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1. 장애아동 생활시설에 대한 이해
1) 장애아동 생활시설의 개념 및 필요성
2) 장애아동 생활시설의 특성 및 운영의 원리
3) 장애아동 생활시설의 사회화
II. 본론.
1) 현 상황
2) 관련법, 제도.
3) 장애시설아동을 위한 서비스
4) 장애아동 생활시설의 문제점과 개선되어야할 상황
III. 결론.
1) 나아가야할 방향과 결론
2) 참고문헌
1. 장애아동 생활시설에 대한 이해
1) 장애아동 생활시설의 개념 및 필요성
2) 장애아동 생활시설의 특성 및 운영의 원리
3) 장애아동 생활시설의 사회화
II. 본론.
1) 현 상황
2) 관련법, 제도.
3) 장애시설아동을 위한 서비스
4) 장애아동 생활시설의 문제점과 개선되어야할 상황
III. 결론.
1) 나아가야할 방향과 결론
2)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다섯째, 지역사회와의 교류: 사회복지서비스는 복지대상자의 요청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서비스로서 그 과정에 복지대상자를 포함한 지역사회 주민의 참여와 복지대상자 중심의 서비스 성격을 가지게 될 때, 효과적인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시설의 설비 부족으로 인하여 시설보호가 필요한 장애인(아)에게 혜택을 주지 못하다고 하였으며, 지역사회와의 교류 및 호응도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시설들이 많았고, 자원봉사자의 역할이 단순노력 봉사가 많았다. 또한 후원회가 없는 시설들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대한 활성화 방안으로는 장애인생활시설의 궁극적인 목적은 장애인의 정상화와 사회통합에 있다. 이에 시설에 대한 지역사회관계 확대방안으로는 지역사회 자원 활용 부분과 시설운영에 있어서 활용 방법, 시설설비의 지역사회 개방부분 등이 있다.
또한 그룹홈(Group Home) 설치·운영은 시설장애인에게 있어 삶의 질 향상 및 사회통합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위해서는 시설운영자의 의식을 강화시켜야 할 것이며, 시설운영에 적합한 수의 직원을 확보하여야 한다. 또한 시설의 홍보활동을 강화해야 할 것이며, 시설의 설비를 보강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지역사회와의 관계 확립을 위해서는 정부의 각종 지원과 시설 운영자의 의식, 종사자의 의식, 지역주민의 참여 의식이 가장 중요하다.
여섯째, 복지 시설서비스의 확충: 생활시설 서비스의 공급확충이 필요하다. 생활시설의 확충 및 시설 현대화를 통하여 생활환경을 개선해야 한다.
또한, 소규모 미신고 시설의 제도권 유입 및 주간보호, 단기보호, 재가복지센터 등 기능을 부여해야한다.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권자 위주의 현행 입소자격을 완화하여 생활하고, 시설 서비스 대상층을 확대하여야 한다.
그리고 시설 평가시 예산집행의 효율성, 지역주민 및 거주자의 의견을 반영하고 우수시설에 대한 각종 혜택 부여하는 등 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한다.
마지막으로 상관관계를 통해서 시설운영에 많은 변인들이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먼저 시설 운영에 있어서 시설에 대한 지원시기가 적절할수록 시설과 관련된 제반 전달체계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하였는데 이것은 시설에 대한 획일적이고 수직 하향적인 지원체계가 아니라, 지역 및 시설의 특성과 관련된 효율적 지원체계에 대한 검토가 요구된다. 또한, 운영위원회의 운영여부는 지원시기, 전달체계, 정부 및 강원도지원금 만족도와 모두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시설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운영위원회의 중요성을 입증하는 것이라고 보여지며, 따라서, 효율적인 운영위원회 운영을 위한 지원 및 방안이 요구되어진다고 하겠다. 그리고 종사자의 업무환경에 있어서는 직원의 신분보장과 휴양제도, 의사소통과 의사결정체계 및 고충처리 절차, 의사결정체계와 고충처리 절차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종사자의 업무환경은 시설장애인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의 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종사자의 업무 효율성을 위한 다양한 지원이 요구된다. 즉, 운영규정 및 복리 후생이 잘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시설장애인에게 질 높은 서비스가 제공될 것이다.
