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 절개술 환자 간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관 절개술 환자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8. 기관절개와 간호
1) 기관절개의 목적
2) 기관 절개관의 구성
3) 기관 절개 적응증
4) 기관 절개 방법
5) 기관 절개의 합병증
6) 기관 절개 환자의 간호
7) 내관의 청결
8) 드레싱 교환
9) 의사전달
10) 구강섭취
11) 기관 절개술 직후의 간호
12) 관의 제거
13) 특수 목적의 기관 절개관과 기구
13) 영구적 기관 절개술

9. 기관내 삽관
1) 적응증
2) 부 적응증
3) 합병증
4) 침상에서의 기관내 삽관

본문내용

장기, 거즈 스폰지 , 소독 장갑, 기관 절개관, 소독약, 국소 마취제
⑵ 구강 기관관 삽입 이유
① 폐의 환기를 정상적으로 복귀
② 기관 절개술을 안전히 시행 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확보
③ 적절한 기도 유지 후 전신마취 가능
④ 합병증 예방
※ 어떤 경우 미주신경을 자극하여 혈관 미주신경반사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기관 절개술 전에 구강 기관삽입관 실시 불가능함.
⑶ 기관 절개 방법
① cuff 이상유무 확인
② 기도가 돌출되도록 환자를 앙아위로 눕힌다.
③ 어깨 밑에 베개를 대고 머리를 떨군 후 갑상협부가 나타날 때까지 수직 또는 수평으로 피부절개
④ 3~4번째 기관환을 외과적으로 절개하여 작은 구멍을 냄
⑤ 분비물과 혈액을 깨끗이 흡입해 낸 후 기관 절개관 삽입
⑥ 기관 절개관이 적절한 위치에 놓이면 목 주위에 끈으로 묶어 고정
⑦ 상처 치유 후 기관 절개관 제거
5) 기관 절개의 합병증
⑴ 호흡 기능부전
① 증상: 호흡 중 흉곽의 좌우가 다르게 움직임
⑵ 기도 폐쇄
① 원인: 외부압력, 이물, 기관지 점막부종, 과도한 분비물로 기도가 막힐 때
⑶ 기관 절개관이 빠짐
① 원인: 격심한 기침을 할 때, 목이 짧고 살찐 환자
② 간호: 침대 옆에 있는 확장기나 지혈겸자로 기관기공을 열어놓고 다른 기관 절개관 재 삽입. 환자를 안심시키고 조용히 있도록 함.
③ 영아의 경우 관이 빠지면 좁은 기도에 기관 절개관의 재삽입하는 것이 힘들기 때문 에 사망률이 높음
⑷ 호흡기 감염 및 무기폐
① 원인: 기관지 분비물 흡인을 잘 하지 못했을 때
⑸ 출혈
① 증상: 관주위의 출혈, 선홍색 기관지 분비물, 빈맥, 안절부절
② 선홍색 분비물이 수술 후 6~8시간이 경과하고도 계속 된다면 의사에게
보고
③ 원인: 관의 길이, 교정이 부적절 할때
⑹ 기도와 식도 사이의 천공
① 원인: 기관의 후벽에 미란이 있을 때. 관의 길이, 교정이 부적절 할 때
② 증상: 음식을 먹을 때 기침, 숨막힘, 기관 절개 부위로 액체나 음식이 샘.
⑺ 기관 절개술로 인한 기능감소
① 기침 반사의 감소
② 정상적인 언어력의 감소
③ 흡입된 공기를 적절히 덥히고 여과시키며 습기를 함유시키는 역할 결여
6) 기관 절개 환자의 간호
⑴ 기관 절개 환자의 침상가에 준비할 물품
- suction기, 호흡기, ambu-bag, 가습기, 여분의 기관 절개관, 전색자, 소독된 겸자, 기 관 갈구리, 거즈, 가위, 깨끗한 용액, 주사기, 지혈 겸자, 구강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1.20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42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