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序
Ⅱ. e-learning
Ⅲ. Blended Learning
Ⅳ. 結
Ⅴ. 참고자료
Ⅱ. e-learning
Ⅲ. Blended Learning
Ⅳ. 結
Ⅴ. 참고자료
본문내용
염 탐사’프로젝트 수업에 참여했던 강희종 부산 아미초등학교 교사는 교과간 통합학습 및 협동학습의 수행 능력 향상,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신장, 문제 해결력의 변화 등의 긍정적 결과가 발견됐다고 전했다. 한겨레 신문 2005-09-04일자
Ⅳ. 結
이로써 e-learning과 Blended Learning의 개념과 교육적 효과에 대해서 비교적 자세히 살펴보았다. 먼저 e-러닝은 앞서 언급한 많은 교육적 효과로 최근 들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e-러닝이 전인교육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교사의 역할이 상당 부분 축소될 것을 우려하기도 한다고 한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교사의 보조로서 수단으로 존재할 뿐 교사의 역할을 빼앗지는 못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배우고 가르칠 때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이 없다면 e-러닝은 단지 정보전달 매체에 지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Blended Learning 또한 최근들어 교육계 안팍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이것의 장점만을 보고 무작정 도입하면 곤란하다. 교육주체가 블렌디드 러닝을 도입할 때 반드시 염두해 두어야 할 점이 있기 때문이다. 전달 방법보다는 학습의 활용성에 중점을 두고, 개인의 학습 취향에 맞는 다양한 접근 방법을 개발해야 한다는 것 등의 문제이다.
과제를 마무리 하면서 이정도 분량으로는 e-learning과 Blended Learning에 대해서 심도 있는 고찰을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적어도 이번 기회를 통해 e-러닝이 무엇인지, 블렌디드 러닝이 무엇인지 간단하게나마 파악할 수 있었고 그들의 교육적인 효과도 조금이나마 알게 되었다는 점에 의의를 두고 싶다.
Ⅴ. 참고자료
유영만(2001). 『e-Learning: 디지털 시대의 지식 확산 전략』. 물푸레.
송영수(2003). 「새로운 인재양성 패러다임과 Blended Learning의 등장」. 인사관리 7월호.
오인경(2004). 「Blended Learning의 실시 현황 분석: 국내 현황 및 외국과의 비교」기업 교육연구.
이혜정. e-learning을 활용한 경제교육활성화 방안
- 한국 개발 연구원(www.kset.re.kr)
학교에서의 e-learning 활성화방안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교육공학전공
http://edutech.knue.ac.kr/ez2000/ezboard.exe?db=edutech/pds-1&action=list&page=1
Ⅳ. 結
이로써 e-learning과 Blended Learning의 개념과 교육적 효과에 대해서 비교적 자세히 살펴보았다. 먼저 e-러닝은 앞서 언급한 많은 교육적 효과로 최근 들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e-러닝이 전인교육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교사의 역할이 상당 부분 축소될 것을 우려하기도 한다고 한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교사의 보조로서 수단으로 존재할 뿐 교사의 역할을 빼앗지는 못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배우고 가르칠 때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이 없다면 e-러닝은 단지 정보전달 매체에 지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Blended Learning 또한 최근들어 교육계 안팍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이것의 장점만을 보고 무작정 도입하면 곤란하다. 교육주체가 블렌디드 러닝을 도입할 때 반드시 염두해 두어야 할 점이 있기 때문이다. 전달 방법보다는 학습의 활용성에 중점을 두고, 개인의 학습 취향에 맞는 다양한 접근 방법을 개발해야 한다는 것 등의 문제이다.
과제를 마무리 하면서 이정도 분량으로는 e-learning과 Blended Learning에 대해서 심도 있는 고찰을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적어도 이번 기회를 통해 e-러닝이 무엇인지, 블렌디드 러닝이 무엇인지 간단하게나마 파악할 수 있었고 그들의 교육적인 효과도 조금이나마 알게 되었다는 점에 의의를 두고 싶다.
Ⅴ. 참고자료
유영만(2001). 『e-Learning: 디지털 시대의 지식 확산 전략』. 물푸레.
송영수(2003). 「새로운 인재양성 패러다임과 Blended Learning의 등장」. 인사관리 7월호.
오인경(2004). 「Blended Learning의 실시 현황 분석: 국내 현황 및 외국과의 비교」기업 교육연구.
이혜정. e-learning을 활용한 경제교육활성화 방안
- 한국 개발 연구원(www.kset.re.kr)
학교에서의 e-learning 활성화방안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교육공학전공
http://edutech.knue.ac.kr/ez2000/ezboard.exe?db=edutech/pds-1&action=list&page=1
키워드
추천자료
21세기 미래교육의 전망과 학교교육의 방향
[전자상거래론]메가스터디 분석
e-러닝 사이트 탐색 보고서
Blended Learnin
사이버가정학습활성화방안
에듀테인먼트
산업인력개발 교수학습방법
원격교육 수업계획서의 수업전략, 과정정책, 교수학습활동, 평가정보, 추가정보 부분에 대해...
원격교육의 개념적 특징을 이해하고 교사 학생간의 상호작용 확보 차원에서 모두 만족시키는 ...
제주4. 3사건 평화기념관 다녀와서 감상문.
[청주대학교] 스마트한 학습으로의 여행 중간고사(1주~7주차) 족보
제주항공 기업분석및 제주항공 서비스마케팅 전략분석및 제주항공 미래전략 제안 레포트
원격교육기관에서는 이러닝 질적 제고와 교육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각 영역에서 어떠한 노력...
원격교육론-(2)원격교육의 개념과 특성 현재 우리나라 교육에서의 역할 원격교육 개발 기술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