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고대(고조선시대~통일신라)
1) 사회적 배경
2) 사상적 배경
3) 고대사회의 부조활동
★ 삼국시대 공통적으로 실시되었던 공공부조 사업
Ⅱ. 중세(고려시대~조선후기(1910))
1. 고려시대의 자선구제
2. 조선 시대의 자선구제
★ 향약, 계, 품앗이, 두레
1) 사회적 배경
2) 사상적 배경
3) 고대사회의 부조활동
★ 삼국시대 공통적으로 실시되었던 공공부조 사업
Ⅱ. 중세(고려시대~조선후기(1910))
1. 고려시대의 자선구제
2. 조선 시대의 자선구제
★ 향약, 계, 품앗이, 두레
본문내용
代)에까지 소급되는 공동행사의 하나로 상호부조라는 주된 목적 아래 취미 또는 생활양식의 공통분야에서 성립되는 것으로 공동유희 ·제례(祭禮) ·회음(會飮) 등이 성행하였다.
조합(組合) 또는 종친회(宗親會) ·사설금융기관의 성격을 띤 것으로, 친목 ·단결을 위한 계로서 종족일문(宗族一門)의 종계(宗契)인 종중계(宗中契) ·종약계(宗約契) ·문중계(門中契) 등이 있고, 동년자의 동갑계, 동갑의 노인의 친목을 위한 노인계(老人契), 동성자(同姓者)의 화수계(花樹契) 등이 있었다. 공제(共濟) ·구제(救濟)를 위한 계로서 혼상계, 제야(除夜)에 필요한 세찬계(歲饌契) ·위친계(爲親契) ·학계(學契) 등이 있었고, 인보단결(隣保團結)을 위한 계로서 동계(洞契) ·이갑계(里甲契), 계금의 운영에 의한 수입으로 세금을 납부하고자 하는 호포계, 군포(軍布)의 공동 납부를 목적으로 하는 군포계 등이 있었다. 특히, 농사를 위한 계로서는 둑의 축조 ·수리(水利)를 목적으로 한 제언계(堤堰契)를 비롯하여 소유 토지를 공동 경작하여 그 수확을 계원이 분배하는 농계(農契), 소의 공동사용을 목적으로 한 우계(牛契), 농구(農具)의 공동구입 ·공동사용을 목적으로 한 농구계 등이 성행하였다. 영리를 목적으로 한 식리계(殖利契) ·지계(紙契) ·금계(金契) ·삼계(蔘契) 등도 있었다.
6 ·25전쟁 후에는 도시중심으로 성행하여 서민금융을 지배하였으나, 유휴자본의 회전촉진 및 대부이자의 고율 등으로 인플레이션을 조장하였을 뿐만 아니라, 계 조직 운영의 무질서로 가정문제에서 사회문제로까지 일어나게 되었다.
이러한 사설계는 서민의 목돈 마련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종류도 번호계 ·낙찰계 등 다양하다. 그 밖에 친목을 목적으로 하는 각종 계가 성행하고 있어 계는 국민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 계를 시대별로 보면,
(1) 신라시대
여러 가지 형태의 계가 성립 발전하였으며, 그 예로서 여자들의 길쌈내기인 가배(嘉俳), 화랑들의 조직체인 향도(香徒) 등이 있었다. 또한, 궁중경제와 사원경제(寺院經濟)가 지배계급의 모든 활동의 중심을 이루던 이 시대에는 궁중에서 보(寶)라는 것을 조직 경영하였는데, 점찰보(占察寶) ·공덕보(功德寶) 등으로 기부 받은 금전, 공동 각출한 재원 및 기본자산인 토지 등을 운영하여 그 이익으로 사회사업이나 대부(貸付) 등을 하는 조직이었다.
(2) 고려시대
보는 있었으나, 어디까지나 이익 사회적 조직이어서 공동사회적인 계와는 성격이 다른 것이었다.
