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무력한 기독교의 영향력
Ⅱ. 멘토링은 무엇인가?
Ⅲ. 멘토링은 어떻게 하는 것인가?
Ⅳ. 결론: 다음세대를 멘토링의 적용
Ⅱ. 멘토링은 무엇인가?
Ⅲ. 멘토링은 어떻게 하는 것인가?
Ⅳ. 결론: 다음세대를 멘토링의 적용
본문내용
?
6. 의사소통에 능한가? 곧 힘과 용기를 주는 말을 하는가? 열린 귀가 있는가?
7. 멘토리의 성품적인 약점에 인내할 수 있는가?
8. 하나님께서 멘토리 안에서 행하시는 일들을 분별할 수 있는가?
9. 기꺼이 희생할 수 있는가?
10. 겸손한가?
C. 멘토리가 보는 멘토: 어떤 사람을 나의 멘토로 정할 것인가?(밥 빌, '멘토링', 도서출판 디모데).
모든 분석 과정에서 당신이 진정으로 찾고 있는 것은, 당신을 보살펴 주고 믿어주며 격려해주는 사람이라는 단순한 진리를 잊지 않도록 주의하라. 훌륭한 멘토는 당신이 함께 있고 싶어하고 당신보다 경험이 많으며 당신이 인생에서 성공하도록 돕기를 좋아하는 사람이다. 그는 다른 사람들이 매일 무심코 지나치는 정서적인 부분에서 당신이 성숙하도록 돕는다. 만일 그런 사람을 발견했다면 당신은 멘토를 발견한 것이다.
1. 당신에게 솔직한 사람이다.
2. 본받을 만한 귀감이 되는 사람이다.
3. 깊은 유대 관계가 있는 사람이다.
4. 공개적이고 솔직한 사람이다.
5. 교사인 사람이다.
6. 당신의 잠재력을 믿는 사람이다.
7. 당신의 꿈을 파악하고 그 꿈을 현실로 바꾸는 계획을 세울 수 있는 사람이다.
8. 당신이 보기에 성공한 사람이다.
9. 당신을 가르치는 것은 물론이고 당신에게 배울 자세가 되어 있는 사람이다.
10. 자신의 일이 아닌 당신의 일정을 우선적으로 여기는 사람이다.
D. 멘토가 보는 멘토리: 어떤 사람을 나의 멘토리로 정할 것인가?(밥 빌, '멘토링', 도서출판 디모데).
멘토리는 우리가 삶의 에너지를 투자할 가치가 있다고 여기는 사람들이다. 그들이 한밤중에 어려움이 있어 전화를 하는 것은 귀찮은 일이라기보다는 신뢰의 표시이다.
1. 믿을 만한 사람이다.
2. 쉽게 좋아할 수 있고 자연스럽게 시간을 함께 나눌 수 있는 사람이다.
3. 계속 도와주고 싶은 사람이다.
4. 가족 같은 사람이다.
5. 배울 자세가 되어 있는 사람이다.
6. 당신을 좋아하고 사모하는 사람이다.
7. 자기동기화가 되어 있는 사람이다.
8. 당신과 함께 있는 것을 편하게 여기는 사람이다.
9. 내가 없이는 성공하기 힘든 사람이다.
IV. 결론: 다음 세대를 위한 멘토링의 적용
"나는 로렌(예수 전도단 창시자)을 통해 지도력이란 다른 사람들에 대한 지위나 신분이 아니라 사귐을 통한 영향력이라는 것을 배웠다" - 플로이드 맥클렁, 국제 예수 전도단 사역자.
위의 인용문에서도 볼 수 있듯이 멘토링은 양육 방법이기보다 양육태도이다. 멘토링을 또 다른 방법론으로 제시하면 우리들 교회에서는 혼란을 야기 시킬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해온 전도나 제자 훈련의 태도를 바꾸어 멘토링의 태도 곧 섬김을 통한 '사귐의 관계'를 가진다면 다음 세대 교회는 힘을 가질 것이다.
아래의 인용문은 우리가 이미 우리 안에서 얼마든지 멘토링의 태도들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이는 일례이다: "선교 훈련받으러 온 선교 후보생들 한 사람 한 사람을 몇 개월 동안 심혈을 기울여 돌보시는 목사님. 어린 두 아이가 있는 구역 식구를 꼬박꼬박 차로 챙겨 구역 모임에 데려갈 정도로 세심하게 살펴주시는 구역장님. 주일학교에 나온 아이가 형과 싸웠다는 이야기를 듣고 집에까지 찾아가 화해시켜 주는 교회학교 선생님 등".
위에 제시된 멘토링의 유형과 양육 태도를 결부시킬 때에 특별히 교사로서의 삶에서 적용할 수 있는 멘토링의 모습들은 무엇인가? 나열되어 있는 멘토와 멘토리의 자질을 생각할 때 머리에 떠올릴 수 있는 멘토와 멘토리는 각각 누구인가? 이러한 실제적인 질문들을 던질 때에 비로소 '제자화'라는 단어는 우리의 삶에서 시작되고, 어느 순간 몸에 벤 생활 양식으로 발견될 것이다.
6. 의사소통에 능한가? 곧 힘과 용기를 주는 말을 하는가? 열린 귀가 있는가?
7. 멘토리의 성품적인 약점에 인내할 수 있는가?
8. 하나님께서 멘토리 안에서 행하시는 일들을 분별할 수 있는가?
9. 기꺼이 희생할 수 있는가?
10. 겸손한가?
