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의 역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제6차 교육과정 】

【 제7차 교육과정 】

본문내용

능력을 신장하고,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의 자율성 및 학생 의 선택권을 부여하기 위해 ‘재량활동’을 하나의 교육과정 영역으로 학교급에 따라 신설 혹은 확대되었다.
- 재량활동은 교과 재량활동과 창의적 재량활동으로 구분된다.
: 교과 재량활동은 중등학교의 선택 과목 학습과 국민 공통 기본 교과의 심화, 보충학습 을 위한 것이며, 창의적 재량활동은 학교의 독특한 교육적 필요, 학생의 요구 등에 따른 범교과 학습과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것이다.
- 재량활동 영역이 설정됨으로서 학교는 교과를 심화 보충하거나 학교 나름의 창의적 활동 을 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게 되었다.
라. 고교 2-3학년의 선택중심 교육과정
- 11/12(고2-3)학년 과정에서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도입
- 이는 공급자 중심의 획일성, 경직성, 폐쇄성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선택과목을 직접 선택 함으로써 학습자 중심의 융통성, 적합성, 수월성을 추구하기 위한 교육과정 체제를 확립 함을 의미
- 교육부, 교육청, 학교, 학생이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의 형태를 띠고 있다. 특히 일차 적 선택의 주체는 학생이다.
(교육과정 선택의 주체:5차-교육부와학교, 6차-교육부, 교육청, 학교)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09.23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32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