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본문>
1.아편전쟁의 배경
1) 광동무역체제(廣東貿易體制)
2) 아편 전래와 은의 유출
3) 이금론(弛禁論)과 엄금론(嚴禁論)
4) 임칙서의 아편 대책
2.아편전쟁의 경과
1)전쟁의 시작과「천비조약(川鼻條約)」
2) 청조의 대영 선전 포고와 광주화약(廣州和約)」의 조인
3) 영국의 침략 전쟁 확대와 청조의 항복
4) 아편전쟁의 패인
5) 남경조약(南京條約)과 일련의 불평등 조약의 체결
3. 제2차 아편전쟁
1) 조약 개정과 애로우호 사건
2) 영․프 연합군의 북상과 「천진조약(川津條約)」
3) 영․프 연합군의 북경 점령과 북경조약의 체결
4) 북경조약
< 맺음말 >
<부록 : 연표>
<본문>
1.아편전쟁의 배경
1) 광동무역체제(廣東貿易體制)
2) 아편 전래와 은의 유출
3) 이금론(弛禁論)과 엄금론(嚴禁論)
4) 임칙서의 아편 대책
2.아편전쟁의 경과
1)전쟁의 시작과「천비조약(川鼻條約)」
2) 청조의 대영 선전 포고와 광주화약(廣州和約)」의 조인
3) 영국의 침략 전쟁 확대와 청조의 항복
4) 아편전쟁의 패인
5) 남경조약(南京條約)과 일련의 불평등 조약의 체결
3. 제2차 아편전쟁
1) 조약 개정과 애로우호 사건
2) 영․프 연합군의 북상과 「천진조약(川津條約)」
3) 영․프 연합군의 북경 점령과 북경조약의 체결
4) 북경조약
< 맺음말 >
<부록 : 연표>
본문내용
성립되었다. 1861년에는 총리각국사무아문(總理各國事務衙門)이 설치되어 외교를 담당하게 되었다. 이러한 기구들은 불평등조약체제를 운용해 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들이었다.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보면 개항장이 도합 16개로 확대되고 내지여행권, 내해항행권이 보장되면서 중국은 서양의 상품시장, 원료시장화 되었다. 특히 내지통관세가 경감되면서 중국의 민족경제는 큰 타격을 받았다. 1860년대 이후 188090년대가 되면 특히 면제품이 대량으로 들어와 토포나 토사들이 합법화된 것도 아편수입의 증대를 가져왔을 뿐만 아니라 제국주의적 침략의 무자비함을 보여주는 단적인 표징이었다. 사상문화적 측면에서도 외국선교사가 자유로이 교회를 설립하고 포교할 수 있게 되어 이후 제국주의 침략에 중요한 일익을 담당하면서 중국인의 반기독교운동을 유발하게 되었다. 또한 군사적으로는 연해 및 내하에까지 군함이 항행할 수 있게 되어 주권에 큰 위협을 가져왔다.
이렇게 보면 제 1.2차 아편전쟁의 결과는 중국이 세계자본주의체제 속의 종속적 시장으로 편입되는, 이른바 ‘반식민지’화의 길을 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제 1.2차 아편전쟁의 의의도 여기에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때부터 반제국주의 투쟁이 중국근대사의 주요과제로 등장했다고 할 수 있다. 말하자면 제 1.2차 아편전쟁은 충분히 획기가 될 수 있는 사건인 것이다. 물론 ‘내인(內因)’이 중요하고 중시되어야 하지만 적어도 싸워서 극복해야만 되는 질곡으로서의 ‘외인(外因)’을 무시할 없다. 그것이 당시에는 주변이 의미밖에 가지지 못했을지라도 이후 근대사의 전개과정에서는 전면적 의미를 갖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으로 외인은 질곡으로서가 아니라 이미 여러 분야에서 개혁기운과 함께 시작된 변화를 가속화시킨 측면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북경의 함락에서 받은 중국인의 충격은 민심을 청조에서 이반시킨 측면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서양문물에 대한 관심을 제고시킨 측면도 있다. 제 2차 중영전쟁의 영향 중 하나는 공친왕의 대외협조정책에서 나타나듯 양무운동의 시발점을 제공했다는 점일 것이다. 그것이 부정적 평가를 받는 긍정적 평가를 받는 적어도 외인을 내인과 함께 고찰할 필요가 있다. 내인과 외인의 관련성, 반제투쟁의 반청반봉건투쟁과의 연계성 등을 밝힐 수 있는 당시의 사회경제적 상황이 보다 면밀히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부록 : 아편전쟁 연표>
1785 8.30 임칙서 탄생
1793 영국사절 매카트니의 방문
1804 임칙서 향시(鄕試) 합격
1816 영국사절 암허스트 북경 방문.
1810 베이징北京에의 아편 유입을 엄금
1811 서양인의 내지(內地) 거주 및 그리스도교 포교를 금지
1813 동인도회사(東印度會社)가 차(茶) 이외의 동양무역 독점권을 포기.
중국, 아편 판매를 금지.
1814 중국, 영국인의 선교 금지.
