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스쿨링(Homeschooling)에 관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홈스쿨링(Homeschooling)에 관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홈스쿨링(Homeschooling)의 개념

2.홈스쿨링을 하는 이유
1)선택의 동기나 이유
2)홈스쿨링의 장점

3.홈스쿨링의 방법
1)홈스쿨링의 갈래
2)홈스쿨링의 요건

4.홈스쿨링의 실태
1) 우리나라의 홈스쿨링
2)미국의 홈스쿨링

5. 우리나라의 홈스쿨링이 나아가야 할 방향

본문내용

교육청에 등록을 하고, 1년에 최소 180일 수업, 매일 4시간 30분 수업을 해야 하며 3년마다 반드시 평가시험을 치러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법적으로 홈스쿨링이 인정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정작 홈스쿨링을 하고 있는 아이들이라도 학교에는 적을 두고 출석만 하지 않는 편법으로 졸업장을 받는 경우가 많다. 워낙 예외적인 사안이라 홈스쿨링에 대한 지침도 없다. 서구에서 자리 잡은 홈스쿨링의 경우, 관할 교육기관에서 정기적으로 관리하고 아이의 교육 실태를 점검한다.‘학교’에서 교육만 시키지 않을 뿐 아이들이 습득해야 할 것들을 철저히 감독한다.
5. 우리나라의 홈스쿨링이 나아가야 할 방향
우리 역시 이제는 홈스쿨링에 대한 개념정리와 법적제도가 마련되어야할 때라고 본다. 과거와 달리 돈이 없거나 부모가 무지해서 아이를 초등학교에 보내지 않는 경우는 없다. 초등교육이 의무교육이었던 것은 그만큼 교육을 받지 못하는 아이들이 많았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바꾸어 말하면 ‘의무적으로 교육받아야하는’것이 아니라 ‘교육받을 권리’를 인정하는 것이기도 했다.
사정이 바뀐 지금에는 의무교육은 말 그대로 의무 그 이상 그 이하의 의미도 지니고 있지 않다. 그리고 교육의 의무가 반드시 공교육을 통해서야만 한다는 것도 설득력을 잃어 가고 있다. 수많은 대안학교들이 생겨나고 정서적으로 혹은 학업적으로 학교에서 설 자리를 잃은 아이들이 학교라는 틀에서 벗어나고 있다. 학교교육만을 유일한 교육수단으로 생각하는 획일적인 사고 역시 다양성을 인정해야 한다는 열린 사고방식에 밀려나고 있다.
획일화의 시대는 가고 다양성의 물결 속에서 우리나라도 역시 홈스쿨링을 교육의 한 형태로 받아들여야 할 때라고 본다. 홈스쿨링이 옳다 그르다는 논쟁은 의미가 없다. 교육의 방식은 옳고 그르다의 문제가 아니라 그것이 최선의 방법이냐의 문제만이 있을 뿐이다. 그리고 아이마다 부모마다 그 최선의 방법이 다 같을 수도 같음을 강요할 수도 없다.
간혹 이러한 시스템을 악용하는 사례가 생길수도 있을 것이다. 그래서 서구에서는 공교육이 홈스쿨링 아이들을 점검하고 관리한다. 물론 자율성을 해치고 침해한다는 이유로 이런 것에 반기를 드는 홈스쿨링 학부모가 있긴 하지만,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조치라고 여겨진다.
우리나라도 홈스쿨링을 택한 가정에 공교육이 개입해 적절한 관리를 해줘야 한다. 그리고 그것은 아이의 복지와 악용하는 사례를 막기 위한 최소한의 선이어야 한다. 지금은 홈스쿨링 자체가 불법이기 때문에 오히려 부정적 요소의 홈스쿨링이 확산될 우려가 더 크다. 이를 위해서는 홈스쿨링 자체를 법적으로 인정해줘야 한다.
홈스쿨링을 인정한다고 해서 공교육이 무너지는 것도, 학교에서 아이들이 몽땅 빠져나가는 현상도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어차피 대다수의 가정에서는 공교육을 선택할 것이다. 다만, 소수라 할지라도 그들의 선택을 끌어안을 수 있고 보호해줄 수 있는 폭 넓은 교육정책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공교육에서 빠져나가는 홈스쿨링 아이들로 인해 공교육이 무너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1.20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42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