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유희와 일본의 스모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중국의 유희
투호(投壺)
바둑

2. 스모의 기원과 역사

3. 스모의 정신적 특징

4. 스모의 제례적 의식

5. 스모의 종교성

※참고문헌

본문내용

주고, 진 쪽은 진행위원이 종이와 물을 떠준다. 이러한 행동 은 승리의 운이 이어지기를 기원한다는 뜻이 있다.
4) 土俵에 소금(淸めの鹽,きよめのしお, 키요메노시오)을 뿌린다.
스모를 보면 力士(りきし, 리키시)가 土俵에 나오면서 흰색의 가루와 같은 것을 土俵에 뿌리면서 나오는 장면을 종종 볼 수 있다. 흰색의 가루는 소금으로 일본에서는 예로부터 소금이 부정을 막아준다고 하여, 力士(りきし, 리키시)가 이렇게 소금을 뿌리는 것도 땅속의 나쁜 기운을 물리쳐 土俵의 부정을 씻어내어 청결하게 하는 의미와 선수가 부상을 당하지 않도록 기원함과 동시에, 찰과상 등을 입었을 때 살균효과를 하는 역할을 하는 의미를 가진다.
5) 四股(しこ, 시코)- 力士가 土俵에서 한쪽 발을 들어 올렸다가 내리는 동작
力士(りきし, 리키시)가 土俵에 오르면 먼저 가볍게 인사를 하고 양다리를 벌리고, 무릎을 굽히고 허리를 낮춘 상태에서 양다리를 교대로 높이 올렸다가 발끝에서 뒤꿈치 순으로 닿도록 내린다. 이러한 행동을 四股(しこ, 시코)라 한다.
이렇게 다리를 들어 땅을 밟는 이유 사악한 귀신을 밟아 쫓아내어 대지를 잠재우고 정신을 가다듬는다는 의미가 있다. 그리고 스모경기에 앞서서 몸의 긴장을 풀고, 정신을 집중시키기 위한 행동이다.
6) てがたなぉきる(테가타나오키루)
승부가 결정되면 심판은 軍配(심판이 들고 있는 부채모양의 도구)로 이긴 쪽으로 가리키고, 군배에 상금을 얹어서 이긴 力士(りきし, 리키시)에 전달해 준다. 상금을 받은 力士(りきし, 리키시)는 오른손을 펴서 좌, 우, 중앙으로 흔든 다음에 상금을 집어 드는데, 이것은 이번 판에서 이기도록 해준 신에게 감사한다는 뜻이 있다.
7)스모 선수들이 입장하고 퇴장할 때 관객들이 그들의 몸을 만지는 행위
선수들의 강력한 힘을 받기 위한 행동이다.
5. 스모의 종교성
- 중교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상징들로 채워져있는 스모 경기장.
1)土俵(도효)
ⅰ)本場所(ほんばしょ,혼바쇼) 기간중 신이 거주하는 신성한 공간으로 간주
- 土俵祭り(どひょうまつり, 도효마쯔리)
ⅱ)여자가 올라가서는 안된다.-도효는 신성한 공간이므로 달마다 월경(月經)을 하는 여자가 올라가면 부정을 타기 때문.
ⅲ)새끼줄이 둘러쳐진 원안에 들어 있는 사각형의 공간, 그 경계선은 쌀가마니를 축소한 형태의 짚가마니를 묻어 표시.
⇒짚으로 만든 새끼줄, 쌀은 '신토(神道)'에서 중요한 의미, 원과 사각은 불교에서 우주의 완전함을 뜻하는 만다라의 상징.
#.土俵는 한 대회를 치르고 나면 헐어버린다. 이는 신성한 공간, 깨끗한 공간에서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시합을 열어야 한다는 스모 내부의 규율 때문에 한 대회가 끝나면 그 土俵 는 때묻은 공간, 부정이 탄 공간이라고 여겨서 헐어버린다.
2)吊り屋根(つりやね, 쓰리야네)
ⅰ)일본의 전통가옥 형태를 한 지붕이 도효 위 천장에 매달려 있다.
ⅱ)풍수설(우주관) 반영
ⅲ)스모 경기장에는 기둥을 없애버리는 대신 지붕의 네 귀퉁이 밑에 태양의 운행과 사방을 뜻하는 청색, 적색, 백색, 흑색의 커다란 수술을 늘어뜨려 놓았다. 청색, 적색, 백색, 흑색으로 된 이 수술은, 각각 사신도(四神圖)에 등장하는 청룡(靑龍)·주작(朱雀)·백호(白虎)·현무(玄武)로 연결, 청춘(靑春)·주하(朱夏)·백추(白秋)·현동(玄冬)이라는 사계절을 나타내기도 한다.
3)水引き幕(みずひきまく, 미즈히키마쿠)
ⅰ)음양오행설에 근거
ⅱ)천장에 매달린 지붕 바로 밑에 둘러쳐 놓는다. 자주색 바탕에 스모 협회의 심벌 마크인 벚꽃모양을 새겨져 있으며, 막을 칠 때는 먼저 북쪽에서 시작해서 동쪽 방향으로 둘러치도록 되어 있다.
⇒ 물의 기운으로 불의 기운을 누른다는 상징적인 의미. 즉, 역사들의 스모가 과열하여 불의 기운이 지나치게 강성해지면 사고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물의 기운을 나타내는 미즈히키 막을 둘러친다는 것.
※참고문헌
·梅原猛, 「相搏よ 私の秘かなる戀人よ」(『藝術新潮』 1993-7)
·돌로레스 마르더네르, 『왜 일본인은 스모에 열광하는가』 바다출판사
·김용우, 『일본을 강하게 만든 문화코드 16』나무와 숲
·박전열, 『일본의 문화와 예술』, 한누리미디어, 1999
·金善豊 外, 『한·일 비교 민속놀이론』, 민속원, 1997
·아사오 나오히로 외 엮음, 『새로 쓴 일본사』, 창작과 비평사
·『禮記』, 삼성문화사
·『禮記』, 문학당
·중국미술전집편찬위원회,『中國美術全集』, 인민미술출판사
·영상자료- 수오 마사유키감독, 으랏차차 스모부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9.30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43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