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의 군사조직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시대의 군사조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초기 군사제도의 정비
1) 초기 중앙군제의 정비
(1) 10위제와 특수부대
(2) 사병혁파와 10위제의 변화
2) 초기 지방군제의 정비
(1) 육수군
(2) 수군(기선군)
(3) 익군
3) 군역제도의 정비
(1) 군역의 일원화
(2) 보법의 성립

2. 5위체제의 확립과 중앙군제
1) 5위체제의 확립
2) 5위의 병종
3) 금군
4) 5위의 군계급과 편제
5) 수도방위의 실제

3. 진관체제의 확립과 지방군제
1) 진관체제의 성립
2) 진관의 편제와 유방
3) 진관체제의 변화와 제승방략

본문내용

면 농민으로 돌아와 생업에 종사할 수 있었으나 또한 부역을 지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에 대하여 이들에게 保人이 설정되기는 했으나 단위 보인의 수가 감소되고 있었으며 종래까지의 자연호 단위의 경제권을 위협하는 요소까지 있어 군사의 부담 능력을 더욱 가중시키기도 했다.
이와 같은 불합리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때 放軍收布를 기도하기도 했다. 방군수포는 장정들에게서 布를 거두어 이것을 재원으로 하여 군대를 양성한다는 것이고 일반 양인인 농민들은 생업에 종사할 수 있어 서로가 편리한 조치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방군의 대가로 받은 포가 군사적인 목적에 쓰여지지 못하고 오히려 지방 수령들의 사사로운 이익에 쓰여 지면서 그 실효성이 없어졌으며 일반 농민들은 전세공물진상물요역 등에 동원됨으로써 그 생활은 더욱 어려워질 수밖에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당초의 전국적인 방위망인 진관체제는 정규의 군사가 남아있지 않았던가 또는 남아 있다 하더라도 군사적 기능을 거의 갖추고 있지 못하여 할 수 없이 일단 유사시에는 군사가 아닌 계층까지 총동원하여 대처하는 이른바 制勝方略의 응급적 分軍法으로 대신하게 된 것이다. 즉 제승방략적 분군법은 각 진관별로 자전자수하는 것과는 달리 유사시에 각 읍의 수령이 소속된 군사를 이끌고 본진을 떠나 배정된 방어지역인 信地로 가서 공동 대처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제승방략은 가까이 있는 각 읍의 군사가 하나의 방어진지로 모여 대처하기 때문에, 후방지역에는 군사가 없어 1차 방어선이 무너지면 그 뒤에 방어할 수 있는 군사력이 없어 2차로 방어할 수 있는 방도가 없는 우려를 크게 내포한 전법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10.21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65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