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대응 이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시작하는 말

Ⅱ. 스트레스-대응 이론
1. 대응의 개념
2. 스트레스-대응 과정
1) 인지적 평가
2) 대응 전략
3) 대응 과업
4) 대응 결과
3. 대응 자원
1) 내적 자원
(1) 성격
(2) 대응 양식
2) 외적 자원
(1)사회적지지
(2) 경제적 자원
(3)일상생활 속의 스트레스 사건
3) 생물학적 자원

Ⅲ. 맺으며...

※ 별 첨
1. 스트레스에 대한 일반적인 원칙들
2. 스트레스 대응 유형

본문내용

도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듯이 모든 일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도록 노력하면 스트레스라는 위기 상황을 기회로 바꿀 수 있을 것이다.
별 첨
1. 스트레스에 대한 일반적인 원칙들
1) 스트레스는 신체적인 문제일 수도, 심리적인 문제일 수도 있다. 스트레스는 감기나 추운 날씨에 노출되는 것, 잠을 잘 못 잔 것 등 신체적인 문제일 수도 있고, 혹은 남자/여자친구와 말다툼, 새로운 일을 시작한 것, 외로움과 같이 심리적인 원인일 수도 있다.
2) 신체적인 스트레스와 심리적인 스트레스는 서로 상호작용(Interaction) 관계에 있기 쉽다 예를 들어 충분한 잠을 더 자지 못한 다음날은 피곤하여 신경이 예민해지고 일을 하는 것이 더 힘들어 더욱 스트레스를 받기 마련이다. 혹은 어려운 일에 지나치게 심리적으로 부담감을 가져서 몸이 약해서 감기에 걸리고 어려움을 겪게 되어 더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도 있다.
3) 대개 스트레스에 대한 개개인의 반응은 상당히 주관적(Subjective)이다. 똑같은 일에 대해 어떤 사람은 그 일을 도전적으로 느끼고 즐기는 반면 다른 사람은 굉장히 부담감과 스트레스를 느끼기 쉽다. 이는 특히 각 사람이 그 일에 대해 어떻게 받아들이느냐(평가하느냐)에 따라 다를 것이다.
4)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은 복잡하고 다차원적이다. 스트레스는 개인의 감정, 신체상태, 우리의 생각패턴, 일 처리 능력 등에 따라 상당히 달라진다.
5) 스트레스는 더 심해지거나 누적되기도 한다. 스트레스를 제때 해결하지 않으면 마치 짐이 점점 쌓이듯이 누적된다. 이렇게 되면 한번의 스트레스를 해결하기는 쉽지만, 누적된 스트레스를 해결하기는 무거운 짐을 한꺼번에 나르는 것과 같이 힘겹게 되고, 심할 경우 스트레스에 압도되어 폭발하거나 일시적으로 아무 일도 할 수 없는 상태(breakdown)에 이르기도 한다. 따라서 스트레스는 그때그때 해결하고 쌓아두지 말자!!!
(참고문헌: W. Weiten,『Psychological applied to modern life』)
2. 스트레스 대응 유형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은 다음의 공통점이 있다.
1) 스트레스를 정복하는 사람들
(1) 문제해결에 낙천적이고 좌절에도 불구하고 사기가 높다
(2) 근본적 혹은 이상적인 해결책을 구하기 전에라도, 해결해야만 될 즉각적 문제와 장해물에 초점을 맞추어 행동한다. 큰 문제를 해결 가능한 작은 문제로 나누어 본다. 소위 실용주의자에 가깝다.
(3) 가능한 많은 전략과 전술 중에서 해결책을 선택하고 결코 배수진을 쓰지 않는다. 삼국지의 제갈공명 스타일이다.
(4) 가능성이 있는 다양한 결과를 생각해 보고 대응책을 세운다.
(5) 남의 제안에 개방적이고 융통성이 있다. 하지만 최종 결정권은 가진다. 내 자신의 문제이니 내가 나서겠다는 식이다.
(6) 판단력이 흐려질 수 있으므로 극단적인 감정을 피하려 노력하여 매우 침착하다.
2) 스트레스에 정복당하는 사람들
(1) 자신에 대한 기대가 과도하고, 경직된 시야를 가지고 있다. 판단의 기준에 융통성이 없고, 타협이나 남에게 도움을 구하는 것을 꺼린다.
(2) 어떤 상황에서는 마땅히 어떻게 행동해야 한다는 식으로 견해가 좁고 절대적이어서 관용적일 여지가 없다.
(3) 편견에 사로잡혀 있고, 그럴듯한 견해에 충동적으로 따르거나 매우 피암시성이 강하다
(4) 지나치게 부정을 하거나 합리화를 사용하고, 당면한 문제에 초점을 맞추지 못한다. 문제를 덮어두려고 하는 사람들이다. 손바닥으로 태양을 가리려 한다.
(5) 알맞은 대안(차선책)을 찾지 못하기 때문에, 수동적이고 스스로 행동을 시작하지 못한다. 우유부단하다.
"스트레스가 없는 사람은 죽은 사람이다."
참고문헌
ㆍ의료사회사업론. 한인영ㆍ최현미 공저. 학문사. 2000
ㆍ의료사회사업. 윤현숙ㆍ김연옥ㆍ황숙연. 나남출판. 2001
ㆍ심리학「재미있는 심리여행」박천식. 교육과학사. 2001
ㆍhttp://www.psylove.co.kr
ㆍhttp://www.psycheword.co.kr
ㆍhttp://www.dasan.sejong.ac.kr/~counsel/mental 03-01.htm
ㆍhttp://www.ks.ac.kr/~jpark/mind5.htm
ㆍhttp://chonnam.chonnam,ac.kr/~ychoi/STRES2.htm
ㆍhttp://home.wonjuit.hs.kr/hjkal/자료실/ 이론/ 이론자료실/스트레스.htm

추천자료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9.21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31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