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빙성이 있어야 하고 일정정도의 공정성도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독서 이력철제도를 시행함으로써 학생들의 미래 전공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넓혀서 학생들의 진로선택에 도움이 되고 대입 평가때에도 심층면접을 강화함으로써 교과서적인 능력을 평가하기보다는 좀더 폭 넓고, 깊은 부분까지 지식을 관찰할 수 있을 것 같아서 좋을 것 같습니다. 대학에서 지금의 기초적인 부분부터 다시 시작해서 시간을 낭비하는게 아니라 겹치는 부분이 없이 한 발 더 내밀자는 생각입니다. 하지만 현재 말뿐인 정부에서 얼마나 노력을 해서 이 제도를 고착화 시킬것인지는 아직 미지수여서 안타깝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우리나라의 교육 문제중에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부분은 아무래도 입시문제인 것 같습니다. 올해에도 수능이 치러졌습니다. EBS에서 70%정도가 출제되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인터뷰를 해 보면 잘 모르겠다는 학생들도 많았습니다. 어떻게 보면 획일화라는 측면도 있지만 시도는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아직 학생들의 신뢰를 얻지 못하고 있어 과외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게다가 경제가 더 어려워지면서 중산층 아래쪽의 학생들은 과외에 부담을 느끼고 있습니다. 이러면 점점 더 차이가 나는 꼴이 되어버립니다. 결국은 중산층 아래쪽에 EBS라는 방송을 핑계로 대입수능문제에 대한 부담감을 털어 버리려는 수단으로 전락하지나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현재 사회도 암기이외의 다양한 분야, 즉 봉사, 지도성, 적성등 다양한 판단 기준이 제도화되어서 좀더 공평한 방법으로 전형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교육의 문제는 끝이 없는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의 교육 문제중에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부분은 아무래도 입시문제인 것 같습니다. 올해에도 수능이 치러졌습니다. EBS에서 70%정도가 출제되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인터뷰를 해 보면 잘 모르겠다는 학생들도 많았습니다. 어떻게 보면 획일화라는 측면도 있지만 시도는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아직 학생들의 신뢰를 얻지 못하고 있어 과외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게다가 경제가 더 어려워지면서 중산층 아래쪽의 학생들은 과외에 부담을 느끼고 있습니다. 이러면 점점 더 차이가 나는 꼴이 되어버립니다. 결국은 중산층 아래쪽에 EBS라는 방송을 핑계로 대입수능문제에 대한 부담감을 털어 버리려는 수단으로 전락하지나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현재 사회도 암기이외의 다양한 분야, 즉 봉사, 지도성, 적성등 다양한 판단 기준이 제도화되어서 좀더 공평한 방법으로 전형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교육의 문제는 끝이 없는 것 같습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