C. 멘토리가 보는 멘토: 어떤 사람을 나의 멘토로 정할 것인가?(밥 빌, '멘토링', 도서출판 디모데).
모든 분석 과정에서 당신이 진정으로 찾고 있는 것은, 당신을 보살펴 주고 믿어주며 격려해주는 사람이라는 단순한 진리를 잊지 않도록 주의하라. 훌륭한 멘토는 당신이 함께 있고 싶어하고 당신보다 경험이 많으며 당신이 인생에서 성공하도록 돕기를 좋아하는 사람이다. 그는 다른 사람들이 매일 무심코 지나치는 정서적인 부분에서 당신이 성숙하도록 돕는다. 만일 그런 사람을 발견했다면 당신은 멘토를 발견한 것이다.
1. 당신에게 솔직한 사람이다.
2. 본받을 만한 귀감이 되는 사람이다.
3. 깊은 유대 관계가 있는 사람이다.
4. 공개적이고 솔직한 사람이다.
5. 교사인 사람이다.
6. 당신의 잠재력을 믿는 사람이다.
7. 당신의 꿈을 파악하고 그 꿈을 현실로 바꾸는 계획을 세울 수 있는 사람이다.
8. 당신이 보기에 성공한 사람이다.
9. 당신을 가르치는 것은 물론이고 당신에게 배울 자세가 되어 있는 사람이다.
10. 자신의 일이 아닌 당신의 일정을 우선적으로 여기는 사람이다.
D. 멘토가 보는 멘토리: 어떤 사람을 나의 멘토리로 정할 것인가?(밥 빌, '멘토링', 도서출판 디모데).
멘토리는 우리가 삶의 에너지를 투자할 가치가 있다고 여기는 사람들이다. 그들이 한밤중에 어려움이 있어 전화를 하는 것은 귀찮은 일이라기보다는 신뢰의 표시이다.
1. 믿을 만한 사람이다.
2. 쉽게 좋아할 수 있고 자연스럽게 시간을 함께 나눌 수 있는 사람이다.
3. 계속 도와주고 싶은 사람이다.
4. 가족 같은 사람이다.
5. 배울 자세가 되어 있는 사람이다.
6. 당신을 좋아하고 사모하는 사람이다.
7. 자기동기화가 되어 있는 사람이다.
8. 당신과 함께 있는 것을 편하게 여기는 사람이다.
9. 내가 없이는 성공하기 힘든 사람이다.
IV. 결론: 다음 세대를 위한 멘토링의 적용
"나는 로렌(예수 전도단 창시자)을 통해 지도력이란 다른 사람들에 대한 지위나 신분이 아니라 사귐을 통한 영향력이라는 것을 배웠다" - 플로이드 맥클렁, 국제 예수 전도단 사역자.
위의 인용문에서도 볼 수 있듯이 멘토링은 양육 방법이기보다 양육태도이다. 멘토링을 또 다른 방법론으로 제시하면 우리들 교회에서는 혼란을 야기 시킬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해온 전도나 제자 훈련의 태도를 바꾸어 멘토링의 태도 곧 섬김을 통한 '사귐의 관계'를 가진다면 다음 세대 교회는 힘을 가질 것이다.
아래의 인용문은 우리가 이미 우리 안에서 얼마든지 멘토링의 태도들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이는 일례이다: "선교 훈련받으러 온 선교 후보생들 한 사람 한 사람을 몇 개월 동안 심혈을 기울여 돌보시는 목사님. 어린 두 아이가 있는 구역 식구를 꼬박꼬박 차로 챙겨 구역 모임에 데려갈 정도로 세심하게 살펴주시는 구역장님. 주일학교에 나온 아이가 형과 싸웠다는 이야기를 듣고 집에까지 찾아가 화해시켜 주는 교회학교 선생님 등".
위에 제시된 멘토링의 유형과 양육 태도를 결부시킬 때에 특별히 교사로서의 삶에서 적용할 수 있는 멘토링의 모습들은 무엇인가? 나열되어 있는 멘토와 멘토리의 자질을 생각할 때 머리에 떠올릴 수 있는 멘토와 멘토리는 각각 누구인가? 이러한 실제적인 질문들을 던질 때에 비로소 '제자화'라는 단어는 우리의 삶에서 시작되고, 어느 순간 몸에 벤 생활 양식으로 발견될 것이다.
추천자료
Leadership & Mentoring
창업계획서 (Mentoring Service + 서적판매)
교회의 사회복지 현황과 개선점 (UBF 연희 센터를 중심으로)
청소년비행예방을 위한 멘터링프로그램의 효과
[상황적합 리더십 이론][리더십론][리더십][리더쉽]상황적합 리더십(리더쉽) 이론과 리더십론...
지방공기업팀제운영에 대한 모든 것
[경영] 멘토링(신입사원교육안)에 관하여
[기독교 리더십] 21세기 한국 교회를 위한 영적 리더십의 적용 _ 비전의 리더십, 목자의 리더...
[멘토링에 대한 기초 이해] 멘토링의 기원과 발전,멘토링 개념, 멘토링의 종류와 유형, 멘토...
(사회복지 공동모금회 양식) “Special Mentoring School” 발달장애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예비...
<사회복지재단 실제 선정 프로포절> 자폐&#8901;지적장애 아동 및 비장애청소년의 통합 ...
[번역과제] [Mentor Coaching And Leadership] NOLAN, Mary 저서 [CHAPTER 4. Mentor Coachin...
게리 콜린스의 코칭 바이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