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ashen의 감시자 모형에서 제시하는 5가지 가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Krashen의 감시자 모형에서 제시하는 5가지 가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습득-학습 가설(The acquisition-learning hypothesis)

2. 모니터 가설(Monitor hypothesis)

3. 자연순서 가설(The natural order hypothesis)

4. 입력 가설(The input hypothesis)

5. 정의적 여과 가설(The affective filter hypothesis)

본문내용

정의적 여과 장치는 주어진 입력의 충분한 활용을 막는 정신적인 장애가 된다. 어린이에 비해 성인의 L2 능력 개발이 성공적이지 못한 이유는 정의적 여과가 높기 때문이다.
상술한 Krashen의 습득 가설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그림1)와 같다. 언어에 노출되었을 때 언어 입력이 이루어지면, 즉, 그 언어를 이해하면 그 언어는 언어 습득 장치에 의해 습득된 언어 능력이 되어 언어 출력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어너 입력을 정의적 여과막이 가로막을 수 있다. 따라서 정의적 여과막이 높게 형성되면 아무리 많이 언어에 노출된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언어 습득자에게 이해 가능한 입력이 되지 못하고 언어 습득과 연결될 수 없다.
한 편, 언어에 노출되었을 때 의식적인 언어 학습을 하게 되면 학습된 언어 능력을 얻게 된다. 이 학숩된 언어 능력은 의사소통에서는 사용되지 못하고 단지 습득된 언어 능력이 언어 출력을 할 때 출력 전, 후에서 감시자 역할을 할 뿐이다.
언어 노출
입력(음성, 문자) 학습
여과막( )
학습된 언어 능력
언어습득 장치
감시
습득된 언어 능력
언어출력
(음성, 문자)
<[그림 1] Krashen의 외국어 습득 / 학습 모형>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09.14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25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