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가전계 소설
(2) 천군연의
(3) 천군연의의 가전계 소설의 특징과 소설화
ⅲ> 결론
ⅱ> 본론
(1) 가전계 소설
(2) 천군연의
(3) 천군연의의 가전계 소설의 특징과 소설화
ⅲ> 결론
본문내용
면 존재하고, 놓아버리면 없어져서 출입이 무상하니 그 향하는 곳을 알지 못하는 것은 오직 사람의 마음을 두고 일컬음인져!"라고 하시었다.
(2)"이 무리들은 범한 죄가 비록 무거우나 모두 임금의 집안이고, 게다가 '협박에 못 이겨 따른 것은 다스리지 않는다"는 옛 사람의 지극한 말이 있으니, 마땅히 너그러운 법전(法典)을 써서 새 출발을 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주십시오." 라고 하였다. 천군이 이를 따라서 다만 그 관직은 삭탈하도록 명령하고, 욕씨(欲氏)는 죄로 봐서는 마땅히 베어 죽여야 하겠지만, 또한 임금의 친척인 까닭으로 한 등급을 멸하여 귀양을 보내었다.
천군연의는 작자의 허구적인 창의력의 발휘로 많은 인물과 다양한 사건이 첨부되어, 보다 개전적인 구조를 지닌 한문소설로서의 면모를 갖춘 소설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천군연의의 가전계 소설의 특징과 소설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의인소설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천군연의는 가전계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면서도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다.
가전계와 같이 사물의 의인화와 함축적 역사 스토리 반영, 계세징인의 목적을 모두 가지고 있으면서도 약간의 다른 점을 보인 것이다. 사물의 의인화로 내용상으로는 가전계 소설과 같이 하고 있지만 여러 가지 치밀한 구성과 플롯의 형성은 장회소설로 구성상은 다르게 나타난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변화는 흥미를 주는 요소가 된다. 마음을 의인화하여 유학으로 수신해야 된다는 관념을 표현한 작품이며 흥미요소를 철저히 의식하고 쓴 작품이다. 이는 후대 소설과도 긴밀한 구성을 맺는다. 곧, 천군연의는 가전의 문학적 전통에서 한층 더 발전한 내용과 기법, 염정 소설의 문제의식, 유가적 삶의 태도 등을 결합하여 만들어낸 독특한 성격의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천군연의의 문학사적 가치는 심성을 의인하여 소설적 형식으로 전환하였다는 점, 성과 정의 갈등에서 성이 정을 극복하는 데는 상당한 진통이 따른다는 것을 <심경>의 논리에 의거하여 소설 미학적 구조로 전개시킨 점, 이성이 감성을 제어했을 때 비로소 마음에 평화가 온다는 심리학적 성찰을 보여주었다는 점, 소설 배격론자
소설 배격론자 : 소설부정론자. 소설의 허구성과 사회적 효용성, 반체제성, 언어 문체, 비생산성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다.
들에게 소설의 효용적 가치를 일깨워 주었다는 점, 유학자와 소설의 관계를 지나치게 배타적인 관계로 파악해 온 종래의 견해에 조심스런 반성을 제기한 점이 있다.
<참고문헌>
김광순 [천군소설] 『한국고전문학전집』26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96
김광순 [천군소설연구] 형설출판사, 1980
김광순 외 2명 공저 [한국고소설연구] 1983
안병설 [한문소설의 수용양상과 천군연의] 『한국학논총』 제3집, 국민대학교, 1981
이경우 [천군연의] 『한국고전소설작품론』집문당, 1990
전성운 [천군연의와 연의소설의 상관성], 한국언어문학회, 2004
www. naver. com (지식 검색.)
- 가전체의 특징 (블로그) / 지평(持平) 송응망, [수정제명(守靜齋銘)] / 각주
(2)"이 무리들은 범한 죄가 비록 무거우나 모두 임금의 집안이고, 게다가 '협박에 못 이겨 따른 것은 다스리지 않는다"는 옛 사람의 지극한 말이 있으니, 마땅히 너그러운 법전(法典)을 써서 새 출발을 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주십시오." 라고 하였다. 천군이 이를 따라서 다만 그 관직은 삭탈하도록 명령하고, 욕씨(欲氏)는 죄로 봐서는 마땅히 베어 죽여야 하겠지만, 또한 임금의 친척인 까닭으로 한 등급을 멸하여 귀양을 보내었다.
천군연의는 작자의 허구적인 창의력의 발휘로 많은 인물과 다양한 사건이 첨부되어, 보다 개전적인 구조를 지닌 한문소설로서의 면모를 갖춘 소설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천군연의의 가전계 소설의 특징과 소설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의인소설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천군연의는 가전계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면서도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다.
가전계와 같이 사물의 의인화와 함축적 역사 스토리 반영, 계세징인의 목적을 모두 가지고 있으면서도 약간의 다른 점을 보인 것이다. 사물의 의인화로 내용상으로는 가전계 소설과 같이 하고 있지만 여러 가지 치밀한 구성과 플롯의 형성은 장회소설로 구성상은 다르게 나타난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변화는 흥미를 주는 요소가 된다. 마음을 의인화하여 유학으로 수신해야 된다는 관념을 표현한 작품이며 흥미요소를 철저히 의식하고 쓴 작품이다. 이는 후대 소설과도 긴밀한 구성을 맺는다. 곧, 천군연의는 가전의 문학적 전통에서 한층 더 발전한 내용과 기법, 염정 소설의 문제의식, 유가적 삶의 태도 등을 결합하여 만들어낸 독특한 성격의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천군연의의 문학사적 가치는 심성을 의인하여 소설적 형식으로 전환하였다는 점, 성과 정의 갈등에서 성이 정을 극복하는 데는 상당한 진통이 따른다는 것을 <심경>의 논리에 의거하여 소설 미학적 구조로 전개시킨 점, 이성이 감성을 제어했을 때 비로소 마음에 평화가 온다는 심리학적 성찰을 보여주었다는 점, 소설 배격론자
소설 배격론자 : 소설부정론자. 소설의 허구성과 사회적 효용성, 반체제성, 언어 문체, 비생산성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다.
들에게 소설의 효용적 가치를 일깨워 주었다는 점, 유학자와 소설의 관계를 지나치게 배타적인 관계로 파악해 온 종래의 견해에 조심스런 반성을 제기한 점이 있다.
<참고문헌>
김광순 [천군소설] 『한국고전문학전집』26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96
김광순 [천군소설연구] 형설출판사, 1980
김광순 외 2명 공저 [한국고소설연구] 1983
안병설 [한문소설의 수용양상과 천군연의] 『한국학논총』 제3집, 국민대학교, 1981
이경우 [천군연의] 『한국고전소설작품론』집문당, 1990
전성운 [천군연의와 연의소설의 상관성], 한국언어문학회, 2004
www. naver. com (지식 검색.)
- 가전체의 특징 (블로그) / 지평(持平) 송응망, [수정제명(守靜齋銘)] /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