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마그마
1)마그마와 용암
(1)마그마
(2)용암
2)마그마의 분출
(1)비 폭발성 분출
(2)폭발성 분출
(3)두 종류의 마그마
3)마그마의 기원과 고화
(1)마그마의 기원
(2)마그마의 고화
2.화산
1)화산의 일생
2)화산의 활동상
3)화산의 형태
4)화산의 분포
5)화산의 재해
3.화성암과 심성암
1)화성암
(1)조직
(2)광물구성
(3)관입암의 종류
(4)분출암의 종류
(5)화산 쇄설암류
2)심성암
(1)소규모 심성암체
(2)대규모 심성암체
3. 결론
4. 참고자료
5. 리포트를 하고 나서...
2. 본론
1.마그마
1)마그마와 용암
(1)마그마
(2)용암
2)마그마의 분출
(1)비 폭발성 분출
(2)폭발성 분출
(3)두 종류의 마그마
3)마그마의 기원과 고화
(1)마그마의 기원
(2)마그마의 고화
2.화산
1)화산의 일생
2)화산의 활동상
3)화산의 형태
4)화산의 분포
5)화산의 재해
3.화성암과 심성암
1)화성암
(1)조직
(2)광물구성
(3)관입암의 종류
(4)분출암의 종류
(5)화산 쇄설암류
2)심성암
(1)소규모 심성암체
(2)대규모 심성암체
3. 결론
4. 참고자료
5. 리포트를 하고 나서...
본문내용
은 과거 화성활동에 대한 가장 명확하고 흔한 증거로서 피관입암의 층리면을 절단하는 판산의 평행한 두면을 가진 화성암체이다.
②암상 : 퇴적암의 층리에 평행하게 관입된 판상의 화성암체를 암상이라고 한다.
③병반 : 병반은 암상의 일종인데 퇴적암의 층리에 평행하게 관입한 화성암체로서 피관입암의 상부가 위로 굽어 돔형인 것을 말한다.
④화도와 화산관 : 화구 아래의 원통형의 마그마 이동통로를 화도라고 하며 이 화도 아래의 황성암의 ⑤암경 : 화도 주변의 암석이 침식되어 화도 내의 화성암체가 드러난 관을 암경이라고 한다.
(2)대규모 심성암체
①저반 : 가장 큰 심성암체인 저반은 불규칙한 관입 형태를 갖는다. 저반을 생성시키는 마그마의 조성 이 변화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저반은 그 조성이 약간씩 다른 여러개의 관입암체로 구성된다. 상승하 는 마그마는 상부의 암석을 포획하며 포획된 암석은 상승하는 마그마보다 밀도가 크기 때문에 마그마 내에 침강할 것이고 침강되는 암괴들은 마그마와 반응하여 부분적으로 용융될 것이다. 마그마내 용융 되지 않은 암괴들이 마그마 하부에 가라앉아 고화되면 포획암을 형성한다.
②암주 : 최대 지름이 10km 이하인 암체로 저반과 같이 불규칙한 형태를 갖는다.
