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제인 캠피온 감독
2. <여인의 초상> 줄거리
3. 제인 캠피온 감독의 영화 ‘여인의 초상’
1) 표현의 장으로서의 영화, 제인 캠피온
2) 감각을 통해 표현되는 여성의 고유성
3) 다양한 스타일의 집합장
4) 여성의 보편적 존재성을 담은 공간
2. <여인의 초상> 줄거리
3. 제인 캠피온 감독의 영화 ‘여인의 초상’
1) 표현의 장으로서의 영화, 제인 캠피온
2) 감각을 통해 표현되는 여성의 고유성
3) 다양한 스타일의 집합장
4) 여성의 보편적 존재성을 담은 공간
본문내용
묘사라는 것이다.
4) 여성의 보편적 존재성을 담은 공간
<여인의 초상>에서 보여지는 공간은 실제 현실과 아무런 상관이 없다. 이는 영화의 도입부에 명확하게 보여진다. 지금부터 펼쳐질 이야기가 시공간을 초월한 여성의 보편적 존재성에 관한 이야기라는 것을 묘사하기 위해 보여주는 다양한 여성들의 모습은 절대 사실적이지 않다. 마치 환상, 혹은 환각적 효과를 불러일으키려는 듯이 빛의 광학적 반사효과, 거울의 왜곡효과, 부자연스러운 무리의 모습과 부감 등을 사용하고 있다. 게다가 이 시퀸스 다음에 이어지는 이자벨의 모슴은 그녀의 눈까지 트래킹되는 익스트림 클로즈업으로 보여진다. 결국 그 다음에 보이는 1872년 영국의 가든코트라는 자막은 그 객관적 현실성을 잃게되고, 영화의 시공간은 영사적 시공간이 아니라 내면의 그것으로 대치되는 것이다. 이는 마치 루이스 부늬엘이 <안달루시아의 개>에서 보여주었던 조롱 섞인 자막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옛날옛적에’ ‘3년후’ 등의 자막이 영화의 내러티브와 관련이 있다고 믿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이 영화에서도 마찬가지고 그 숫자는 그 정확한 숫자명시로 인해 오히려 역사적 진실성을 의심케 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4) 여성의 보편적 존재성을 담은 공간
<여인의 초상>에서 보여지는 공간은 실제 현실과 아무런 상관이 없다. 이는 영화의 도입부에 명확하게 보여진다. 지금부터 펼쳐질 이야기가 시공간을 초월한 여성의 보편적 존재성에 관한 이야기라는 것을 묘사하기 위해 보여주는 다양한 여성들의 모습은 절대 사실적이지 않다. 마치 환상, 혹은 환각적 효과를 불러일으키려는 듯이 빛의 광학적 반사효과, 거울의 왜곡효과, 부자연스러운 무리의 모습과 부감 등을 사용하고 있다. 게다가 이 시퀸스 다음에 이어지는 이자벨의 모슴은 그녀의 눈까지 트래킹되는 익스트림 클로즈업으로 보여진다. 결국 그 다음에 보이는 1872년 영국의 가든코트라는 자막은 그 객관적 현실성을 잃게되고, 영화의 시공간은 영사적 시공간이 아니라 내면의 그것으로 대치되는 것이다. 이는 마치 루이스 부늬엘이 <안달루시아의 개>에서 보여주었던 조롱 섞인 자막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옛날옛적에’ ‘3년후’ 등의 자막이 영화의 내러티브와 관련이 있다고 믿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이 영화에서도 마찬가지고 그 숫자는 그 정확한 숫자명시로 인해 오히려 역사적 진실성을 의심케 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추천자료
[영화감독] 곽재용, 그가 만드는 빛의 영상
감독이 없는 영화 역도산
프랑스 영화감독들
좋아하는 감독 김기덕 감독의 영화들
작가주의 영화감독 김기덕
[영화의이해] 한국의 영화감독<김기덕, 박찬욱, 홍상수, 이명세, 이창동>
영화 현기증을 감독론 중점으로 분석
영화에 있어서 감독의 중요성과, 하는 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
영화감독의 중요성
[영화 감상문] 이창동 감독의 영화 ‘시(Poetry)’를 보고
영화로 보는 역사,마이클 콜린스 Vs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두 영화의 공통질 차이점,아일랜드...
[영화와 공간] 하이데거(Heidegger)의 불안개념과 미장센느(mise-en-scene) 중심으로 (공간...
[영화감상문] 할매꽃 (문정현 감독) (영화감상평)
[현대중국입문] 장이머우 감독의 영화 <인생(活着)>을 보고, 중국 현대사의 주요 사회정치적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