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서비스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항공서비스 선택요인에 관한 이론적 배경
1. 항공서비스의 개념 및 분류
2. 항공서비스 상품의 경쟁변수
3. 항공서비스 소비자 구매의사결정의 의의
4. 항공서비스 선택의 주요 영향요인
5. 항공서비스 상품의 구매의사결정과정

Ⅲ. 연구설계
1. 조사범위와 방법 2. 설문지의 구성

Ⅳ. 분석결과 및 논의
1. 분석결과
2. 요약 및 논의

Ⅴ. 결 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15
(8.47)
30
(16.95)
22
(12.43)
50
(28.25)
18
(10.17)
12
(6.78)
30
(16.95)
177
(100.0)
Statistic DF Value Prob
------------------------------------------------------
Chi-Square 18 60.688 0.000
Likelihood Ratio Chi-Square 18 52.814 0.000
Mantel-Haenszel Chi-Square 1 1.226 0.268
Phi Coefficient 0.586
Contingency Coefficient 0.505
Cramer's V 0.338
2. 요약 및 논의
종합적으로 볼 때 항공사를 선택하는 속성으로서 기내 및 지상 서비스 요인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다음으로 항공 스케쥴과 항공사의 국적이 중요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의 항공사의 주요 경쟁요인으로는 항공요금의 평준화가 이루어짐에 따라서 요금보다는 기내 및 지상 서비스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성별에 따른 항공서비스 선택요인의 분석 결과를 볼 때, 두집단 모두가 항공사 선택에 있어서 서비스 요인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남성 집단은 항공요금, 여성집단은 항공사 국적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항공사 선택에 있어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어 지고 있는 사항이 기내에서의 승무원의 서비스, 음식제공 서비스 및 지상에서의 발권예약 서비스 등을 고려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령별에 따라서는 회사의 이미지, 서비스 요인, 항공스케쥴 등을 항공사 선택의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월평균 소득별에서는 기내 서비스 및 지상 서비스 요인, 운항 스케쥴를 선택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기내 서비스 및 지상 서비스 요인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항공스케쥴과 항공사 국적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이 높을수록 서비스 내용과 항공운항편수 및 운항스케쥴 등의 요인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소득이 낮을수록 항공요금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행목적별로 볼 때, 비즈니스 목적의 여행을 하는 집단의 경우에 있어서 항공서비스 선택요인으로 기내 서비스 및 지상 서비스 요인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항공 스케쥴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관광목적의 여행을 하는 집단의 경우에는 기내 서비스 및 지상 서비스, 항공사 국적, 항공요금, 회사이미지의 순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수 및 회의 참가의 여행목적을 가진 집단의 경우에는 항공사 국적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친지방문의 목적으로 여행하는 집단은 기내 서비스 및 지상 서비스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볼 때, 비즈니스 여행의 경우에는 서비스 요인과 스케쥴 요인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방면에 관광이나 친지방문의 경우에는 서비스 요인과 항공사 국적, 항공요금을 중요한 선택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행횟수별에 따른 항공사 선택요인을 볼 때 여행 경험이 높을수록 항공 서비스와 항공운항 스케쥴을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는 반면에 여행 경험이 낮을수록 항공사 국적과 항공요금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행동반자 유형과 선택요인과의 관련성에서는 친구나 직장동료와 여행하는 그룹은 기내 및 지상 서비스를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운항스케쥴, 항공사 국적, 회사 이미지의 순으로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과 여행하는 그룹에 있어서는 기내 및 지상 서비스 요인을 중요하게 고려하고 다음으로 안전성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과 여행하는 경우에는 가족의 안전을 위하여 자신이 선택하는 항공사의 안전성을 고려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Ⅴ. 결 론
우리나라의 항공수요도 경기의 회복에 따른 항공수요의 증가를 보이면서, 외국항공사들의 복귀로 인하여 항공업체는 더욱 더 치열한 경쟁에 놓이게 될 것이다. 이러한 업체간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하여서는 고객의 욕구와 요구를 파악하고 해소시켜줄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비즈니스 여행객의 경우 항공 운항스케쥴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지적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운임, 서비스를 항공사 선택 요인으로 여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즈니스 고객의 경우에는 운항스케쥴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 있으나 비즈니스가 아닌 기타의 여행목적을 가지고 여행하는 승객들의 항공사 선택요인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비즈니스 여행의 경우에는 서비스 요인과 스케쥴 요인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반면에 관광이나 친지방문의 경우에는 서비스 요인과 항공사 국적, 항공요금을 중요한 선택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행 경험이 높을수록 기내 및 지상 서비스 요인과 항공운항 스케쥴을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는 반면에 여행 경험이 낮을수록 항공사 국적과 항공요금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볼 때 항공사를 선택하는 속성으로서 기내 및 지상 서비스 요인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다음으로 항공 스케쥴과 항공사의 국적이 중요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의 항공사의 주요 경쟁요인으로는 항공요금의 평준화가 이루어짐에 따라서 요금보다는 기내 및 지상 서비스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참 고 문 헌
김정훈, “여행업광고가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김형장, “항공서비스상품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박천우이기목, “항공사의 마케팅전략에 관한 연구”, 금성환경전문대학 논문집 제3집, 1998.
손대현, “항공서비스 산업의 본질과 이해에 관한 접근,” 국방경제연구, Vol.16, 1993.
송용섭, 현대소비자행동론, 법문사, 1982.
여행정보신문, 199. 4. 9
윤훈현, 마케팅관리론, 범한서적, 1992.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5.12.29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02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