그러므로 위에서 제시한 개선방안을 정부는 시설운영의 전문성과 투명성을 위해 제도 개선뿐만 아니라 인력과 예산지원에 있어 시대의 변천과 장애인들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노력하여야 하며, 이와 함께 장애인생활시설에서도 시설간 상호 선의적인 경쟁 하에 운영자 및 종사자는 장애인 중심의 사고와 개방적 사고, 발전적인 사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인사관리, 서비스 프로그램 개발, 민간후원자의 개발·관리, 전문인력의 확보, 시설의 사회화 등 시설 자체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영역에 관하여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처리 능력을 시설 스스로가 길러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더불어 국민들의 장애아동 문제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함께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시설운영자, 종사자, 지역주민 모두가 장애인복지 증진을 위한 협력체계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며, 장애아동의 정상화와 사회통합을 위해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 정상화라는 용어는 1950년 초반에 창립된 덴마크의 정신지체아동 부모회에서 처음으로 사용하게 된 것으로, 시설수용보호 중심의 서비스를 받는 정신지체 자녀에게 일반인과 같은 정상적인 생활을 보장해 주고 싶다는 생각에서 나온 개념이다. 이는 1981년 국제장애인의 해의 ‘완전참여와 평등’이라는 슬로건으로 잘 표현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전세계적으로 파급되었다.
정상화란 전체 사회구성원 가운데 어느 정도의 장애인이 있는 사회가 정상적인 것이고 이들의 장애를 수용함과 동시에 이들 장애인의 정상적인 생활을 위한 적절한 조건과 서비스를 주민과 정부가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정상적이라는 의미는 그 나라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종교적 제조건과 상황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정상화는 재활과 통합을 하위개념으로 하며, 정상화의 대상이 장애인에서 사회적 약자로 보편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정상화의 원리는 시설생활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주는 실천적 개념이다.
<참고문헌>
김미혜(1995), “사회복지수용시설의 운영 개선(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적 복지모형의 정립과 정책방향-단기정책연구(Ⅱ), pp.348~366.
박태영(1991), “사회복지시설 자원봉사활동의 문제점과 개선책”,
사회복지, 1991 가을, 통권 제110호.
박태영(1993), “신한국과 사회복지시설 관리자의 역할”,
한국장애인복지시설협회, 1993년도 전국장애인복지시설 관리자 연수회 자료집
박태영(1995a), "장애인복지시설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개발연구원,
서울사회복지개발연구, 제1권 제1호, pp19~31.
박태영(1995b), 社會福祉施設과 地域社會, 서울, 白山出版社.
박태영 외(1999), 장애인복지시설의 운영개선 실행방안 연구,
한국장애인복지시설 협회.
장애인 종합홈페이지 복지자료
조흥식 “장애인 생활시설의 새로운 패러다임: 개방화를 중심으로”
중앙보육정보센터 홈페이지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0)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다섯째, 지역사회와의 교류: 사회복지서비스는 복지대상자의 요청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서비스로서 그 과정에 복지대상자를 포함한 지역사회 주민의 참여와 복지대상자 중심의 서비스 성격을 가지게 될 때, 효과적인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시설의 설비 부족으로 인하여 시설보호가 필요한 장애인(아)에게 혜택을 주지 못하다고 하였으며, 지역사회와의 교류 및 호응도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시설들이 많았고, 자원봉사자의 역할이 단순노력 봉사가 많았다. 또한 후원회가 없는 시설들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대한 활성화 방안으로는 장애인생활시설의 궁극적인 목적은 장애인의 정상화와 사회통합에 있다. 이에 시설에 대한 지역사회관계 확대방안으로는 지역사회 자원 활용 부분과 시설운영에 있어서 활용 방법, 시설설비의 지역사회 개방부분 등이 있다.
또한 그룹홈(Group Home) 설치·운영은 시설장애인에게 있어 삶의 질 향상 및 사회통합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위해서는 시설운영자의 의식을 강화시켜야 할 것이며, 시설운영에 적합한 수의 직원을 확보하여야 한다. 또한 시설의 홍보활동을 강화해야 할 것이며, 시설의 설비를 보강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지역사회와의 관계 확립을 위해서는 정부의 각종 지원과 시설 운영자의 의식, 종사자의 의식, 지역주민의 참여 의식이 가장 중요하다.
여섯째, 복지 시설서비스의 확충: 생활시설 서비스의 공급확충이 필요하다. 생활시설의 확충 및 시설 현대화를 통하여 생활환경을 개선해야 한다.
또한, 소규모 미신고 시설의 제도권 유입 및 주간보호, 단기보호, 재가복지센터 등 기능을 부여해야한다.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권자 위주의 현행 입소자격을 완화하여 생활하고, 시설 서비스 대상층을 확대하여야 한다.
그리고 시설 평가시 예산집행의 효율성, 지역주민 및 거주자의 의견을 반영하고 우수시설에 대한 각종 혜택 부여하는 등 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한다.
