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의와 리의 본래 의미
2. 의와 리의 관계
3. 의와 리에 대한 군자와 소인의 입장
4. 의의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
5. 의와 리에 대한 맹자의 견해
6. 의와 리에 대한 순자의 견해
7. 의와 리에 대한 동중서의 견해
8. 의와 리에 대한 구분
2. 의와 리의 관계
3. 의와 리에 대한 군자와 소인의 입장
4. 의의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
5. 의와 리에 대한 맹자의 견해
6. 의와 리에 대한 순자의 견해
7. 의와 리에 대한 동중서의 견해
8. 의와 리에 대한 구분
본문내용
구제하는 경우 리(利)가 변하여 의가 되는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한 개인 또는 한 가정 혹은 한 집단을 위해 백성을 압박한다면 리가 불의로 변한 것이라 하였다. 이제까지 세 사람은 리가 의를 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고 보았다.
북송시대 개혁가 왕안석은 의와 리는 협력관계고 둘은 통일되어 있다 하였다. 장재는 "리(利)란 백성들에게 이로울 때 리(利)이고 자신이나 국가에 이로운 것은 다 진정한 리(利)가 아니다"라고 하였다. 여기서 국가는 통치자로 백성을 압박하는 도구이다.
명대의 이지는 사람 마음은 사사롭다 보았고 사람에게 이익이 있는 것을 정의라 보았다. 황종희도 이 견해에 동의했다. 통치자들은 사사로운 이익을 공공의 의로 삼았고 백성들은 그들의 사적인 이익을 추구하지 못하게 했다. 여기서 의리관계는 사실상 임금과 백성간의 이해관계이다.
청대 안원은 의와 리는 모두 필요한 것으로 어느 하나라도 없으면 안된다고 주장하였다. 명청시대는 상품경제 발전 시기이기에 과감히 리를 중시하는 견해를 제출하였다.
의와 리의 관계는 모든 나라에 존재하나 각 견해는 다르다. 광대한 인민의 입장과 역사발전의 추세에 입각해야지 의에 대해서 정확히 인식을 가질 수 있다.
북송시대 개혁가 왕안석은 의와 리는 협력관계고 둘은 통일되어 있다 하였다. 장재는 "리(利)란 백성들에게 이로울 때 리(利)이고 자신이나 국가에 이로운 것은 다 진정한 리(利)가 아니다"라고 하였다. 여기서 국가는 통치자로 백성을 압박하는 도구이다.
명대의 이지는 사람 마음은 사사롭다 보았고 사람에게 이익이 있는 것을 정의라 보았다. 황종희도 이 견해에 동의했다. 통치자들은 사사로운 이익을 공공의 의로 삼았고 백성들은 그들의 사적인 이익을 추구하지 못하게 했다. 여기서 의리관계는 사실상 임금과 백성간의 이해관계이다.
청대 안원은 의와 리는 모두 필요한 것으로 어느 하나라도 없으면 안된다고 주장하였다. 명청시대는 상품경제 발전 시기이기에 과감히 리를 중시하는 견해를 제출하였다.
의와 리의 관계는 모든 나라에 존재하나 각 견해는 다르다. 광대한 인민의 입장과 역사발전의 추세에 입각해야지 의에 대해서 정확히 인식을 가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