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대학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의 대학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북한의 고등교육과 진로

2. 대입 경쟁

3. 대학내 당의 역할

4. 대학 제도

5. 대학생 생활

6. 대학생들의 연애와 미팅

7. 졸업 후 진로

8. 교원양성제도

9. 북한의 청년들의 취업

본문내용

때문이죠. 북한 노동법 제5조에 '모든 근로자들은 희망과 재능에 따라 직업을 선택한다'고 명시돼 있지만, 실제로 개인의 희망이나 능력은 거의 반영되지 않아요. 주로 출신성분과 당성.재학 중의 정치활동 참가 등이 좌우하지요. 북한 주민들의 직장 배치시기는 세가지로 나뉩니다. 우선 11년제 의무교육을 마치는 시기, 즉 고등중학교를 졸업하는 때입니다. 이 때 군에 입대하지 못하거나 전문학교.대학에 진학하지 못한 학생들은 각 시.군의 인민위원회 노동과의 주선으로 공장.기업소.협동농장 등에 배치됩니다. 다음으로 대학교를 졸업하는 시기입니다.내각(정부)사무국의 지도원들이 대학 당위원회에 파견돼 졸업생들과 개별면담을 하고 도별(道別)로 필요한 인원을 나눠 적절하게 배치합니다. 출신 성분이 좋거나 당 고위 간부의 자녀들은 대개 평양이나 개성.남포 등 직할시에 배치되는 혜택을 누립니다. 형편이 그렇지 못한 학생들은 지방의 당기관.행정경제기관으로 내려가 업적을 거둬야 대도시의 주요 기관으로 진출할 기회를 잡을 수 있어요. 배치 지역에 따라 각 시.도.군 인민위원회에 가면 그곳에서 해당 지역내의 관할 직장 가운데 하나를 결정해 줍니다. 직장 배치에 조금이라도 이견을 보이거나 순종하지 않으면 '엄벌에 처한다'는 경고를 받기 때문에 대부분의 청년이 당국의 결정을 따르죠.
마지막은 군 제대 시기입니다. 제대 명령서를 받은 군인들은 호송군관을 따라 도.시.군 군사동원부까지 집단적으로 이동해 제대 등록을 마칩니다. 군사동원부가 이들을 인솔해 인민위원회 노동과에 인계하면 출신성분과 군 근무기록을 감안해 대상자의 직장이 결정됩니다.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12.29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01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