결론
지구내부의 열은 여러 가지 현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지구내의 어떠한 작용으로 인해 고온의 마그마가 생성되며 이것이 화산활동으로 인해 분출물과 함께 지표면으로 나오게 된다. 마그마가 분출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약한 비폭발성 분출과 화산쇄설물이나 가스등을 포함하는 폭발성 분출로 말할 수 있는데 이러한 마그마의 생성은 종류에 따라 기원을 달리한다. 현무암질 마그마는 물이 없는 맨틀 물질의 부분용융에 의해 생성된 것이고, 안산암질 마그마는 대륙지각의 완전용융에 의해 생성되며 유문암질 마그마는 대륙지각의 평균종성인 물을 포함하는 암석의 부분용융에 의하여 생성된다. 화산의 종류에는 활화산, 휴화산, 사화산등이 있으며 분화의 형식과 분출물의 특성에 따라 순상화산, 성층화산 등으로 구분 할 수 있다. 화산이 분출한 뒤에는 칼데라호나 분화구등이 생성되는데 이러한 화산의 분포는 지진대와 일치한다. 화산작용은 지표면을 새롭게 변화시키는데 이러한 화산작용으로 인해 새로은 암석들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암석은 유용한 원소들의 새로운 공급을 의미하며 용암과 화산재는 풍화를 받아 매우 비옥한 토양을 형성한다. 하지만 좋은 점과 달리 이러한 화산의 재해로 인해 분출과 관련한 위험과 기후에 대한 화산 먼지의 영향들이 인간에게 나쁜 영향을 주기도 한다. 우리는 지구내부의 어떠한 힘으로 작용되어지는 마그마와 화산활동을 정확히 앎으로서 우리가 사는 지구에 대하여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참고자료
이미지 : www.naver.com
네이버 전문지식 중 한글 문서 ‘화산과 마그마, 마그마란.’
지구과학교실 http://uniweb.unitel.co.kr:8083/class/earth/
강원대 지질학과 홈페이지 http://geology.kangwon.ac.kr/
공주대학교 과학 홈페이지 http://science.kongju.ac.kr/
부산대 지질학과 홈페이지 http://geology.pusan.ac.kr/
충남대 지질학과 홈페이지http://web.chungnam.ac.kr/dept/geology/
각종 지구관련 홈페이지 http://otot.pe.kr/
교육대학 과학 홈페이지 http://soback.kornet.net/~jwkim5/jaryosil/jaryo.html
리포트를 하고 나서...
교수님께서 분량을 10장 내외라고 말씀하셨을 때에는 이것을 뭐 그 정도나 할 게 있겠나 하는 생각에 조금은 가벼운 생각이 들었다. 이렇게 생각을 하고 리포트를 하다보니 결코 만만 한 게 아니라는 깨달았다. 중 고등학교때 막연하게 많이 들어보던 화산과 마그마라는 것에 대하여 이렇게 많은 사실이 있을 줄은 몰랐다. 인터넷 여러 가지 사이트와 우리가 쓰는 교재를 혼합하여 내용을 정리하고 그에 맞는 사진들을 찾아 리포트를 완성하였는데, 여러 가지 사진이 있었지만 특히 화산부분에서 활화산이나 칼데라 사진의 웅장함에 멋있다라는 말이 절로 나왔다. 우리가 사는 지구는 알면 알수록 신비한 것 같다. 화학을 전공하는 나에게는 정말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온 것이다. 2학년 1학기 때 교수님께 지구과학을 배우면서 판구조론에 대한 리포트를 쓰기도 했었는데 그때 첨가하였던 사진들은 중고등학교 교과서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듯한 이론 등이 설명되어있는 사진들이 많았다. 하지만 이번 리포트에서는 과제의 특성상 화산 활동이 일어나는 세계 여러 나라의 사진을 많이 볼 수 있었다. 정말 멋있는 사진도 많았는데 다 올리지 못해서 아쉽다. 사진으로 보았던 화산과 마그마에 관한, 그리고 암석이 많이 발견되는 곳에 직접 가서 보고 싶다는 생각이 간절히 든다. 이번 리포트로 인해 마그마의 특성도 더 자세히 알 수 있었고 그저 머릿속에 맴돌기만 했던 용어들의 정리도 나름대로 깔끔하게 정리된 거 같아서 기분이 좋다. 리포트를 완성하는 3일 동안 너무 골치 아프다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였지만 이렇게 완성을 하고 보니 너무 뿌듯하다.
(목차)
서론 : 우리가 사는 지구는 내부의 열에 의해 여러 가지 현상이 일어난다
본론 : 마그마의 특성을 알아보고 화산활동을 어떻게 일어나는지 알아보며 그로 인해 생겨
나는 암석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자.