(3) 조선시대
계가 보를 닮는 등 비슷한 성격을 띠게 되었고, 그 종류로는, 학보(學寶) ·제위보(濟危寶) ·금종보(金鐘寶) ·팔관보(八關寶) ·광학보(廣學寶) ·경보(經寶) 등 종교상 ·경제상의 성격을 띤 것이었고, 사찰에 두었던 사설(私設) 금융기관인 장생고(長生庫)도 있었다. 계는 처음에 사교(社交)를 목적으로 하여 1165년(의종 19) 유자량(柳資諒)이 교계(交契:후에 敬老會)를 조직한 데서 비롯되었으며, 무신(武臣)의 난이 일어났던 의종 때에는 문무계(文武契) 등이 조직되어 문무간의 반목(反目)을 없애고 우호적인 교제를 하였으며, 동년자(同年者)끼리 동갑계(同甲契)를 만들어 친목을 도모하였다. 또한 계가 다방면에 이용되어 여러 가지 역할을 하고 그 조직과 목적에 따라 일정하지 않았으나, 모두 공동생활에 중요한 구실을 하였다. 조선 중기에 정여립(鄭汝立)의 대동계(大同契), 이몽학(李夢鶴)의 동갑계 등은 비밀결사를 위한 계였다.
조선 중기에도 친목과 공제(共濟)를 목적으로 한 종계(宗契) ·혼상계(婚喪契) 등으로 성황을 이루었는데, 점차 경제적인 곤란으로부터 벗어나려는 호포계(戶布契) ·농구계(農具契) 등이 성립하였다. 그리하여 농촌경제의 곤란을 공동의 노력으로 타개하기 위하여 상호부조의 계가 발달하고 공동작업을 위한 두레가 발달하였으며, 만성적으로 부족한 식량을 보충하기 위하여 구황작물(救荒作物)인 고구마 ·감자 등의 재배도 성행하였다.
3. 품앗이
(1)의미
일반적으로는 노동의 교환형식으로 이해되고 있으나, 그 원초적(原初的)인 의미는 '품[勞力]' '앗이[受]'에 대한 '품갚음[報]', 즉 증답(贈答)의 관계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단순한 노동의 교환형태라고 보기에는 품앗이는 상대방의 노동능력 평가에서 두레나 고지(雇只) 또는 머슴의 경우처럼 타산적인 것이 못 된다.
(2)근본적 가치관
사람과 농우(農牛)의 노동력 교환, 남성과 여성, 장년(壯年)과 소년의 노동력이 동등하게, 말하자면 인간의 노동력은 원칙적으로 모두가 대등하다는 가정(假定)하에 노동을 상호 제공하는 수가 많다.
(3)두레와의 비교
두레가 공동적 내지 공동체적인 것이라고 하면, 품앗이는 개인적 또는 소집단적이라는 인상이 짙다. 품앗이가 짜여지는 개인 혹은 소집단 상호간에는 그 선행조건으로서 상호부조의 의식과 의리(義理)라고 할 만한 정신적인 자세와 때로는 '처지가 서로 비슷한 경우라야 짜여질 수 있다'는 관념들이 바탕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결국 도움을 도움으로 갚아야 한다는 일종의 증답의례적 사고방식이 제도화된 것을 품앗이라 할 수 있다. 두레가 1년을 통해서 가장 바쁜 농번기, 특히 모내기시기에 이루어지는 데 반하여 품앗이는 소수인 사이에 시기와 계절을 가리지 않고 이루어지며, 작업의 종류도 농가에서 필요로 하는 모든 작업에 미치고 있다.
4. 두레
한국사회에서 힘든 노동을 함께 나누는 공동 노동 풍습으로 조선후기 이앙법이 전개되면서 보편적인 농민생활풍습으로 정착되었으며 농민문화의 풍물을 발전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두레는 소농경여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조직되었으므로 공동노동으로서의 진취성과 농민들의 자주적 성격이 매우 강한 긍정적인 조직이었으며 두레의 상부상조 전통은 아름다운 미풍양속으로 자리 잡았다.
