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인호 문학의 순수성과 대중성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최인호 문학의 순수성과 대중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들어가며 - 칼을 쥐다

II. 최인호의 소설을 도마 위에 올려놓다 - 칼로 물 베기
1. 순수소설과 대중소설의 경계 - 물은 흐른다
2. 최인호를 보는 시선 - 물을 베다
3. 최인호를 위한 변명 - 베어지지 않는 것

III. 나오며 - 칼을 버리다

본문내용

될 지도 모른다.
III. 나오며 - 칼을 버리다
베어지지 않는 것을 베지 않기 위해 나는 칼을 버린다. 아니, 칼을 버리는 일은 어찌 보면, 독서 대중과 똑같은 독자로서 비평가의 자격을 버리는 것과 같다. 모든 독자들은 모두 비평가들이다. 칼을 버리지 않는다면 그 칼로 헛되이 물을 베지 말아야 하며, 베어야 할 대상에 따라 칼이든, 아님 무엇이든 요리 도구는 달라져야 할 것이다.
최인호의 작품은 순수성-대중성의 논의 대상이 아니라, 작가의 자유로운 창작에 의한 물줄기와 같은 것으로서 보아야 한다. 칼로 물 베는 식의 비평이 아닌 대중으로서의 독자를 비평가로서 대하는 보편적인 요리 솜씨를 보여야 하지 않을까.
※참고문헌
최인호, 『최인호 문학상 수상 작품집』, 훈민정음, 1994.
『즐거운 우리들의 천국』, 최인호 중단편 소설전집 3, 문학동네, 2002.
『돌의 초상』, 최인호 중단편 소설전집 4, 문학동네, 2002.
『달콤한 인생』, 최인호 중단편 소설전집 5, 문학동네, 2002.
나병철, 「최인호론-비동일성의 시선과 낯설게 하기」, 『현역중진작가연구III』, 2002.
안남연, 「최인호 작품과 현 사회 인식의 상관적 관계」, 『한국문예비평연구』, 2002.
윤정현, 「대중소설의 존재양상」, 『한국문예비평연구』, 2002.
장영우, 「대중소설의 유형과 그 특질」, 『한국문학연구 제20집(1980년 3월)』,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조남현, 「소설교육의 정향과 대중소설 문제」, 『문학교육학 제7호』, 2001.
홍성암, 「대중소설의 특성과 독자의 취향」, 『한민족 문화연구 6집』, 2000.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1.13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29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