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티토 정권과 소련
2. 북대서양조약기구
3. 한국 동란
2. 북대서양조약기구
3. 한국 동란
본문내용
951년 4월 맥아더 원사는 해임되었다. 또한 북한에 진주한 소련 군정 당국은 남북간의 왕래와 일체의 통신연락을 단절시킴으로써 38도선을 남북을 가르는 정치 적 경계선으로 만들었ㅇ며, 공산화통일이 보장되지 않는 어떠한 통일 정부수립도 거부함으로써 한반도의 반영구적인 정치적 분단을 강요하였다. 한반도에서의 지배권 강화를 목표로 하는 소련의 기도와 적대정부의 출현만은 절대로 반대하는 미국의 입장이타협될 수 없었 다. 따라서 한국의 통일독립 문제의 해결은 극히 어려웠으며 이 문제를 위해 개최된 미소 공동위원회도 결렬되고 말았다. 7월부터 판문점에서 휴전 회담이 열였으나 휴전 교섭은 포화교환문제를 둘러싸고 의견이 맞지 않아 1952연 10월 무기휴회로 들어갔으나 난황 끝에 1953년 드디어 휴전이 성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