<참고문헌>
한국사회복지사론(하상락, 1989)
사회복지역사와 철학(한세남 외 공저, 학지사, 2001)
사회복지발달사(권오구 저, 홍익재, 2001)
http://www.tgedu.net
한국대백과사전
http://www.aks.ac.kr(한국정신문화연구원)
조합(組合) 또는 종친회(宗親會) ·사설금융기관의 성격을 띤 것으로, 친목 ·단결을 위한 계로서 종족일문(宗族一門)의 종계(宗契)인 종중계(宗中契) ·종약계(宗約契) ·문중계(門中契) 등이 있고, 동년자의 동갑계, 동갑의 노인의 친목을 위한 노인계(老人契), 동성자(同姓者)의 화수계(花樹契) 등이 있었다. 공제(共濟) ·구제(救濟)를 위한 계로서 혼상계, 제야(除夜)에 필요한 세찬계(歲饌契) ·위친계(爲親契) ·학계(學契) 등이 있었고, 인보단결(隣保團結)을 위한 계로서 동계(洞契) ·이갑계(里甲契), 계금의 운영에 의한 수입으로 세금을 납부하고자 하는 호포계, 군포(軍布)의 공동 납부를 목적으로 하는 군포계 등이 있었다. 특히, 농사를 위한 계로서는 둑의 축조 ·수리(水利)를 목적으로 한 제언계(堤堰契)를 비롯하여 소유 토지를 공동 경작하여 그 수확을 계원이 분배하는 농계(農契), 소의 공동사용을 목적으로 한 우계(牛契), 농구(農具)의 공동구입 ·공동사용을 목적으로 한 농구계 등이 성행하였다. 영리를 목적으로 한 식리계(殖利契) ·지계(紙契) ·금계(金契) ·삼계(蔘契) 등도 있었다.
6 ·25전쟁 후에는 도시중심으로 성행하여 서민금융을 지배하였으나, 유휴자본의 회전촉진 및 대부이자의 고율 등으로 인플레이션을 조장하였을 뿐만 아니라, 계 조직 운영의 무질서로 가정문제에서 사회문제로까지 일어나게 되었다.
이러한 사설계는 서민의 목돈 마련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종류도 번호계 ·낙찰계 등 다양하다. 그 밖에 친목을 목적으로 하는 각종 계가 성행하고 있어 계는 국민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 계를 시대별로 보면,
(1) 신라시대
여러 가지 형태의 계가 성립 발전하였으며, 그 예로서 여자들의 길쌈내기인 가배(嘉俳), 화랑들의 조직체인 향도(香徒) 등이 있었다. 또한, 궁중경제와 사원경제(寺院經濟)가 지배계급의 모든 활동의 중심을 이루던 이 시대에는 궁중에서 보(寶)라는 것을 조직 경영하였는데, 점찰보(占察寶) ·공덕보(功德寶) 등으로 기부 받은 금전, 공동 각출한 재원 및 기본자산인 토지 등을 운영하여 그 이익으로 사회사업이나 대부(貸付) 등을 하는 조직이었다.
(2) 고려시대
보는 있었으나, 어디까지나 이익 사회적 조직이어서 공동사회적인 계와는 성격이 다른 것이었다.
(3) 조선시대
계가 보를 닮는 등 비슷한 성격을 띠게 되었고, 그 종류로는, 학보(學寶) ·제위보(濟危寶) ·금종보(金鐘寶) ·팔관보(八關寶) ·광학보(廣學寶) ·경보(經寶) 등 종교상 ·경제상의 성격을 띤 것이었고, 사찰에 두었던 사설(私設) 금융기관인 장생고(長生庫)도 있었다. 계는 처음에 사교(社交)를 목적으로 하여 1165년(의종 19) 유자량(柳資諒)이 교계(交契:후에 敬老會)를 조직한 데서 비롯되었으며, 무신(武臣)의 난이 일어났던 의종 때에는 문무계(文武契) 등이 조직되어 문무간의 반목(反目)을 없애고 우호적인 교제를 하였으며, 동년자(同年者)끼리 동갑계(同甲契)를 만들어 친목을 도모하였다. 또한 계가 다방면에 이용되어 여러 가지 역할을 하고 그 조직과 목적에 따라 일정하지 않았으나, 모두 공동생활에 중요한 구실을 하였다. 조선 중기에 정여립(鄭汝立)의 대동계(大同契), 이몽학(李夢鶴)의 동갑계 등은 비밀결사를 위한 계였다.