1.마그마
1)마그마와 용암
(1)마그마
(2)용암
2)마그마의 분출
(1)비 폭발성 분출
(2)폭발성 분출
(3)두 종류의 마그마
3)마그마의 기원과 고화
(1)마그마의 기원
(2)마그마의 고화
2.화산
1)화산의 일생
2)화산의 활동상
3)화산의 형태
4)화산의 분포
5)화산의 재해
3.화성암과 심성암
1)화성암
(1)조직
(2)광물구성
(3)관입암의 종류
(4)분출암의 종류
(5)화산 쇄설암류
2)심성암
(1)소규모 심성암체
(2)대규모 심성암체
결론 : 우리는 지구내부의 어떠한 힘으로 작용되어지는 마그마와 화산활동을 정확히 앎으로서
우리가 사는 지구에 대하여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참고자료
리포트를 하고 나서...
②암상 : 퇴적암의 층리에 평행하게 관입된 판상의 화성암체를 암상이라고 한다.
③병반 : 병반은 암상의 일종인데 퇴적암의 층리에 평행하게 관입한 화성암체로서 피관입암의 상부가 위로 굽어 돔형인 것을 말한다.
④화도와 화산관 : 화구 아래의 원통형의 마그마 이동통로를 화도라고 하며 이 화도 아래의 황성암의 ⑤암경 : 화도 주변의 암석이 침식되어 화도 내의 화성암체가 드러난 관을 암경이라고 한다.
(2)대규모 심성암체
①저반 : 가장 큰 심성암체인 저반은 불규칙한 관입 형태를 갖는다. 저반을 생성시키는 마그마의 조성 이 변화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저반은 그 조성이 약간씩 다른 여러개의 관입암체로 구성된다. 상승하 는 마그마는 상부의 암석을 포획하며 포획된 암석은 상승하는 마그마보다 밀도가 크기 때문에 마그마 내에 침강할 것이고 침강되는 암괴들은 마그마와 반응하여 부분적으로 용융될 것이다. 마그마내 용융 되지 않은 암괴들이 마그마 하부에 가라앉아 고화되면 포획암을 형성한다.
②암주 : 최대 지름이 10km 이하인 암체로 저반과 같이 불규칙한 형태를 갖는다.
결론
지구내부의 열은 여러 가지 현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지구내의 어떠한 작용으로 인해 고온의 마그마가 생성되며 이것이 화산활동으로 인해 분출물과 함께 지표면으로 나오게 된다. 마그마가 분출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약한 비폭발성 분출과 화산쇄설물이나 가스등을 포함하는 폭발성 분출로 말할 수 있는데 이러한 마그마의 생성은 종류에 따라 기원을 달리한다. 현무암질 마그마는 물이 없는 맨틀 물질의 부분용융에 의해 생성된 것이고, 안산암질 마그마는 대륙지각의 완전용융에 의해 생성되며 유문암질 마그마는 대륙지각의 평균종성인 물을 포함하는 암석의 부분용융에 의하여 생성된다. 화산의 종류에는 활화산, 휴화산, 사화산등이 있으며 분화의 형식과 분출물의 특성에 따라 순상화산, 성층화산 등으로 구분 할 수 있다. 화산이 분출한 뒤에는 칼데라호나 분화구등이 생성되는데 이러한 화산의 분포는 지진대와 일치한다. 화산작용은 지표면을 새롭게 변화시키는데 이러한 화산작용으로 인해 새로은 암석들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암석은 유용한 원소들의 새로운 공급을 의미하며 용암과 화산재는 풍화를 받아 매우 비옥한 토양을 형성한다. 하지만 좋은 점과 달리 이러한 화산의 재해로 인해 분출과 관련한 위험과 기후에 대한 화산 먼지의 영향들이 인간에게 나쁜 영향을 주기도 한다. 우리는 지구내부의 어떠한 힘으로 작용되어지는 마그마와 화산활동을 정확히 앎으로서 우리가 사는 지구에 대하여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참고자료
이미지 : www.naver.com
네이버 전문지식 중 한글 문서 ‘화산과 마그마, 마그마란.’
