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Regnum 개념 이해 정상운, 「M. Luther의 두 왕국론」, 聖潔大學校 論文集(제24집, 1995), P.2-3.
2. 좀 더 자세히. Augustine의 두 도성론과 Luther의 두 왕국론의 차이
3. Luther의 “두 왕국”론의 “삶의 자리” 윤응진, 「Luther의 두 왕국론」, 한신 논문집 제 10집. P.6-7.
4. 하나님의 왕국과 세상 왕국간의 관계 정상운, op. cit., P.11-2.
5. 두 왕국론의 한계 정상운, op, cit,, P.12-3.
2. 좀 더 자세히. Augustine의 두 도성론과 Luther의 두 왕국론의 차이
3. Luther의 “두 왕국”론의 “삶의 자리” 윤응진, 「Luther의 두 왕국론」, 한신 논문집 제 10집. P.6-7.
4. 하나님의 왕국과 세상 왕국간의 관계 정상운, op. cit., P.11-2.
5. 두 왕국론의 한계 정상운, op, cit,, P.12-3.
본문내용
Life and work, trans. by Robert C. Schultz (Philadelphia : Fortress Press, 1986), P.186.
또한 루터교도들이 1933년에서 1945년 사이의 국가사회주의 정부에 대한 비판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을 어렵게 했으며, 제3세계 국가들의 정치적 상황과 자유를 향한 혁명운동에 많은 루터교회들이 보수적 태도를 취하는데 대한 책임이 있다는 비난도 있다.
) Ibid, P.186-7.
셋째로, 조화(harmonization)의 위험성이다. Luther에 의하면, 그리스도 왕국과 세상왕국이란 다같이 하나님의 통치아래에 있지만, 왼편 왕국인 세상 왕국은 감추이신 하나님이 신비스런 창조자와 보존자로서 지배하며, 나타내신 하나님과 그리스도는 오른쪽 왕국 즉, 그리스도 왕국에만 지배하는 것으로 나타내며 이런 현상이 하나님의 최종적인 통치가 이 세상에 이루어질 때까지 계속된다. 따라서 Luther는 그리스도를 두 왕국의 주로써 선언하는 것을 피했고, 상호 곁에(side by side)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 Thielicke, op. cit., P.371.
즉, 두 왕국이 정지된(static)상태에서 상호 조화를 이루며 무한히 계속되는 것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세계 안에서 일하시는 하나님과 함께 하나님의 협력자로서 이 세계를 위해 일하는 그리스도의 행위는 그것 자체의 정당성을 얻을 수가 없게 된다. 왜냐하면, 복음에 대한 이해가 단지 인간의 내면적이며, 초월적인 구원의 방편으로만 이해되고, 그리스도가 이 세상과는 무관한 것으로 이해되기 때문이다.
또한 루터교도들이 1933년에서 1945년 사이의 국가사회주의 정부에 대한 비판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을 어렵게 했으며, 제3세계 국가들의 정치적 상황과 자유를 향한 혁명운동에 많은 루터교회들이 보수적 태도를 취하는데 대한 책임이 있다는 비난도 있다.
) Ibid, P.186-7.
셋째로, 조화(harmonization)의 위험성이다. Luther에 의하면, 그리스도 왕국과 세상왕국이란 다같이 하나님의 통치아래에 있지만, 왼편 왕국인 세상 왕국은 감추이신 하나님이 신비스런 창조자와 보존자로서 지배하며, 나타내신 하나님과 그리스도는 오른쪽 왕국 즉, 그리스도 왕국에만 지배하는 것으로 나타내며 이런 현상이 하나님의 최종적인 통치가 이 세상에 이루어질 때까지 계속된다. 따라서 Luther는 그리스도를 두 왕국의 주로써 선언하는 것을 피했고, 상호 곁에(side by side)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 Thielicke, op. cit., P.371.
즉, 두 왕국이 정지된(static)상태에서 상호 조화를 이루며 무한히 계속되는 것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세계 안에서 일하시는 하나님과 함께 하나님의 협력자로서 이 세계를 위해 일하는 그리스도의 행위는 그것 자체의 정당성을 얻을 수가 없게 된다. 왜냐하면, 복음에 대한 이해가 단지 인간의 내면적이며, 초월적인 구원의 방편으로만 이해되고, 그리스도가 이 세상과는 무관한 것으로 이해되기 때문이다.
추천자료
마르틴 루터의 인간이해 (그의 두 왕국론에서 그리스도인들의 실존방식)
마틴 루터의 십자가 신학 연구 (마르틴 루터)
루터의 시대에 복잡한 논쟁에서 루터의 역할
루터의 라틴어 저작 전집 서문
루터와 칼빈 비교
에라스무스와 루터의 교육철학
마틴루터와 존 칼빈의 교회론
루터의 두 왕국론
- 루터와 코메니우스를 중심으로 -
마틴 루터의 생애, 루터의 교육사상, 루터의 교육방법, 교육사적 영향, 현대에서의 적용
루터의 십자가 신학
[구원론][성경]성경 출애굽기에 나타난 구원론, 성경 구약에 나타난 구원론, 구원론의 정의, ...
[마틴루터킹의 리더십] 마틴 루터킹의 리더십 분석
루터와 칼빈의 신학이론과 종교개혁의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비판적 검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