된다. 이 학숩된 언어 능력은 의사소통에서는 사용되지 못하고 단지 습득된 언어 능력이 언어 출력을 할 때 출력 전, 후에서 감시자 역할을 할 뿐이다.
언어 노출
입력(음성, 문자) 학습
여과막( )
학습된 언어 능력
언어습득 장치
감시
습득된 언어 능력
언어출력
(음성, 문자)
<[그림 1] Krashen의 외국어 습득 / 학습 모형>
상술한 Krashen의 습득 가설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그림1)와 같다. 언어에 노출되었을 때 언어 입력이 이루어지면, 즉, 그 언어를 이해하면 그 언어는 언어 습득 장치에 의해 습득된 언어 능력이 되어 언어 출력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어너 입력을 정의적 여과막이 가로막을 수 있다. 따라서 정의적 여과막이 높게 형성되면 아무리 많이 언어에 노출된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언어 습득자에게 이해 가능한 입력이 되지 못하고 언어 습득과 연결될 수 없다.
한 편, 언어에 노출되었을 때 의식적인 언어 학습을 하게 되면 학습된 언어 능력을 얻게 된다. 이 학숩된 언어 능력은 의사소통에서는 사용되지 못하고 단지 습득된 언어 능력이 언어 출력을 할 때 출력 전, 후에서 감시자 역할을 할 뿐이다.
언어 노출
입력(음성, 문자) 학습
여과막( )
학습된 언어 능력
언어습득 장치
감시
습득된 언어 능력
언어출력
(음성, 문자)
<[그림 1] Krashen의 외국어 습득 / 학습 모형>
추천자료
청화식 교수법 (Audio-Lingual Method)
교수법에 대하여
교수법과 그를 활용한 수업지도안
국어과 직접교수법 설명자료
외국어 교수법
자연교수법(Natural Approach) - 교실수업의 적용 &#8228; 수업모형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수법 적용 모형 ‘공동체언어학습법’
「암시교수법」을 적용한 한국어 수업 지도안
암시교수법
청각구두식 교수법(Audiolingual Method)을 적용한 수업지도안
전신반응 교수법(Total Physical Response)을 적용한 수업지도안
직접교수법
<전신반응 교수법(TPR : Total Physical Response)을 적용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안>
다음 보기의 영유아를 위한 교수.학습 방법 주 하나를 택하여 자세히 설명하고 자신의 생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