지구과학교실 http://uniweb.unitel.co.kr:8083/class/earth/
강원대 지질학과 홈페이지 http://geology.kangwon.ac.kr/
공주대학교 과학 홈페이지 http://science.kongju.ac.kr/
부산대 지질학과 홈페이지 http://geology.pusan.ac.kr/
충남대 지질학과 홈페이지http://web.chungnam.ac.kr/dept/geology/
각종 지구관련 홈페이지 http://otot.pe.kr/
교육대학 과학 홈페이지 http://soback.kornet.net/~jwkim5/jaryosil/jaryo.html
리포트를 하고 나서...
교수님께서 분량을 10장 내외라고 말씀하셨을 때에는 이것을 뭐 그 정도나 할 게 있겠나 하는 생각에 조금은 가벼운 생각이 들었다. 이렇게 생각을 하고 리포트를 하다보니 결코 만만 한 게 아니라는 깨달았다. 중 고등학교때 막연하게 많이 들어보던 화산과 마그마라는 것에 대하여 이렇게 많은 사실이 있을 줄은 몰랐다. 인터넷 여러 가지 사이트와 우리가 쓰는 교재를 혼합하여 내용을 정리하고 그에 맞는 사진들을 찾아 리포트를 완성하였는데, 여러 가지 사진이 있었지만 특히 화산부분에서 활화산이나 칼데라 사진의 웅장함에 멋있다라는 말이 절로 나왔다. 우리가 사는 지구는 알면 알수록 신비한 것 같다. 화학을 전공하는 나에게는 정말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온 것이다. 2학년 1학기 때 교수님께 지구과학을 배우면서 판구조론에 대한 리포트를 쓰기도 했었는데 그때 첨가하였던 사진들은 중고등학교 교과서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듯한 이론 등이 설명되어있는 사진들이 많았다. 하지만 이번 리포트에서는 과제의 특성상 화산 활동이 일어나는 세계 여러 나라의 사진을 많이 볼 수 있었다. 정말 멋있는 사진도 많았는데 다 올리지 못해서 아쉽다. 사진으로 보았던 화산과 마그마에 관한, 그리고 암석이 많이 발견되는 곳에 직접 가서 보고 싶다는 생각이 간절히 든다. 이번 리포트로 인해 마그마의 특성도 더 자세히 알 수 있었고 그저 머릿속에 맴돌기만 했던 용어들의 정리도 나름대로 깔끔하게 정리된 거 같아서 기분이 좋다. 리포트를 완성하는 3일 동안 너무 골치 아프다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였지만 이렇게 완성을 하고 보니 너무 뿌듯하다.
(목차)
서론 : 우리가 사는 지구는 내부의 열에 의해 여러 가지 현상이 일어난다
본론 : 마그마의 특성을 알아보고 화산활동을 어떻게 일어나는지 알아보며 그로 인해 생겨
나는 암석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자.
1.마그마
1)마그마와 용암
(1)마그마
(2)용암
2)마그마의 분출
(1)비 폭발성 분출
(2)폭발성 분출
(3)두 종류의 마그마
3)마그마의 기원과 고화
(1)마그마의 기원
(2)마그마의 고화
2.화산
1)화산의 일생
2)화산의 활동상
3)화산의 형태
4)화산의 분포
5)화산의 재해
3.화성암과 심성암
1)화성암
(1)조직
(2)광물구성
(3)관입암의 종류
(4)분출암의 종류
(5)화산 쇄설암류
2)심성암
(1)소규모 심성암체
(2)대규모 심성암체
결론 : 우리는 지구내부의 어떠한 힘으로 작용되어지는 마그마와 화산활동을 정확히 앎으로서
우리가 사는 지구에 대하여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참고자료
리포트를 하고 나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