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이상행동의 원인
2. 이상행동의 증상
3.이상행동의 종류와 원인
1) 자폐증
2) 편집적 성격장애
3) 이상 성행동
2. 이상행동의 증상
3.이상행동의 종류와 원인
1) 자폐증
2) 편집적 성격장애
3) 이상 성행동
본문내용
가학-피학적인 성도착자들은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규칙을 깨는데서 오는 기쁨을 만끽하려고 한다.
피학적인 성행위를 즐기는 사람들 가운데는 회사의 중역, 정치인, 판사 또는 은행가 등의 남자들도 보이는데 이들은 성행동을 통해서 자신들의 사회적인 통제나 지배 심리에서 벗어나기 위한 탈출구로서 이용하지 않을까 하는 추측도 있다.
반면에 가학적인 성행위자는 남을 가학함으로써 자신의 자존감을 고양시키려고 시도한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5) 주물 숭배 색욕 이상증(Fetishism)
① 증상
주물 숭배 색욕 이상증은 무생물이나, 인간 신체의 일부분에 대해서 성적인 흥분을 느끼는 경우를 말한다.
② 원인
주물에 관한 성적인 도착증자는 어린 시절에 성적인 흥분과 자신이 좋아했던 사람의 특정한 물건과 연상 경험이 있었다고 추정한다
6) 이성 복장 착용자(Tranvestism)
① 증상
남성으로서 여성의 복장을 착용하면서 성적으로 흥분을 느끼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남성들은 결혼을 했거나 신체적으로 건장하다. 그러나 그들은 가발이나 화장술과 같은 여성의 행동을 함으로서 어지간한 사람들도 속을 정도이다.
이성의 복장 착용은 어린아이의 시절부터 시작하거나 초기의 청소년기에 시작한다. 이들은 어린 시절에 남아가 여아의 복장을 했다고 해서 어른들에게 벌을 받은 경험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Stroller, 1977).
② 원인
다른 성적인 도착증자와 같이 의복 도착증자도 어린 시절에 이성 복장을 착용한 것에 대해서 강화를 받았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7) 성 전환증(Transexualism)
① 증상
일반적으로 유전에 의해서 결정된 성을 나중에 변환시키는 경우를 말한다.
성 전환하려는 심리를 보면 개인의 해부학적인 성에 대한 부적절감, 자신의 성기를 제거하고 이성의 구성원으로 살고 싶다는 욕망에서 비롯할 수 있다.
남성이 성전환하고 싶은 경우는 위의 요인 외에 모자간에 공생 기간이 길어 너무 길거나 밀착되어 여성과 자신을 동일시한다는 것이다. 이 경우 아버지는 수동적이기 때문에 남성의 성생활을 제대로 보여주지 못한다.
여성이 남성이 되고 싶어하는 경우를 보면 어릴 때부터 남성으로 행동해 왔고 여성의 아름다움을 표현하지 못한 사람들이 성전환에 관심이 있다. 여아가 출생할 당시 남아에 대한 부모의 선호로 인해 무의식적으로 남성과 같이 되어서 부모의 욕망을 충족시켜 주려는 욕구 때문이기도 하다.
8) 아동을 대상으로 한 성행동(Pedophilia)
① 증상
선택의 여지가 있는 상황에서 성인을 배제하고 사춘기 이하의 아동과의 성관계나 성적인 접촉을 즐기는 경우를 아동선호증을 의미하는 기아증 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사람들은 자신의 삶에서 성적 좌절감, 외로움, 개인적인 갈등을 순간적으로 풀어내는 것일 수 있다.
9) 동물 수음(Zoophila)
① 증상
동물과의 성적인 접촉을 갖는 경우를 수간(bestiality)이라고 부른다. 특히 동물과 반복적인 성행위나 환상에 잠기는 행위가 동물 수간자들의 특징이다.
② 원인
동물 수음을 하는 사람들은 호기심에서 또는 새로운 것을 시도해 보려는 목적으로 시작한 경우와 성적인 상대자를 구할 수 없을 때 동물을 상대로 시도한 경우가 있다(Tollison, & Adams, 1979).
10) 금욕생활
성행동의 한 현상 중의 하나는 성행동을 절제하면서 성관계를 전혀 갖지 않는 금욕의 생활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금욕자의 경우는 같이 동거할 파트너가 없다든가 건강이 나쁘다든가의 이유에서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어떤 종교에서는 금욕을 제사장이나 성직자가 되는 조건으로 내 세우기도 한다.
금욕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인간이 성의 욕구에서 해방될 때 진정한 인생의 기쁨을 만끽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어떤 사람들은 삶의 젊음을 재창조하고 창조성을 개발하기 위해서 금욕의 생활을 선호하는 경우가 있다. 금욕을 생활에 실천한다고 해서 신체적으로 끼치는 영향은 없다. 왜냐하면 우리의 신체가 성적인 긴장 상태가 위험 수준에 오르면 젊을 때는 밤에 몽정을 통해서 사정을 해내고 나이가 들어서는 자위행위로 몸의 긴장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참고문헌
1. http://my.netian.com/~finder2000/researches/researches104.html
2. http://home.naver.com/webhospital/n.htm
3. http://fire.gyeonggi.kr/~osan/7_school/73_rescue/73_13.htm
피학적인 성행위를 즐기는 사람들 가운데는 회사의 중역, 정치인, 판사 또는 은행가 등의 남자들도 보이는데 이들은 성행동을 통해서 자신들의 사회적인 통제나 지배 심리에서 벗어나기 위한 탈출구로서 이용하지 않을까 하는 추측도 있다.