조선 중기에도 친목과 공제(共濟)를 목적으로 한 종계(宗契) ·혼상계(婚喪契) 등으로 성황을 이루었는데, 점차 경제적인 곤란으로부터 벗어나려는 호포계(戶布契) ·농구계(農具契) 등이 성립하였다. 그리하여 농촌경제의 곤란을 공동의 노력으로 타개하기 위하여 상호부조의 계가 발달하고 공동작업을 위한 두레가 발달하였으며, 만성적으로 부족한 식량을 보충하기 위하여 구황작물(救荒作物)인 고구마 ·감자 등의 재배도 성행하였다.
3. 품앗이
(1)의미
일반적으로는 노동의 교환형식으로 이해되고 있으나, 그 원초적(原初的)인 의미는 '품[勞力]' '앗이[受]'에 대한 '품갚음[報]', 즉 증답(贈答)의 관계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단순한 노동의 교환형태라고 보기에는 품앗이는 상대방의 노동능력 평가에서 두레나 고지(雇只) 또는 머슴의 경우처럼 타산적인 것이 못 된다.
(2)근본적 가치관
사람과 농우(農牛)의 노동력 교환, 남성과 여성, 장년(壯年)과 소년의 노동력이 동등하게, 말하자면 인간의 노동력은 원칙적으로 모두가 대등하다는 가정(假定)하에 노동을 상호 제공하는 수가 많다.
(3)두레와의 비교
두레가 공동적 내지 공동체적인 것이라고 하면, 품앗이는 개인적 또는 소집단적이라는 인상이 짙다. 품앗이가 짜여지는 개인 혹은 소집단 상호간에는 그 선행조건으로서 상호부조의 의식과 의리(義理)라고 할 만한 정신적인 자세와 때로는 '처지가 서로 비슷한 경우라야 짜여질 수 있다'는 관념들이 바탕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결국 도움을 도움으로 갚아야 한다는 일종의 증답의례적 사고방식이 제도화된 것을 품앗이라 할 수 있다. 두레가 1년을 통해서 가장 바쁜 농번기, 특히 모내기시기에 이루어지는 데 반하여 품앗이는 소수인 사이에 시기와 계절을 가리지 않고 이루어지며, 작업의 종류도 농가에서 필요로 하는 모든 작업에 미치고 있다.
4. 두레
한국사회에서 힘든 노동을 함께 나누는 공동 노동 풍습으로 조선후기 이앙법이 전개되면서 보편적인 농민생활풍습으로 정착되었으며 농민문화의 풍물을 발전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두레는 소농경여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조직되었으므로 공동노동으로서의 진취성과 농민들의 자주적 성격이 매우 강한 긍정적인 조직이었으며 두레의 상부상조 전통은 아름다운 미풍양속으로 자리 잡았다.
<참고문헌>
한국사회복지사론(하상락, 1989)
사회복지역사와 철학(한세남 외 공저, 학지사, 2001)
사회복지발달사(권오구 저, 홍익재, 2001)
http://www.tgedu.net
한국대백과사전
http://www.aks.ac.kr(한국정신문화연구원)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 사회보장제도의 발달과정과 현황,문제점 및 개선방안
한국의 사회복지발달사
사회복지동기 가치 이념
노인 복지
조선시대 인구와 토지
우리나라 사회복지발달배경
한국 중세문학 조선전기문학, 한국 중세문학 조선후기문학, 한국 중세문학 조선시대문학 야담...
[조선시대교육]조선시대교육의 교육사상가, 조선시대교육의 교육기관, 조선시대교육의 서원, ...
사회복지개론-우리나라 사회복지의 역사와 서양의 사회복지 역사에 대하여 비교해 보고 우리...
조선시대 상설구빈기관들의 특징과 역할에 대해 서술 - 상평창, 의창, 사창, 자휼전칙, 계, ...
우리나라의 사회복지 발달과정에 대해서 약술
교육제도 - 시대별 교육제도의 특징과 지향해야 할 바람직한 교육제도 ( 삼국~고려~조선시대...
[사회복지실천론]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