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교사의 조건
2. 열린 교육
3. SQ4R & MURDER
4. 교수 - 학습 활동
5. 수업의 모형
6. 좋은 수업
2. 열린 교육
3. SQ4R & MURDER
4. 교수 - 학습 활동
5. 수업의 모형
6. 좋은 수업
본문내용
다른 방법으로 수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모든 교과는 세 가지 부분 도입(introduction), 전개(development), 정리(consolidation)로 나누는 것이 보통이다. 세가지 단계를 좀더 상세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1) 도입(introduction)
도입은 교과의 주제를 주도한다. 60분을 한 교과 시간으로 한다면 4-5분 동안 계속해서 짧게 진행된다. 시간은 주제와 학생에 달려 있다. 도입에서는
① 학생의 주의를 모은다.
② 명백한 목표를 제시한다.
③ 교과의 장면을 조정한다.
④ 과거의 교과와 앞으로의 교과와 관계를 맺는다.
⑤ 과거의 중요한 점을 지적한다.
도입이 다섯 가지 유형을 살펴보면
① 복습형 도입
이전의 지식, 기능 또는 태도를 점검한다.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일상사가 되고 흥미와 관심을 잃게 한다. 따분한 시간이 될 수 있다.
② 주제형 도입
이 형은 어떤 현안이나 사건을 다룬다. 어디까지나 현실 세계와 강한 연계를 가지게 하여 주제가 얼마나 관련을 가지고 중요한가를 보인다. 교사가 이런 도입을 계획하고 사용하는 것이 쉽고 교실 밖에서 무엇이 일어나는가를 주시한다.
③ 일화형 도입
한 원리를 예시하기 위하여 공통 경험을 사용한다. 때로는 비유를 들고 한 영역에서 아이디어를 끌어내어 다른 영역에 적용한다. 일화형 도입은 교훈을 많이 다루는 것이 보통이고 중요한 점은 비유와 일화를 찾아서 수업에 사용한다는 점이다.
④ 역사형 도입
교과를 끌어오기 위하여 역사적 사건을 활용한다. 역사는 도입에 중요한 자료 출처가 된다. 말하자면 무궁한 공급처이다.
2) 전개(development)
전개는 수업의 동체에 해당하고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주제가 점차로 열리게 된다. 전개는 전후의 맥락이 주요한 관심이 된다. 무엇을 처음 가르칠까? 무엇을 나중에 가르칠까? 논리적인가? 이런 것들이 결정하여야 할 사항이다. 수업 시간의 65%를 차지하니까 할 일도 많고 고려의 대상도 많다. 중복이 되지 않도록 계획이 필수다.
전개의 목표는,
① 점진적으로 주제를 전개시키거나 펼친다.
② 내용에는 매끈한 계속성과 논리적 질서를 보장한다.
③ 개인이나 집단이 적극적으로 참가하도록 충분한 시간을 할애한다.
④ 수업의 방법에는 다양성과 생동감을 살린다.
⑤ 시간과 자원을 능동적인 방법으로 운영한다.
전개를 이끌어 가는 동안 교사는 우선 문제와 기회를 고려하여야 한다.
이 전개를 하는 동안 교사가 할 일은,
① 학습하고자 하는 과제에 관련시켜 학생이 이미 알고 있는 것을 회상시킨다.
② 새로운 지식, 기능과 태도를 제공한다.
③ 격려하고 지도한다.
④ 학생이 지금 하고 있는 것에 대해 피이드백을 부지런하게 제공한다.
학생이 이 전개의 과정에서 적극 참여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취해야 할 활동을 단계로 제시하면
① 검정단계 : 이 단계에 교사는 학생에게 어떤 것에 주의를 기울이고 분석하도록 한다. 학생은 일련의 지식을 얻고 다음 단계에 응용하도록 준비한다.
② 이해단계 : 학생은 자신이 검증한 것을 생각하고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가애ㅔ 대해 설명한다. 토의는 중요 활동으로 주의한다, 분류한다, 명명한다, 확인한다, 설명한다, 연습한다, 격려한다, 시정한다, 이용한다 등의 많은 활동이 포함된다. 그 중요 활동으로 질문, 토의, 숙제 풀기, 노우트가 포함된다.