마지막으로 상관관계를 통해서 시설운영에 많은 변인들이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먼저 시설 운영에 있어서 시설에 대한 지원시기가 적절할수록 시설과 관련된 제반 전달체계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하였는데 이것은 시설에 대한 획일적이고 수직 하향적인 지원체계가 아니라, 지역 및 시설의 특성과 관련된 효율적 지원체계에 대한 검토가 요구된다. 또한, 운영위원회의 운영여부는 지원시기, 전달체계, 정부 및 강원도지원금 만족도와 모두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시설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운영위원회의 중요성을 입증하는 것이라고 보여지며, 따라서, 효율적인 운영위원회 운영을 위한 지원 및 방안이 요구되어진다고 하겠다. 그리고 종사자의 업무환경에 있어서는 직원의 신분보장과 휴양제도, 의사소통과 의사결정체계 및 고충처리 절차, 의사결정체계와 고충처리 절차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종사자의 업무환경은 시설장애인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의 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종사자의 업무 효율성을 위한 다양한 지원이 요구된다. 즉, 운영규정 및 복리 후생이 잘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시설장애인에게 질 높은 서비스가 제공될 것이다.
그러므로 위에서 제시한 개선방안을 정부는 시설운영의 전문성과 투명성을 위해 제도 개선뿐만 아니라 인력과 예산지원에 있어 시대의 변천과 장애인들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노력하여야 하며, 이와 함께 장애인생활시설에서도 시설간 상호 선의적인 경쟁 하에 운영자 및 종사자는 장애인 중심의 사고와 개방적 사고, 발전적인 사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인사관리, 서비스 프로그램 개발, 민간후원자의 개발·관리, 전문인력의 확보, 시설의 사회화 등 시설 자체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영역에 관하여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처리 능력을 시설 스스로가 길러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더불어 국민들의 장애아동 문제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함께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시설운영자, 종사자, 지역주민 모두가 장애인복지 증진을 위한 협력체계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며, 장애아동의 정상화와 사회통합을 위해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 정상화라는 용어는 1950년 초반에 창립된 덴마크의 정신지체아동 부모회에서 처음으로 사용하게 된 것으로, 시설수용보호 중심의 서비스를 받는 정신지체 자녀에게 일반인과 같은 정상적인 생활을 보장해 주고 싶다는 생각에서 나온 개념이다. 이는 1981년 국제장애인의 해의 ‘완전참여와 평등’이라는 슬로건으로 잘 표현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전세계적으로 파급되었다.
정상화란 전체 사회구성원 가운데 어느 정도의 장애인이 있는 사회가 정상적인 것이고 이들의 장애를 수용함과 동시에 이들 장애인의 정상적인 생활을 위한 적절한 조건과 서비스를 주민과 정부가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정상적이라는 의미는 그 나라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종교적 제조건과 상황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정상화는 재활과 통합을 하위개념으로 하며, 정상화의 대상이 장애인에서 사회적 약자로 보편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정상화의 원리는 시설생활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주는 실천적 개념이다.
<참고문헌>
김미혜(1995), “사회복지수용시설의 운영 개선(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적 복지모형의 정립과 정책방향-단기정책연구(Ⅱ), pp.348~366.
박태영(1991), “사회복지시설 자원봉사활동의 문제점과 개선책”,
사회복지, 1991 가을, 통권 제110호.
박태영(1993), “신한국과 사회복지시설 관리자의 역할”,
한국장애인복지시설협회, 1993년도 전국장애인복지시설 관리자 연수회 자료집
박태영(1995a), "장애인복지시설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개발연구원,
서울사회복지개발연구, 제1권 제1호, pp19~31.
박태영(1995b), 社會福祉施設과 地域社會, 서울, 白山出版社.
박태영 외(1999), 장애인복지시설의 운영개선 실행방안 연구,
한국장애인복지시설 협회.
장애인 종합홈페이지 복지자료
조흥식 “장애인 생활시설의 새로운 패러다임: 개방화를 중심으로”
중앙보육정보센터 홈페이지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0)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추천자료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활성화 방안
[사회복지시설론] 정신장애인복지시설에 대한 고찰
장애인복지시설의 효율적 운영에 관하여
[장애인복지][장애인복지시설]장애인복지와 장애인복지시설의 특징, 현황과 문제점 및 향후 ...
장애인복지의 정의와 이념, 장애인복지의 특성, 장애인복지의 연혁과 현황, 장애인복지시설의...
장애아동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복지관계법, 문제점과 해결책 파워포인트 PPT자료 프리젠...
장애인편의시설(장애인복지론
장애인시설의 운영특성 : 정상화, 통합화, 개별화
[극장][극장공연예술][극장건축][극장광고][극장장애인편의시설][극장경영][극장산업][공연예...
[장애인복지론] 지역장애인복지시설 기관보고서 - 전주장애인종합복지관 (전주장애인종합복지...
장애인시설이 지역사회에 건립되려할 때마다 지역사회에서 반대하는 님비현상이 있는데 장애...
예를 들어 학생 자신이 사고 또는 질병으로 휠체어 장애인이 되었다고 가정할 때, 직장이나 ...
장애인복지(장애인복지정책방향, 장애인복지목적, 장애인복지종류, 장애인복지현황, 장애인복...
장애인복지정책과 서비스실천(소득보장정책 장애인 고용정책 장애인 교육정책 장애인복지시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