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평판측량의 개요
평판측량의 장단점
평판 세우기(평판의 정치)
평판 측량에 사용되는 기구
수평거리 관측
높이(고저차) 관측
평판측량방법
평판측량의 오차 및 정확도
평판측량의 장단점
평판 세우기(평판의 정치)
평판 측량에 사용되는 기구
수평거리 관측
높이(고저차) 관측
평판측량방법
평판측량의 오차 및 정확도
본문내용
추기
평판 측량에 사용되는 기구
평판
제도용지를 붙이는 직사각형의 판이다.
두께는 17 - 25mm정도이고, 크기는 대체로 60*50㎝(대형), 50*40㎝(중형), 40*30㎝(소형)의 세 종류가 있다.
삼각
평판을 연결, 지지하는 다리
평판 수평.중심맞추기장치 고정장치 회전소켓용 장치
엘리데이드(수평기)
평판의 수평을 맞추어 목표물을 시준 하고 시준선을 도상에 표시하는 기구이다.
엘리 데이드는 시준판, 눈금자, 기포관, 정준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심기와 추
구심기의 고리에 추를 매달아 평판 위의 측점과 땅위의 측점을 동일 연직 선상에 있게 하는데 쓰인다.
측침
가는 철침으로 도면 위의 측점에 꽂고 측점을 시준할 때 기준으로 삼는다.
자침
자북 방향을 정하여 평판 위에 방위를 표시한다
수평거리 관측
직접관측법
간접관측법
망원경 앨리데이드에 의한 법
보통 앨리데이드에 의한 방법
높이(고저차) 관측
망원경 앨리데이드에 의한 법
보통 앨리데이드에 의한 법
수평거리 측정
후시의 경우
전시의 경우
전시의 경우 후시의 경우
평판측량방법
방사법(method of radiation)
- 측량지역에 장애물이 적고 넓게 시준할 경우
- 평판을 한 번 세워 다수점을 관측할 수 있는 장점
전진법(method of traversing)
- 측량지역에 시준장애물이 있는 경우 채택
- 폐합오차에 대한 조정이 필요함(허용오차 이내)
- 보정오차 = (출발점에서 보정해야 할 점까지의 추가거리/측선거리의 총합)
×폐합오차
- 전진법시 주의 사항 ┌ 복전진법을 원칙
├ 결합다각형 이용
├ 변의수 20변 이내
└ 노선길이는 각 축척마다 5㎝ 이내로
교선법(교회법 : method of intersection))
전방교회법
- 기지점에 평판을 세워 미지점을 구하는 방법
- 시오삼각형의 내접이 0.4~0.5㎜ 이내의 경우 중심이 정확한 위치
측방교회법
- 기지점의 일부에 평판을 세울 수 없는 경우 나머지 기지점에서 미지점을 구하는 방법
후방교회법
- 미지점에 평판을 세워 2점 또는 3점의 기지점을 이용하여 미지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 시오삼각형의 내접이 0.4~0.5㎜ 이내의 경우 중심이 정확한 위치
- 후방교회법의 3점 처리문제 - 레이만법, 벳셀법, ,투사지법
전방교회법 측방교회법
투사지에의한 후방교회법 방사법
교회법에서의 주의사항
- 교각은 30°~ 150°를 유지(90°가 이상적)
- 시오삼각형 내접원 직경은 도상에서 5㎜ 이내
- 도상에 5㎝마다 1점씩 배점
- 방향선 길이는 도상 10㎝ 이내
- 방향선 수는 전방 및 측방에서 3방향 이상, 후방은 4방향 이상
단전진법 복전진법
평판측량의 오차 및 정확도
평판측량의 오차 원인
기계적오차
- 기계조정에 이상이 없도록 점검
- 기계적 오차보다 취급시 오차가 큰 점을 감안
도상표시오차
- 측점을 연직으로 세운 점의 크기 0.2㎜ ←표시오차(우차)
- 도상식별 최소거리 0.1㎜
취급시 오차 및 시준오차
- 정준오차, 구심오차, 표정오차, 시준오차, 평판이동오차
평판측량의 오차
기계오차
알리다드의외심오차-알리다드자의 가장자리와 시준선 사이의 간격 (1/150 이상의 대축척 지형도 작성시에 고려)
알리다드의 시준오차-알리다드 시준공 크기, 시준사의 굵기
자침오차-자침의 부정확
정치오차
평판경사에 의한 오차(정준오차)
q4 = 0.2mm인 경우 평판경사가 1/100까지 허용
중심이동오차
측량오차
방사법에 의한 오차
전진법에 의한 오차
교선법에 의한 오차
평판측량의 정확도
. 폐합비로 표시
평탄지 : 1/1,000
완경사지 : 1/800~1/600
급경사지 : 1/500~1/300
평판 측량에 사용되는 기구
평판
제도용지를 붙이는 직사각형의 판이다.