1815 중국, 금연장정(禁煙章程) 제정하고 아편 수입도 금지.
1816 영국 사절 암허스트 일행이 중국에 도착. 영국 군함 류큐[琉球]에 정박, 통상을 요구.
1820 선종(宣宗) 즉위(~1850).
1821 영국인이 중국 위구르 지구 야르칸드[莎車]에 들어와 통상을 요구.
1823 임칙서(林則徐) 장쑤[江蘇] 안찰사(按察使)가 됨.
1825 아편밀수에 의해 은유출 시작.
1828 중국, 외국돈 사용을 금지.
1831 중국, 아편 수입을 엄금.
1833 영국 동인도회사의 대중국무역 독점권 폐지.
1834 영국 사절 네피아가 광둥[廣東]에 부임.
1837 임칙서(林則徐), 후광[湖廣] 총독이 됨.
1838 6월 黃爵滋·林則徐 등 아편 엄금책 상주.
1839 6월 임칙서가 몰수한 아편을 폐기.
7.7 임유희 살해 사건
8.16 임칙서가 마카오를 무력으로 봉쇄
9.4 엘리오트의 함대와 중국 해군 사이에 충돌이 일어나 첫 발포가 일어남.
10월 아편전쟁 수행을 영국하원이 결의.
11.3 촨비[川鼻]에서 양국 해군 간에 전투가 벌어짐. 중국이 참패.
12.6 임칙서는 영국과의 통상 정지를 선포
1840 2월 조지 엘리엇을 전권대표로, 브레머를 사령관으로 하는 원정군을 파견
4월 영국 의회 전쟁 승인
6월 원정군이 마카오 해역에 도착. 영국군이 광주를 봉쇄.
중국에서 아편전쟁 발발(~1842).
임칙서 면직 당하고 기선(琦善)을 흠차대신(欽差大臣) 임명.
1841 2.1 가조약(假條約)을 영국이 일방적으로 선포하고 홍콩을 강점
1841 8월 신임 전권대사 헨리 포틴저가 중국에 도착
1841 7월 양쯔 강과 베이징[北京]으로 가는 주요수송로인 대운하와의 교차점 전장[鎭江] 함락
1842 7월 영국군이 난징[南京]을 포위하고,
8.14 청나라가 항복.
8.29 콘월리스호 선상에서 南京조약 조인.
5개항을 개방하고 홍콩[香港]을 영국측에 할양.
1843 상하이[上海]를 개방.
1844 7월 미국과 망하통상조약(望廈通常條約),
10월 프랑스와 황푸조약[黃포條約] 체결.
1845 임칙서 산간[陝甘]총독 역임.
1847 영국군이 중국 후먼[虎門] 주변 요새를 점령.
광둥[廣東]의 민중들이 영국인 6명을 참살.
1850 중국에서 홍수전(洪秀全)에 의해 태평천국(太平天國)의 난 발생.(~1864).
1850 11.22 임칙서 태평천국(太平天國)의 난을 진압하라는 명을 받고 흠차대신
광시순무[廣西巡撫]에 임명되어 부임 도중 병사.
1853 3월 태평천국군, 남경을 점령하고 天京으로 개칭.
1855 중국 광둥[廣東]에서 반영(反英) 폭동.
1856 10월 애로우호사건 발생.
1857 중국 광시[廣西]에서 프랑스인 선교사 살해.
영국˙프랑스군이 광둥[廣東]을 함락, 제2차 아편전쟁 발발.
1858 5월 러와 아이훈조약 체결.
6월 영·미·프와 天津조약 체결.
1860 10월 영불연합군 북경 점령, 북경조약 체결.
[ 참고문헌 ]
신승하, 『중국근현대사① 근대: 개혁과 혁명(上)』, 대명출판사, 2004
중국사연구회, 『중국근대사』, 청년서, 1990
서울대학교 동양사연구실 편, 『강좌중국사Ⅴ』, 지식산업사, 2005
박원고 역, 『중국근현대사』, 지식산업사, 2004
천성림 역, 『중국근대사』, 예전사, 1999
이렇게 보면 제 1.2차 아편전쟁의 결과는 중국이 세계자본주의체제 속의 종속적 시장으로 편입되는, 이른바 ‘반식민지’화의 길을 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제 1.2차 아편전쟁의 의의도 여기에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때부터 반제국주의 투쟁이 중국근대사의 주요과제로 등장했다고 할 수 있다. 말하자면 제 1.2차 아편전쟁은 충분히 획기가 될 수 있는 사건인 것이다. 물론 ‘내인(內因)’이 중요하고 중시되어야 하지만 적어도 싸워서 극복해야만 되는 질곡으로서의 ‘외인(外因)’을 무시할 없다. 그것이 당시에는 주변이 의미밖에 가지지 못했을지라도 이후 근대사의 전개과정에서는 전면적 의미를 갖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으로 외인은 질곡으로서가 아니라 이미 여러 분야에서 개혁기운과 함께 시작된 변화를 가속화시킨 측면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북경의 함락에서 받은 중국인의 충격은 민심을 청조에서 이반시킨 측면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서양문물에 대한 관심을 제고시킨 측면도 있다. 제 2차 중영전쟁의 영향 중 하나는 공친왕의 대외협조정책에서 나타나듯 양무운동의 시발점을 제공했다는 점일 것이다. 그것이 부정적 평가를 받는 긍정적 평가를 받는 적어도 외인을 내인과 함께 고찰할 필요가 있다. 내인과 외인의 관련성, 반제투쟁의 반청반봉건투쟁과의 연계성 등을 밝힐 수 있는 당시의 사회경제적 상황이 보다 면밀히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부록 : 아편전쟁 연표>
1785 8.30 임칙서 탄생
1793 영국사절 매카트니의 방문
1804 임칙서 향시(鄕試) 합격
1816 영국사절 암허스트 북경 방문.
