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및 청소년기의 주요 정신장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정신지체

2. 학습장애

3. 대화장애

4. 전반적 발달장애

5. 수면장애

6. 틱장애

7. 자살

본문내용

않는 아주 사소한 틱이나 경한 형태의 일시적인 틱장애는 즉각적인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런 경우 경과를 관찰해보면서, 틱이 계속되거나 진단기준에 부합되면 그때 치료를 시작한다.
·환아나 가족을 위한 교육
가족이나 일반인들은 틱증상을 일부러 혹은 고의로 증상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는 틀린 생각이다. 나무라거나 비난하기, 놀리기, 지적하기 등을 피한다.
초기에 가장 효과적인 대책은 증상을 무시하고 관심을 주지 않는 것이다.
틱증상은 뇌의 이상에서 비롯되며, 사회심리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순수한 심리적인 질환 혹은 정신병이 아니다.
·약물치료
중등도 이상의 증세를 보이는 경우에는 정신치료나 행동치료 단독으로 증상의 개선을 기대하기 어렵다. 현재까지는 임상적으로 문제가 되는 중등도 이상의 틱장애 치료에 약물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일과성 틱 장애가 아닌 만성 틱장애, 뚜레씨 장애의 경우에는 약물치료가 대개 시행된다.
- 도파민 수용체 길항제(할로페리돌, 피모짓, 리스페리돈) : 전체 환아의 70-80%에서 효과가 있다. 낮은 용량에서 시작하여 서서히 증량하게 된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할로페리돌은 0.5-6mg, 피모짓은 1-10mg 정도의 용량이 사용된다. 대개 4-8주 정도 투여하면 효과 여부를 알 수 있다. 이 약물의 부작용으로는 급성 근긴장증, 장시정좌불능증, 행동저하, 인지장해, 체중증가 등이 있지만, 대개 약물을 줄이거나 끊으면 좋아진다. 정신과 전문의가 주의깊게 처방하는 경우에는 심각한 부작용의 염려는 하지 않아도 좋다. 이러한 부작용이 적은 리스페리돈과 같은 새로운 약물이 처방되고 있다.
- 클로니딘, 구안파신 : 성인의 고혈압치료에 사용되는 약물로서 도파민 수용체 길항제에 반응이 없는 경우에 사용된다. 8-12주 투여에 의해 20-30%의 증상 완화 효과가 있다. 효과는 적지만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부작용으로는 환아의 10-20%에서 졸리움을 보고한다.
7. 자살
자살은 고의적으로 자신에게 부과한 죽음이다. 자살은 함부로 저지르거나 의미가 없는 행동이 아니라 오히려 개인에게 심한 고통을 주는 위기나 어려움을 탈출하려는 시도이다. 따라서 자살자는 자신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도움을 요청하는 행위를 한번쯤은 시도한다.
자살은 인간의 10대 사망원인이고 우리나라의 자살율은 10만명당 8.5명으로 높은 편이다. ① 원인
·사회학적 원인
자살에 사회가 미치는 영향은 몇 가지로 나누어진다. 즉 이기적 자살: 개인이 한 사회에 밀접한 관계를 맺지 못하여 일어난다. 예가 정신분열증, 우울증 등이다. 이타적 자살은 개인이 사회와 너무 밀접하여 일어나는 것으로 일본의 가미가제 자살이 예다. 무통제적 자살은 사회에 너무 갑자기 차단되어 일어나는 것으로 경제적 파탄이나 가치의 붕괴시 발생된다.
·심리적 원인
다른 사람에게 향한 분노가 갑자기 자신에게 화살이 돌아갈 때 발생된다. 또한 자신의 생각, 내가 죽으면 어떻게 될까라는 공상에서 출발한다고 하나 혼합된 감정이 있다. 즉 복수 징벌 희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생리적 원인
유전적 원인으로는 조울증 우울증에서 자살이 많은 이유를 고려하여야 한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뇌에서 세로토닌의 영향에 주목하고 있다.
② 자살 가능성의 평가
- 45세 이상의 연령
- 알코올 의존
- 격노 흥분
- 과거자살기도
- 남자
- 도움을 거절
- 장기간의 우울증
- 과거 정신과 입원
- 최근의 이별, 사별
- 우울증
- 신체적 질병
- 실직 은퇴
- 독신 과부 이혼
③ 치료 대책
일단 시행하면 생명이 위험한 것이 자살이다. 따라서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 예방은 가능성이 있는 사람의 철저한 평가이다. 자살의도나 계획 등을 질문하고 행동에 자신을 정리하려는 기도가 있었다면 철저한 관찰이 필요하다. 자살이 의심되면 응급입원의 대상이 된다. 지체없이 정신병원에 입원시켜 철저한 원인 규명과 대책을 세워야 한다. 사회적 대책은 자살을 경시하는 사회는 인간의 목숨도 경시한다. 또한 자살을 미화하는 사회는 자살율이 높다 이 두 가지의 사회적 태도에 변화가 있어야 한다.
참고문헌
김소야자(2004). 청소년의 성장발달과 간호
http://mentalhealth.kihasa.re.kr/disease/index.html
http://healthcare.joins.com/ency/ency/ency.asp?code=579
http://drchoi.pe.kr/tic.htm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11.21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23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