두께는 17 - 25mm정도이고, 크기는 대체로 60*50㎝(대형), 50*40㎝(중형), 40*30㎝(소형)의 세 종류가 있다.
삼각
평판을 연결, 지지하는 다리
평판 수평.중심맞추기장치 고정장치 회전소켓용 장치
엘리데이드(수평기)
평판의 수평을 맞추어 목표물을 시준 하고 시준선을 도상에 표시하는 기구이다.
엘리 데이드는 시준판, 눈금자, 기포관, 정준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심기와 추
구심기의 고리에 추를 매달아 평판 위의 측점과 땅위의 측점을 동일 연직 선상에 있게 하는데 쓰인다.
측침
가는 철침으로 도면 위의 측점에 꽂고 측점을 시준할 때 기준으로 삼는다.
자침
자북 방향을 정하여 평판 위에 방위를 표시한다
수평거리 관측
직접관측법
간접관측법
망원경 앨리데이드에 의한 법
보통 앨리데이드에 의한 방법
높이(고저차) 관측
망원경 앨리데이드에 의한 법
보통 앨리데이드에 의한 법
수평거리 측정
후시의 경우
전시의 경우
전시의 경우 후시의 경우
평판측량방법
방사법(method of radiation)
- 측량지역에 장애물이 적고 넓게 시준할 경우
- 평판을 한 번 세워 다수점을 관측할 수 있는 장점
전진법(method of traversing)
- 측량지역에 시준장애물이 있는 경우 채택
- 폐합오차에 대한 조정이 필요함(허용오차 이내)
- 보정오차 = (출발점에서 보정해야 할 점까지의 추가거리/측선거리의 총합)
×폐합오차
- 전진법시 주의 사항 ┌ 복전진법을 원칙
├ 결합다각형 이용
├ 변의수 20변 이내
└ 노선길이는 각 축척마다 5㎝ 이내로
교선법(교회법 : method of intersection))
전방교회법
- 기지점에 평판을 세워 미지점을 구하는 방법
- 시오삼각형의 내접이 0.4~0.5㎜ 이내의 경우 중심이 정확한 위치
측방교회법
- 기지점의 일부에 평판을 세울 수 없는 경우 나머지 기지점에서 미지점을 구하는 방법
후방교회법
- 미지점에 평판을 세워 2점 또는 3점의 기지점을 이용하여 미지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 시오삼각형의 내접이 0.4~0.5㎜ 이내의 경우 중심이 정확한 위치
- 후방교회법의 3점 처리문제 - 레이만법, 벳셀법, ,투사지법
전방교회법 측방교회법
투사지에의한 후방교회법 방사법
교회법에서의 주의사항
- 교각은 30°~ 150°를 유지(90°가 이상적)
- 시오삼각형 내접원 직경은 도상에서 5㎜ 이내
- 도상에 5㎝마다 1점씩 배점
- 방향선 길이는 도상 10㎝ 이내
- 방향선 수는 전방 및 측방에서 3방향 이상, 후방은 4방향 이상
단전진법 복전진법
평판측량의 오차 및 정확도
평판측량의 오차 원인
기계적오차
- 기계조정에 이상이 없도록 점검
- 기계적 오차보다 취급시 오차가 큰 점을 감안
도상표시오차
- 측점을 연직으로 세운 점의 크기 0.2㎜ ←표시오차(우차)
- 도상식별 최소거리 0.1㎜
취급시 오차 및 시준오차
- 정준오차, 구심오차, 표정오차, 시준오차, 평판이동오차
평판측량의 오차
기계오차
알리다드의외심오차-알리다드자의 가장자리와 시준선 사이의 간격 (1/150 이상의 대축척 지형도 작성시에 고려)
알리다드의 시준오차-알리다드 시준공 크기, 시준사의 굵기
자침오차-자침의 부정확
정치오차
평판경사에 의한 오차(정준오차)
q4 = 0.2mm인 경우 평판경사가 1/100까지 허용
중심이동오차
측량오차
방사법에 의한 오차
전진법에 의한 오차
교선법에 의한 오차
평판측량의 정확도
. 폐합비로 표시
평탄지 : 1/1,000
완경사지 : 1/800~1/600
급경사지 : 1/500~1/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