1810 베이징北京에의 아편 유입을 엄금
1811 서양인의 내지(內地) 거주 및 그리스도교 포교를 금지
1813 동인도회사(東印度會社)가 차(茶) 이외의 동양무역 독점권을 포기.
중국, 아편 판매를 금지.
1814 중국, 영국인의 선교 금지.
1815 중국, 금연장정(禁煙章程) 제정하고 아편 수입도 금지.
1816 영국 사절 암허스트 일행이 중국에 도착. 영국 군함 류큐[琉球]에 정박, 통상을 요구.
1820 선종(宣宗) 즉위(~1850).
1821 영국인이 중국 위구르 지구 야르칸드[莎車]에 들어와 통상을 요구.
1823 임칙서(林則徐) 장쑤[江蘇] 안찰사(按察使)가 됨.
1825 아편밀수에 의해 은유출 시작.
1828 중국, 외국돈 사용을 금지.
1831 중국, 아편 수입을 엄금.
1833 영국 동인도회사의 대중국무역 독점권 폐지.
1834 영국 사절 네피아가 광둥[廣東]에 부임.
1837 임칙서(林則徐), 후광[湖廣] 총독이 됨.
1838 6월 黃爵滋·林則徐 등 아편 엄금책 상주.
1839 6월 임칙서가 몰수한 아편을 폐기.
7.7 임유희 살해 사건
8.16 임칙서가 마카오를 무력으로 봉쇄
9.4 엘리오트의 함대와 중국 해군 사이에 충돌이 일어나 첫 발포가 일어남.
10월 아편전쟁 수행을 영국하원이 결의.
11.3 촨비[川鼻]에서 양국 해군 간에 전투가 벌어짐. 중국이 참패.
12.6 임칙서는 영국과의 통상 정지를 선포
1840 2월 조지 엘리엇을 전권대표로, 브레머를 사령관으로 하는 원정군을 파견
4월 영국 의회 전쟁 승인
6월 원정군이 마카오 해역에 도착. 영국군이 광주를 봉쇄.
중국에서 아편전쟁 발발(~1842).
임칙서 면직 당하고 기선(琦善)을 흠차대신(欽差大臣) 임명.
1841 2.1 가조약(假條約)을 영국이 일방적으로 선포하고 홍콩을 강점
1841 8월 신임 전권대사 헨리 포틴저가 중국에 도착
1841 7월 양쯔 강과 베이징[北京]으로 가는 주요수송로인 대운하와의 교차점 전장[鎭江] 함락
1842 7월 영국군이 난징[南京]을 포위하고,
8.14 청나라가 항복.
8.29 콘월리스호 선상에서 南京조약 조인.
5개항을 개방하고 홍콩[香港]을 영국측에 할양.
1843 상하이[上海]를 개방.
1844 7월 미국과 망하통상조약(望廈通常條約),
10월 프랑스와 황푸조약[黃포條約] 체결.
1845 임칙서 산간[陝甘]총독 역임.
1847 영국군이 중국 후먼[虎門] 주변 요새를 점령.
광둥[廣東]의 민중들이 영국인 6명을 참살.
1850 중국에서 홍수전(洪秀全)에 의해 태평천국(太平天國)의 난 발생.(~1864).
1850 11.22 임칙서 태평천국(太平天國)의 난을 진압하라는 명을 받고 흠차대신
광시순무[廣西巡撫]에 임명되어 부임 도중 병사.
1853 3월 태평천국군, 남경을 점령하고 天京으로 개칭.
1855 중국 광둥[廣東]에서 반영(反英) 폭동.
1856 10월 애로우호사건 발생.
1857 중국 광시[廣西]에서 프랑스인 선교사 살해.
영국˙프랑스군이 광둥[廣東]을 함락, 제2차 아편전쟁 발발.
1858 5월 러와 아이훈조약 체결.
6월 영·미·프와 天津조약 체결.
1860 10월 영불연합군 북경 점령, 북경조약 체결.
[ 참고문헌 ]
신승하, 『중국근현대사① 근대: 개혁과 혁명(上)』, 대명출판사, 2004
중국사연구회, 『중국근대사』, 청년서, 1990
서울대학교 동양사연구실 편, 『강좌중국사Ⅴ』, 지식산업사, 2005
박원고 역, 『중국근현대사』, 지식산업사, 2004
천성림 역, 『중국근대사』, 예전사, 199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