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청준 소설 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청준 소설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목적 및 방법
2. 연구사 검토

Ⅱ. 본 론
1. 이청준 소설의 특성
1) 시점상의 특성
2) 구조상의 특성
2. 작중소설가가 추구한 소설관
1) 「병신과 머저리」에서의 <형>
2) 「소문의 벽」에서의 <박준>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타나는 특성을 살펴보았다. 우선 하나는 작중 소설가를 바라보는 객관적인 시점으로서의 화자가 등장한다는 점이고, 둘째는 액자소설의 구성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두 편의 소설속에 등장하는 화자들은 모두가 작중소설가와 함께 하지만 객관적인 시선을 잃지 않고 있다. 또한, 액자 소설적 구성은 소설속에 작중 소설이 위치하는 것, 즉 작중소설가의 소설이 이청준의 소설속에 등장하는 면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들이 우리가 살펴보고자 하는 이청준의 소설관을 작중소설가의 소설관을 통해 유추해 보는 것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으며, 이청준 소설의 맛을 더욱 살리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에 대한 검토를 기반으로 해서 「병신과 머저리」, 「소문의 벽」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한다. 소설가는 현실의 간섭 또는 이해 관계가 수반된다 하더라도 자신의 소설 쓰기 작업을 순수하고 성실한 진술의 과정으로써 상전하고, 정직한 자기 진술을 통해 양심을 확인하고, 그로 인해 새로운 힘도 부여받을 수 있는 것이다. 즉, 문학을 통한 자기 구제가 가능해 지는 것이다.
本考에서 살펴본 바대로 이청준이 가지고 있는 소설관은 문학행위를 솔직한 자기 진술행위로 상정해 놓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기 양심을 확인하는 것, 이것이 바로 문학을 통한 자기 구제의 길이라고 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작품들은 '문학을 통한 자기 구제의 의지'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소설내의 갈등의 모습들이 사회적이고 보편적인 것으로 확산되지 않고 개인적인 차원에 머문다는 한계를 지닌다. 하지만 이러한 한계점들은 이후 이청준의 활발한 작품활동 속에서 보여지는 작가의식의 변모과정을 본다면 약간은 해결되어지고 있는 것이 아닌가 보여지기도 한다.
< 參 考 文 獻 >
1. 基 本 資 料
이청준, 「병신과 머저리」, 『新韓國問題作家選集』, 서울, 어문각, 1983.
-----, '소문의 壁」, 『新韓國問題作家選集』, 서울, 어문각, 1983.
-----, 「소문의 壁」, 『매잡이』, 서울, 민음사, 1980.
-----, 「병신과 머저리」, 『매잡이』, 서울, 민음사, 1980.
-----, 「木浦行」, 병신과 머저리, 서울, 삼중당, 1982.
-----, 『이상문학상수상작품집』, 서울, 문학사상사, 1978.
-----, 『作家의 작은 손』, 서울, 열화당, 1978.
2. 著書 및 論文
丘仁煥, 『문학의 세계와 삶의 세계』, 서울, 동아출판사,1992.
-----, 「소설 쓰는 법」, 서울, 동원출판사, 1985.
金炳翼, 「원체험과 지성의 변증」, 『우리시대의 작가연구총서』, 서울, 은애, 1979.
-----, 「왜 글을 쓰는가」, 상게서.
-----, 「왜 글을 못 쓰는가」, 문학과 지성5호 (1971. 가을호)
-----, 「진실과의 갈등」, 『병신과 머저리』, 홍성사, 1985.
-----, 「말의 탐구, 화해에의 변증」, 『잃어버린 마을 찾아서』, 문학과 지성사, 1983.
金允植, 「이청준론」, 서울, 삼인행, 1991.
-----, 『한국현대문학사』, 서울, 일지사, 1983.
金株演, 「병신과 머저리」, 서울, 삼중당, 1981.
-----, 「억압과 초월」, 서울, 열림원, 1993.
-----, 『김주연 평론문학선』, 서울, 문학사상사, 1992.
-----, 「말의 순결, 그 파탄과 회복」, 세계의 문학21, 1985. 가을호.
김천혜, 「이청준론」, 서울, 은애, 1979.
金治洙, 『박경리와 이청준』, 서울, 민음사, 1982.
-----, 「말과 소리」, 상게서.
-----, 「고향 체험의 의미」, 상게서.
-----, 『이청준론』, 서울, 은애, 1979.
-----, 「소설에 대한 두 질문」, 『우리시대의 작가연구 총서』, 서울, 은애, 1979.
-----, 「언어와 현실의 갈등」, 상게서.
김 현, 「문학과 유토피아」,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82.
-----, 『이청준론』, 서울, 은애, 1979.
-----, 「대립적 세계인식의 힘」, 상게서.
-----, 「이청준에 대한 세편의 글」,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80.
-----, 『한국문학의 위상』,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77.
-----, 「장인의 고뇌」, 『우리시대의 작가연구 총서』, 서울, 은애, 1979.
-----, 「未知人의 초상」, 동서춘추 제1권 3호 (1967.7)
吳生根, 『이청준론』, 서울, 서음출판사, 1992.
-----, 「갇혀있는 자의 시선」, 상게서.
-----, 「갈등과 극복의 윤리」, 서울, 은애, 1979.
元堂善, 「토마스만과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예술가의 위상 비교」, 교러대대학원, 1991.
李光豊, 「이청준 소설의 세계」, 서울, 국제어문, 1986.
李甫永, 「시원의 모색」, 서울, 현대문학, 1972.
-----, 「화해로의 길」, 창작과 비평 41호(1976. 가을호)
李商燮, 「언어와 사상」, 서울, 현대문학, 1972.
-----, 「이청준의 의식소설」, 『언어와 상상』,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84.
-----, 『문학연구의 방법』, 서울, 탐구당, 1980.
李淸俊, 『신한국 문제작가 선집』, 서울, 어문각, 1983.
-----, 『오늘의 작가 총서』, 서울, 민음사, 1980.
-----, 『작가의 작은 손』, 서울, 열화당, 1978.
-----, 「우리 시대의 작가와 모순의 미학」, 서울, 개문사, 1982.
李泰東, 『이청준론』, 서울, 삼인행, 1991.
-----, 『한국현대소설의 위상』, 서울, 문예출판사, 1986.
-----, 「부조리현상과 인간의식의 진화」, 『부조리와 인간의식』, 서울, 문예출판사, 1982.
朴今福, 「이청준소설연구」, 성신여자대학원, 1986.
-----, 「이청준과 작중평론」, 비평문학 2호, 1988.
전영태, 이청준 대담, 「나의 文學, 나의 小說作法」, 현대문학 349 (1984. 1)
曺南鉉, 「이청준의 병신과 머지리」, 서울, 문학사상, 1984.
千二斗, 「자연과 인공」, 『종합에의 의지』, 서울, 일지사, 1974.
-----, 「계승과 반역」, 『이청준』, 서울, 은애, 1979.
  • 가격2,8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6.01.15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31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