③ 응용단계 : 이 단계에서 학습한 것을 현실 세계에 응용하도록 요구한다. 연습, 격려와 교정이 중요 활동이다. 교사가 하는 질문은 평가의 목적도 있다.
3) 정리(consolidation phase)
정리는 마무리하는 단계로서 배운 것을 강화하여 단기기억에서 장기기억으로 옮겨 놓고 마감한다.
주요 활동은,
① 학생이 학습한 것을 정착시킨다.
② 완료의 수준을 평가한다.
③ 학습한 것을 새로운 장면에 응용한다.
④ 전 과정을 복습한다.
6. 좋은 수업
지금까지 논의해 온 것이 모두 종합된 좋은 수업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① 너무 일찍 끝낼 과제를 주지 말라.
② 너무 자신하지 말고 자신을 떨어뜨리지 말라.
③ 적절한 언급으로 보고서를 교정하라.]
④ 다재다능하라.
⑤ 소리지르지 말라.
⑥ 참아라.
⑦ 학생을 포기하지 말라.
⑧ 후원해주고 확신을 가져라.
⑨ 유머 감각을 가져라.
⑩ 교실을 왔다갔다하라.
⑪ 공부를 시키면서 학생을 체크하라.
⑫ 교과에 능력을 쌓아라.
⑬ 학생 수준에 맞게 가르쳐라.
⑭ 불평하지 말고 편애하지 말라.
⑮ 단정하게 옷을 입고 젊게 가꾸어라.
1) 도입(introduction)
도입은 교과의 주제를 주도한다. 60분을 한 교과 시간으로 한다면 4-5분 동안 계속해서 짧게 진행된다. 시간은 주제와 학생에 달려 있다. 도입에서는
① 학생의 주의를 모은다.
② 명백한 목표를 제시한다.
③ 교과의 장면을 조정한다.
④ 과거의 교과와 앞으로의 교과와 관계를 맺는다.
⑤ 과거의 중요한 점을 지적한다.
도입이 다섯 가지 유형을 살펴보면
① 복습형 도입
이전의 지식, 기능 또는 태도를 점검한다.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일상사가 되고 흥미와 관심을 잃게 한다. 따분한 시간이 될 수 있다.
② 주제형 도입
이 형은 어떤 현안이나 사건을 다룬다. 어디까지나 현실 세계와 강한 연계를 가지게 하여 주제가 얼마나 관련을 가지고 중요한가를 보인다. 교사가 이런 도입을 계획하고 사용하는 것이 쉽고 교실 밖에서 무엇이 일어나는가를 주시한다.
③ 일화형 도입
한 원리를 예시하기 위하여 공통 경험을 사용한다. 때로는 비유를 들고 한 영역에서 아이디어를 끌어내어 다른 영역에 적용한다. 일화형 도입은 교훈을 많이 다루는 것이 보통이고 중요한 점은 비유와 일화를 찾아서 수업에 사용한다는 점이다.
④ 역사형 도입
교과를 끌어오기 위하여 역사적 사건을 활용한다. 역사는 도입에 중요한 자료 출처가 된다. 말하자면 무궁한 공급처이다.
2) 전개(development)
전개는 수업의 동체에 해당하고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주제가 점차로 열리게 된다. 전개는 전후의 맥락이 주요한 관심이 된다. 무엇을 처음 가르칠까? 무엇을 나중에 가르칠까? 논리적인가? 이런 것들이 결정하여야 할 사항이다. 수업 시간의 65%를 차지하니까 할 일도 많고 고려의 대상도 많다. 중복이 되지 않도록 계획이 필수다.
전개의 목표는,
① 점진적으로 주제를 전개시키거나 펼친다.
② 내용에는 매끈한 계속성과 논리적 질서를 보장한다.
③ 개인이나 집단이 적극적으로 참가하도록 충분한 시간을 할애한다.
④ 수업의 방법에는 다양성과 생동감을 살린다.
⑤ 시간과 자원을 능동적인 방법으로 운영한다.
전개를 이끌어 가는 동안 교사는 우선 문제와 기회를 고려하여야 한다.
이 전개를 하는 동안 교사가 할 일은,
① 학습하고자 하는 과제에 관련시켜 학생이 이미 알고 있는 것을 회상시킨다.
② 새로운 지식, 기능과 태도를 제공한다.
