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머릿말
2.본문척사위정운동
- 민중운동 (민중사상)
- 개화운동 (개화사상)
- 갑신정변
- 민족주의 운동
- 식민 사관
3.맺음말
2.본문척사위정운동
- 민중운동 (민중사상)
- 개화운동 (개화사상)
- 갑신정변
- 민족주의 운동
- 식민 사관
3.맺음말
본문내용
세는 민족주의 정신을 기반으로 한 저자세가 아니다. 한국이 침략적 민족주의로부터의 고통을 뼈져리게 느꼈으므로 민족주의의 다면성에 대해 다시 한 번 통괄해보고 다른 민족과의 공생(共生)을 통한 열린 민족주의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이 레포트를 통하여 민족주의에 대해 박이부정(博而不精)했었으나 더 깊이 알아보고 그 것을 통해 우리가 잘못 인식하고 있던 역사적 현상에 대해 바로 알 수 있는 소중한 계기가 되었다. 다만 제한된 페이지와 글자 크기로 좀더 공부한 내용을 쏟아붓고 싶었으나 접게 되었다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참고문헌◀
<저서>
찰스틸리저,『국민국가의 형성과 계보』,학문과 사상사, 1994.
유광진 저,『한국의 민족주의와 통일』,범학사 , 2001.
서중석 저,『배반당한 한국의 민족주의』,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4.
김동성 저,『한국민족주의 연구』,오름, 1995.
임지현 저,『민족주의는 반역이다』, 소나무, 1999.
신용하 저,『한국근대민족주의의 형성과 전개』,서울대학교 출판부, 1987.
노태구 외,『민족주의와 근대성』, 민족문제연구소, 1997.
최장집 저,『한국민주주의의 조건과 전망』, 나남, 1996.
김동춘 저,『근대의 그늘』, 당대, 2000.
<논문>
김명구박사 저,「한말 일제강점기 민족운동론과 민족주의 사상」,부산대학교, 2002
한해리석사 저,「한국민족주의의 역사적 성격 고찰」,인하대학교, 2001
김혜승박사 저,「한국민족주의의 발생양식과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 민족주의의 사상과 역사적 전개의 분리적 검토를 통한 통합적 이해의 시도」, 이화여자대학교, 1990
▶참고문헌◀
<저서>
찰스틸리저,『국민국가의 형성과 계보』,학문과 사상사, 1994.
유광진 저,『한국의 민족주의와 통일』,범학사 , 2001.
서중석 저,『배반당한 한국의 민족주의』,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4.
김동성 저,『한국민족주의 연구』,오름, 1995.
임지현 저,『민족주의는 반역이다』, 소나무, 1999.
신용하 저,『한국근대민족주의의 형성과 전개』,서울대학교 출판부, 1987.
노태구 외,『민족주의와 근대성』, 민족문제연구소, 1997.
최장집 저,『한국민주주의의 조건과 전망』, 나남, 1996.
김동춘 저,『근대의 그늘』, 당대, 2000.
<논문>
김명구박사 저,「한말 일제강점기 민족운동론과 민족주의 사상」,부산대학교, 2002
한해리석사 저,「한국민족주의의 역사적 성격 고찰」,인하대학교, 2001
김혜승박사 저,「한국민족주의의 발생양식과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 민족주의의 사상과 역사적 전개의 분리적 검토를 통한 통합적 이해의 시도」, 이화여자대학교,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