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민가의 유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유형의 개관

(2) 계층별 분류

(3) 살림집의 배치에 따른 분류

본문내용

었다. 안방은 유교적 여성관에 따라 학문 탐구나 예술 활동이 허용되지 않아 사교장소이기보다는 가족의 의식주를 전담하는 가정의 중심지로서, 의류와 침구류의 보관을 위한 수납용 가구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안방을 이루는 주 구성요소는 가구, 소형기물, 병풍 등이고 수납가구로는 장이나 농, 반닫이가 안 ●추사고택의 안방 방가구의 주축을 이루었다.또한 안방은 낮과 밤의 다양한 활동을 모두 수용해야 하므로 반드시 필요한 가구를 중심으로 배치가 이루어 졌으며 그 외의 생활용품은 아랫목 벽 쪽의 다락이나 윗방을 별도의 수장 공간으로 사용하였다. 추사고택 안방의 가구와 기물 아랫목에 놓인 보료 앞에는 서안과 연상이 있고, 창의 머름대 밑에는 낮은 문갑이 놓여 있으며 다른 북쪽에는 의복, 침구를 보관하기 위한 장이 놓여 있다.
●추사고택의 안방의 가구 재배치
□ 사랑방
사랑방은 사랑채를 이루는 주요공간이며 남자 주인의 거처이자 접객공간으로 보통 남쪽을 향하고 있다. 사랑방은 조선시대 유교사상으로 인한 사회적, 문화적 특징을 잘 나타내는 공간으로 주인의 정신세계, 교양, 지식, 가풍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다.상류주택의 사랑방에서는 기거와 침식 이외에 독서, 사색, 접객, 휴식, 예술 등 많은 행위가 이루어졌으므로 단순하며 기풍 있는 문방가구와 소품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윤형궁 노락당의 사랑방
사랑방 가구는 수납가구, 문방가구, 문방소품, 취미용구로 분류되며 문방의 분위기에 맞는 치장을 하기 위해 실내의 벽면은 백지로, 천장은 푸른 배경의 담담한 색지로 도배하고, 방바닥은 기름 먹인 장판을 사용하여 청결을 유지하였다.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12.09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58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