③ 격려하고 지도한다.
④ 학생이 지금 하고 있는 것에 대해 피이드백을 부지런하게 제공한다.
학생이 이 전개의 과정에서 적극 참여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취해야 할 활동을 단계로 제시하면
① 검정단계 : 이 단계에 교사는 학생에게 어떤 것에 주의를 기울이고 분석하도록 한다. 학생은 일련의 지식을 얻고 다음 단계에 응용하도록 준비한다.
② 이해단계 : 학생은 자신이 검증한 것을 생각하고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가애ㅔ 대해 설명한다. 토의는 중요 활동으로 주의한다, 분류한다, 명명한다, 확인한다, 설명한다, 연습한다, 격려한다, 시정한다, 이용한다 등의 많은 활동이 포함된다. 그 중요 활동으로 질문, 토의, 숙제 풀기, 노우트가 포함된다.
③ 응용단계 : 이 단계에서 학습한 것을 현실 세계에 응용하도록 요구한다. 연습, 격려와 교정이 중요 활동이다. 교사가 하는 질문은 평가의 목적도 있다.
3) 정리(consolidation phase)
정리는 마무리하는 단계로서 배운 것을 강화하여 단기기억에서 장기기억으로 옮겨 놓고 마감한다.
주요 활동은,
① 학생이 학습한 것을 정착시킨다.
② 완료의 수준을 평가한다.
③ 학습한 것을 새로운 장면에 응용한다.
④ 전 과정을 복습한다.
6. 좋은 수업
지금까지 논의해 온 것이 모두 종합된 좋은 수업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① 너무 일찍 끝낼 과제를 주지 말라.
② 너무 자신하지 말고 자신을 떨어뜨리지 말라.
③ 적절한 언급으로 보고서를 교정하라.]
④ 다재다능하라.
⑤ 소리지르지 말라.
⑥ 참아라.
⑦ 학생을 포기하지 말라.
⑧ 후원해주고 확신을 가져라.
⑨ 유머 감각을 가져라.
⑩ 교실을 왔다갔다하라.
⑪ 공부를 시키면서 학생을 체크하라.
⑫ 교과에 능력을 쌓아라.
⑬ 학생 수준에 맞게 가르쳐라.
⑭ 불평하지 말고 편애하지 말라.
⑮ 단정하게 옷을 입고 젊게 가꾸어라.
추천자료
토론식수업(토론수업, 토의학습)의 정의와 유형, 토론식수업(토론수업, 토의학습)의 필요성과...
수준별수업(수준별학습, 교육과정)의 종류와 의의, 수준별수업(수준별학습, 교육과정)의 운영...
수준별수업(수준별교육과정, 학습) 유형과 필요성, 수준별수업(수준별교육과정, 학습) 쟁점, ...
집단탐구수업(학습)모형의 장점과 단점, 집단탐구수업(학습)모형의 전개형태, 집단탐구수업(...
[교실수업개선]교실수업개선의 의미, 교실수업개선의 중요성과 교실수업개선을 위한 국어과 I...
[교실수업개선][교실수업]교실수업개선의 목적, 교실수업개선의 조건과 교실수업개선을 위한 ...
사회과 수준별수업(교육과정, 학습)의 특징과 주안점, 사회과 수준별수업(교육과정, 학습)의 ...
[수업기법][수업방법]창의성개발수업기법(수업방법), 주의집중수업기법(수업방법), 책상순회...
[수업설계][수학교육][미술교육][웹기반교육][수준별교육]수업설계 정의, 수업설계의 동향, ...
[수업원리][사회과교육][과학과교육][컴퓨터과교육][근접발달영역][ZPD]사회과교육 수업원리,...
토의수업(토의학습, 토론학습)의 정의, 토의수업(토의학습, 토론학습)의 의의, 토의수업(토의...
컴퓨터보조수업(컴퓨터보조학습, CAI) 개념과 특성, 컴퓨터보조수업(컴퓨터보조학습, CAI) 실...
[좋은수업][좋은수업을 위한 방법]좋은수업의 개념, 좋은수업의 성격, 좋은수업의 설계, 좋은...
[수업집중놀이]수업집중놀이 사례 - 낱말 알아 맞추기, 머리위에 손, 수업집중놀이 사례 - 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