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만족에 관한 이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직무만족에 관한 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직무만족의 개념

2. 직무만족에 관한 이론
1) 욕구 충족이론(need fulfillment theory)
2) 성과차이 이론
3) 유의성 이론
4) 공정성 이론
5) 측면 만족 이론(facet satisfaction theory)

3. 직무만족 결정 요인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지 요인을 제시하였다.
① 임금(pay): 임금의 총액, 공정성, 지급방법 박연호. 조직행동론. 박영사. 1998. p109.
② 감독(supervision): 감독자의 기술, 관리능력과 종업원에 대한 배려 및 관심의 정도
③ 작업(work): 작업에 대한 관심의 정도, 학습 및 책임부담 제공정도
④ 승진(promotional opportunities): 승진의 가능성 여부
⑤ 동료와의 관계(coworkers): 동료의 우호적 태도 및 실력과 후원정도
Locke(1976)는 선행연구들을 기초로 하여 중요한 직무만족 차원에 대한 체계적인 관점을 제시하였다. 그는 직무만족 요소를 직무자체, 임금, 승진, 안정감, 작업조건, 복지후생, 상사의 관리방식, 동료관계, 회사의 경영방침 등의 9가지 요인으로 분류하였다.
<표1>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 자
직 무 만 족 요 인
Ginzberg
① 경제적 보수와 명예
② 특별한 생활과 목표달성에서 얻는 기쁨의 본질적 만족
③ 사회적, 환경적인 부수적 관계
March&Simon
① 자신의 이미지에 대한 직무의 적합성
② 직무관계에 예측능력
③ 직무와 다른 역할과의 관계
Vroom
①감독 ②작업진단 ③직무내용 ④임금 ⑤승진의 기회 ⑥인정감
Herzberg
직무만족요인: ①성취감 ②인정 ③작업 ④책임 ⑤성장과 발전
직무불만족요인: ①감독 ②작업조건 ③대인관계 ④임금 ⑤지위
Myers
①성취감 ②책임 ③성장 ④승진 ⑤ 작업의 즐거움 ⑥ 인정감
Friendland
①사회적, 기술적 환경 ②본질적 작업측면 ③발전을 통한 인정
Wiese&Reticher
①재무적 유인 ②비재산적 유인 ③소극적 유인 ④인정 ⑤성취 ⑥작업 ⑦발전 ⑧책임-본질적 요소
Werniomont
①봉급 ②사회정책 ③기술적 적합성 ④대인관계 ⑤작업조건-비본질적 요소
Alderfer
①임금 ②부가급부 ③상사에 의한 존중 ④동료에 의한 존중 ⑤ 성장
Hackman
①기술의 다양성 ②과업의 주체성 ③과제의 중요성 ④피드백 ⑤자율성
Jurgenson
①발전(승진에 대한 기쁨) ②부가급부(휴가, 연금 등) ③회사(회사 일에 대한 자부심) ④동료 ⑤시간 ⑥임금 ⑦안전 ⑧감독 ⑨작업유형 ⑩작업조건
Locke
①작업 ②임금 ③승진 ④인정 ⑤부가급부 ⑥작업조건 ⑦감독 ⑧동료 ⑨회사의 관리
자료 : 우재현, “교류분석의 성격요인과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의 관계에 관한 연구”(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2
Jurgenson(1978)은 직무만족의 결정요소를 다음과 같이 10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발전(승진 기회), 부가급부(휴가, 질병수단, 보험, 연금 등), 회사(직업에 대한 자부심), 동료(마음에 맞는 동료), 시간(적절한 작업시간), 임금, 안정(안전한 작업, 직무를 계속할 수 있는 확실성), 감독, 작업유형(흥미 있고 관심 있는 작업), 작업조건(안정, 청결, 냄새, 냉난방, 기타)등으로 이 요인들은 성별에 따라 각각 그 우선순위가 달라지며 시간, 연령, 교육수준, 전직업 등에 의해서도 변한다고 지적하였다.
그외 Ginzberg, March&Simon, Vroom, Myers, Friendland, Wiese&Reticher, Werniomont, Alderfer, Hackman 등 많은 학자들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인은 대략 5~20개로 파악되며 이들 요인들은 중복되기도 하고 서로 상이한 요인들도 많이 보인다. 이를 간단히 장경애, 사회복지시설종사자의 직무만족에 관한연구, 2001, p21~22
요약하면 <표1>과 같다.
참고문헌
김홍기, 인사행정론(서울, 박영사), 1992,
조미자. 사회복지사의 직무몰입과 대인관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과정, 2001.
임창희, 조직행위론, 서울: 학현사, 2004
장경애, 사회복지시설종사자의 직무만족에 관한연구, 2001
박연호. 조직행동론. 박영사. 1998
정현주. “사회재활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논문, 2000
우재현, “교류분석의 성격요인과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의 관계에 관한 연구”(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2
M. A Wahba and L. G. Bridwell, "Maslow Reconsidered: A review of research on the need hierarchy" 1973
r. hoppock, "job stafaction", n. y. : harper&row publisher, 1935

추천자료

  • 가격1,4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11.02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81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