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냉수리비와 왕권의 위상
본문내용
을 지배층을 분열시키고 읍락단위까지 지배권을 확립하였으나 일정한 한계는 있었다고 말했다. 선석열은 이것은 마립간 시기에 이르러 지방통치가 가능하였음을 시사하는것이라 생각되고 마립간시기 통치조직의 확대정비에 수반하여 신라의 영역내에 행한 주요 거점지역의 지방통치의 전초작업이라 할 수 있다고 하였다. ‘촌주’에 대해서는 여기서 촌주가 2인이 등장하는 것은 이시기 지방통치의 체계가 촌주이하의 하급집단에 대한 편제가 아직 마련되지 못하였음을 보이는 것으로서 그 지방 촌락의 대표자로서 성격을 시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고 하였고 ‘간지’급을 상하로 편제하였음을 알 수 있다고 하였다.
이상 냉수리비에서 당시 왕권에 대해 논의되고 있는 세가지 쟁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당시 왕권의 위상 대하여 이종욱은 당시 신라인들 사이에 신분적 정치적인 격차가 매우 커져있었고 왕을 중심으로 한 최고 지배세력의 지배력이 크게 강화되어 있었다고 보았다. 이기동은 이에 반하여 당시의 왕권은 육부의 부장중 한명으로서의 역할을 했을 뿐 왕권은 미약했다고 보았다. 그리고 주보돈과 이우태는 당시는 기존 지배세력이 강대했던 시기에서 왕권강화로 가는 과도기적 시기였다고 보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냉수리비에서 당시 왕권에 대해 논의되고 있는 세가지 쟁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당시 왕권의 위상 대하여 이종욱은 당시 신라인들 사이에 신분적 정치적인 격차가 매우 커져있었고 왕을 중심으로 한 최고 지배세력의 지배력이 크게 강화되어 있었다고 보았다. 이기동은 이에 반하여 당시의 왕권은 육부의 부장중 한명으로서의 역할을 했을 뿐 왕권은 미약했다고 보았다. 그리고 주보돈과 이우태는 당시는 기존 지배세력이 강대했던 시기에서 왕권강화로 가는 과도기적 시기였다고 보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