반면에 가학적인 성행위자는 남을 가학함으로써 자신의 자존감을 고양시키려고 시도한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5) 주물 숭배 색욕 이상증(Fetishism)
① 증상
주물 숭배 색욕 이상증은 무생물이나, 인간 신체의 일부분에 대해서 성적인 흥분을 느끼는 경우를 말한다.
② 원인
주물에 관한 성적인 도착증자는 어린 시절에 성적인 흥분과 자신이 좋아했던 사람의 특정한 물건과 연상 경험이 있었다고 추정한다
6) 이성 복장 착용자(Tranvestism)
① 증상
남성으로서 여성의 복장을 착용하면서 성적으로 흥분을 느끼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남성들은 결혼을 했거나 신체적으로 건장하다. 그러나 그들은 가발이나 화장술과 같은 여성의 행동을 함으로서 어지간한 사람들도 속을 정도이다.
이성의 복장 착용은 어린아이의 시절부터 시작하거나 초기의 청소년기에 시작한다. 이들은 어린 시절에 남아가 여아의 복장을 했다고 해서 어른들에게 벌을 받은 경험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Stroller, 1977).
② 원인
다른 성적인 도착증자와 같이 의복 도착증자도 어린 시절에 이성 복장을 착용한 것에 대해서 강화를 받았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7) 성 전환증(Transexualism)
① 증상
일반적으로 유전에 의해서 결정된 성을 나중에 변환시키는 경우를 말한다.
성 전환하려는 심리를 보면 개인의 해부학적인 성에 대한 부적절감, 자신의 성기를 제거하고 이성의 구성원으로 살고 싶다는 욕망에서 비롯할 수 있다.
남성이 성전환하고 싶은 경우는 위의 요인 외에 모자간에 공생 기간이 길어 너무 길거나 밀착되어 여성과 자신을 동일시한다는 것이다. 이 경우 아버지는 수동적이기 때문에 남성의 성생활을 제대로 보여주지 못한다.
여성이 남성이 되고 싶어하는 경우를 보면 어릴 때부터 남성으로 행동해 왔고 여성의 아름다움을 표현하지 못한 사람들이 성전환에 관심이 있다. 여아가 출생할 당시 남아에 대한 부모의 선호로 인해 무의식적으로 남성과 같이 되어서 부모의 욕망을 충족시켜 주려는 욕구 때문이기도 하다.
8) 아동을 대상으로 한 성행동(Pedophilia)
① 증상
선택의 여지가 있는 상황에서 성인을 배제하고 사춘기 이하의 아동과의 성관계나 성적인 접촉을 즐기는 경우를 아동선호증을 의미하는 기아증 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사람들은 자신의 삶에서 성적 좌절감, 외로움, 개인적인 갈등을 순간적으로 풀어내는 것일 수 있다.
9) 동물 수음(Zoophila)
① 증상
동물과의 성적인 접촉을 갖는 경우를 수간(bestiality)이라고 부른다. 특히 동물과 반복적인 성행위나 환상에 잠기는 행위가 동물 수간자들의 특징이다.
② 원인
동물 수음을 하는 사람들은 호기심에서 또는 새로운 것을 시도해 보려는 목적으로 시작한 경우와 성적인 상대자를 구할 수 없을 때 동물을 상대로 시도한 경우가 있다(Tollison, & Adams, 1979).
10) 금욕생활
성행동의 한 현상 중의 하나는 성행동을 절제하면서 성관계를 전혀 갖지 않는 금욕의 생활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금욕자의 경우는 같이 동거할 파트너가 없다든가 건강이 나쁘다든가의 이유에서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어떤 종교에서는 금욕을 제사장이나 성직자가 되는 조건으로 내 세우기도 한다.
금욕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인간이 성의 욕구에서 해방될 때 진정한 인생의 기쁨을 만끽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어떤 사람들은 삶의 젊음을 재창조하고 창조성을 개발하기 위해서 금욕의 생활을 선호하는 경우가 있다. 금욕을 생활에 실천한다고 해서 신체적으로 끼치는 영향은 없다. 왜냐하면 우리의 신체가 성적인 긴장 상태가 위험 수준에 오르면 젊을 때는 밤에 몽정을 통해서 사정을 해내고 나이가 들어서는 자위행위로 몸의 긴장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참고문헌
1. http://my.netian.com/~finder2000/researches/researches104.html
2. http://home.naver.com/webhospital/n.htm
3. http://fire.gyeonggi.kr/~osan/7_school/73_rescue/73_13.ht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