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이론
(1) 가치의 정의(定義)
1) 정의의 세 가지 요소
2) 가치와 가치판단
3) 유사하거나 이질적 속성을 가진 가치들의 유기적 관계
4) 세 가지 범주의 가치
(2) 민주주의의 본질
(3) 민주사회에서의 도덕교육
2. 이론적 근거확립의 실제
(1) 가치인식과 명료화
(2) 명칭 일반화
(3) 가치 갈등분석
(4) 제한적 결정내리기
(5) 도덕교육의 정의적 혹은 비언어적 측면
3. 요약 및 평가
(1) 가치의 정의(定義)
1) 정의의 세 가지 요소
2) 가치와 가치판단
3) 유사하거나 이질적 속성을 가진 가치들의 유기적 관계
4) 세 가지 범주의 가치
(2) 민주주의의 본질
(3) 민주사회에서의 도덕교육
2. 이론적 근거확립의 실제
(1) 가치인식과 명료화
(2) 명칭 일반화
(3) 가치 갈등분석
(4) 제한적 결정내리기
(5) 도덕교육의 정의적 혹은 비언어적 측면
3. 요약 및 평가
본문내용
도구적 가치와 도덕적 가치를 독립된 범주로 보았으나 실제로는 정의, 용기, 선의와 같이 혼용된 형태로도 나타나며 이러한 도구적 가치를 판단의 요소로 보아도 무방한 경우가 생긴다.(쉐이버는 이러한 현상을 경계하였다.)또한 개인적인 기준에 의한 준거를 도덕적 가치의 한 요소로 보았는데 특정한 개인의 준거가 될 수 있는 ‘청결’은 감각적 선호이지 도덕적 가치라 평가하기 힘들다.
② 인지적 발달이론(콜버그의 이론)과의 불분명한 통합
쉐이버는 자신의 이론을 콜버그의 인지적 발달이론과 통합, 아동기의 비언어적 도덕교육형태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나 오히려 콜버그가 아동의 인지적 영역을 과소평가했다는 비판을 남긴다. (쉐이버가 아동의 인지적 영역을 과소평가 하지 않았다면 오히려 언어적 수단으로 아동을 교육했어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
③ 방법적인 근거의 부족
쉐이버는 구체적 상황으로부터 가치를 추출하는 과정, 유추해서 추리하는 과정, 일관된 기준을 세우는 과정, 가치함축적 일반입장을 발달시키는 과정이 초등과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교육과정의 일부로 선택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였으나 그 방법 및 예시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어 유용성을 의심하게 한다.
② 인지적 발달이론(콜버그의 이론)과의 불분명한 통합
쉐이버는 자신의 이론을 콜버그의 인지적 발달이론과 통합, 아동기의 비언어적 도덕교육형태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나 오히려 콜버그가 아동의 인지적 영역을 과소평가했다는 비판을 남긴다. (쉐이버가 아동의 인지적 영역을 과소평가 하지 않았다면 오히려 언어적 수단으로 아동을 교육했어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
③ 방법적인 근거의 부족
쉐이버는 구체적 상황으로부터 가치를 추출하는 과정, 유추해서 추리하는 과정, 일관된 기준을 세우는 과정, 가치함축적 일반입장을 발달시키는 과정이 초등과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교육과정의 일부로 선택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였으나 그 방법 및 예시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어 유용성을 의심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