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흙의 구조
(가) 단립구조(single-grined structure)
(나) 벌집구조(honey-comb structure)
(다) 면모구조(flocculent structure)
(라) 분산구조(dispersed structure)
(2) 흙의 삼상(三相) 관계
(가) 간극비(e)와 간극률(n)
(나) 흙의 함수량(moisture content, ω)
(다) 포화도(degree of saturation, S)
(라) 단위무게(unit weight, γ)
(가) 단립구조(single-grined structure)
(나) 벌집구조(honey-comb structure)
(다) 면모구조(flocculent structure)
(라) 분산구조(dispersed structure)
(2) 흙의 삼상(三相) 관계
(가) 간극비(e)와 간극률(n)
(나) 흙의 함수량(moisture content, ω)
(다) 포화도(degree of saturation, S)
(라) 단위무게(unit weight, γ)
본문내용
ght) 흙 속의 간극이 완전히 물로 가득 차 있을 때, 즉 포화도 100%인 상태에서의 단위 부피당 흙 입자의 무게를 포화 단위 무게라 하며, γsat로 나타낸다.
포화 단위 무게 γsat== …………………………………(1-8)
④ 수중 단위 무게(submerged unit weight) 흙이 물 속에 잠겨 있을 때, 흙 입자는 부력을 받게 된다. 이 때의 단위 무게는 흙의 포화 단위 무게에서 부력을 빼 준 값이 되는데, 이를 수중 단위 무게라 하며, γsub로 나타낸다.
수중 단위 무게 γsub=γsat-γw …………………………………(1-9)
⑤ 흙 입자의 비중 (specific gravity of soil partice, Gs) 흙 입자의 비중은 흙 입자의 단위 무게(γs)를 4℃ 증류수의 단위 무게(γo)로 나눈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토질 역학에서는 4℃ 증류수의 단위 무게(γo)를 물의 단위 무게(γw)와 혼용하여 사용한다.
흙 입자의 비중 Gs== ……………………………(1-10)
여러 시험 결과에 의하면, 모래나 실트의 경우 2.65~2.68정도이고, 무기질 점토의 경우 2.68~2.72, 유기질 점토의 경우 2.62~2.66 정도이다.
포화 단위 무게 γsat== …………………………………(1-8)
④ 수중 단위 무게(submerged unit weight) 흙이 물 속에 잠겨 있을 때, 흙 입자는 부력을 받게 된다. 이 때의 단위 무게는 흙의 포화 단위 무게에서 부력을 빼 준 값이 되는데, 이를 수중 단위 무게라 하며, γsub로 나타낸다.
수중 단위 무게 γsub=γsat-γw …………………………………(1-9)
⑤ 흙 입자의 비중 (specific gravity of soil partice, Gs) 흙 입자의 비중은 흙 입자의 단위 무게(γs)를 4℃ 증류수의 단위 무게(γo)로 나눈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토질 역학에서는 4℃ 증류수의 단위 무게(γo)를 물의 단위 무게(γw)와 혼용하여 사용한다.
흙 입자의 비중 Gs== ……………………………(1-10)
여러 시험 결과에 의하면, 모래나 실트의 경우 2.65~2.68정도이고, 무기질 점토의 경우 2.68~2.72, 유기질 점토의 경우 2.62~2.66 정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