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백제국 성립 이전의 귀족
Ⅲ. 백제 성립기의 귀족
Ⅳ. 웅진시대의 귀족
1. 웅진천도와 귀족제의 변질
2. 웅진시대의 중앙귀족과 지방 세력
Ⅴ. 사비 시대의 귀족
1. 성왕의 사비천도
2. 궁정귀족제의 확립
Ⅵ. 결론
Ⅱ. 백제국 성립 이전의 귀족
Ⅲ. 백제 성립기의 귀족
Ⅳ. 웅진시대의 귀족
1. 웅진천도와 귀족제의 변질
2. 웅진시대의 중앙귀족과 지방 세력
Ⅴ. 사비 시대의 귀족
1. 성왕의 사비천도
2. 궁정귀족제의 확립
Ⅵ. 결론
본문내용
로 하는 귀족과의 관계는 명시되어 있지 않지마는 대체로 보아서 점차로 궁정귀족의 세력이 증대해지고 있던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사비로의 천도는 남조와의 국제교류를 중요시하였기 때문이라고 말하지마는 그 나름대로 백제귀족제의 변질에 가일층 拍車를 가했던 점이 엿보인다. 물론 사비나 그 주변의 지역을 배경으로 하는 세력이 초기의 진씨나 해씨만치 소수의 귀족에 집중한 것이 아니고 대성팔씨라고 말하는 바와 같이 귀족수의 增加가 알려지고 그 성격도 多樣化하여져서, 궁정귀족이 득세하고 있었던 것을 명시하고 있다. 다만 특정적 强勸을 가진 귀족집단은 이루지 못하였고, 꽤 많은 귀족들에게 거의 균등한 정치권력을 부여하고 있었다는 것을 이해할 수가 있다. 이 백제귀족의 변질을 시사하는 한 사례로서 五部의 제도를 들 수 있다. 백제의 오부제는 고구려 오부제의 影響를 받은 것으로 보여지는데 왕도를 분해해서 그곳에 각 귀족들을 거주시켰다고 한다. 지방세력을 배경으로하는 귀족들뿐일 것 같으면 왕도내에 있어서 거주지역을 제한할 필요도 없고 때로는 불편한 점도 자초하는 제도이다. 궁정귀족이란 관료들의 세력이 增大해짐에 따라서 오부의 제도가 가능하여 졌다고 推定된다.
Ⅵ. 결론
지금까지 백제의 귀족에 대해서 웅진시대와 사비시대의 귀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웅진천도는 기존의 귀족세력들에게 커다란 변화를 초래했다. 우선 천도 직후에는 한성시대에 왕비족으로 행세하던 해씨와 진씨는 역시 중앙의 귀족으로 확고한 지위를 다시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웅진으로 도읍을 천도하자 이지역의 지방세력들이 또한 정계에 등장하였으니 이들이 바로 연씨, 백씨, 사씨 들이다. 이들은 대개 웅진시기의 역사적인 전개과정에서 파악컨대 연씨는 오늘날의 온양, 백씨는 공주 의당지역, 사씨는 부여의 성흥산성일대에 그의 근거지가 위치하고 있던 세력들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웅진시기는 기존의 구귀족과 천도로 인한 새로운 귀족들이 정계에 등장하는 귀족세력의 재편이 이루어지던 과도기적 시기였던 것이다. 이러한 백제의 지방귀족들의 중앙진출은 지방제도의 운영에도 변화를 초래하였다. 또 사비천도는 불안한 사회상황을 극복하여 국력을 회복하고, 또 웅진시대 연이어 일어난 내분의 종지부를 위하여 성왕이 단행하였다. 이로써 진씨와 해씨는 외교사무나 귀족연합체제의 조직능력을 바꾸어서 궁정귀족이 되어, 웅진지역의 귀족과 함께 백제의 귀족층을 형성하고, 목씨나 협씨 등도 궁정귀족화되면서 유력한 귀족의 일원으로 되었다. 이와 같이 웅진시대 이후의 귀족층에는 궁정귀족내지는 궁정귀족화되어 가는 자를 포함하여 대체로 궁정귀족의 세력이 증대해졌다. 이처럼 웅진, 사비시대는 귀족과 타협하기도 하고, 또 왕권 강화를 단행하기도 하면서 멸망해 가는 백제를 중흥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고 볼 수 있다.
웅진, 사비시대의 귀족 세력의 움직임을 파악하는데 있어서는 사료가 적은 관계로 그릇된 추측이 많을 수 있다. 또 귀족들의 근거지를 파악하는데 있어서도 마찬가지였는데, 앞으로 새로운 연구성과를 기대하여 올바른 이해가 이루어졌으면 한다.
특히 사비로의 천도는 남조와의 국제교류를 중요시하였기 때문이라고 말하지마는 그 나름대로 백제귀족제의 변질에 가일층 拍車를 가했던 점이 엿보인다. 물론 사비나 그 주변의 지역을 배경으로 하는 세력이 초기의 진씨나 해씨만치 소수의 귀족에 집중한 것이 아니고 대성팔씨라고 말하는 바와 같이 귀족수의 增加가 알려지고 그 성격도 多樣化하여져서, 궁정귀족이 득세하고 있었던 것을 명시하고 있다. 다만 특정적 强勸을 가진 귀족집단은 이루지 못하였고, 꽤 많은 귀족들에게 거의 균등한 정치권력을 부여하고 있었다는 것을 이해할 수가 있다. 이 백제귀족의 변질을 시사하는 한 사례로서 五部의 제도를 들 수 있다. 백제의 오부제는 고구려 오부제의 影響를 받은 것으로 보여지는데 왕도를 분해해서 그곳에 각 귀족들을 거주시켰다고 한다. 지방세력을 배경으로하는 귀족들뿐일 것 같으면 왕도내에 있어서 거주지역을 제한할 필요도 없고 때로는 불편한 점도 자초하는 제도이다. 궁정귀족이란 관료들의 세력이 增大해짐에 따라서 오부의 제도가 가능하여 졌다고 推定된다.
Ⅵ. 결론
지금까지 백제의 귀족에 대해서 웅진시대와 사비시대의 귀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웅진천도는 기존의 귀족세력들에게 커다란 변화를 초래했다. 우선 천도 직후에는 한성시대에 왕비족으로 행세하던 해씨와 진씨는 역시 중앙의 귀족으로 확고한 지위를 다시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웅진으로 도읍을 천도하자 이지역의 지방세력들이 또한 정계에 등장하였으니 이들이 바로 연씨, 백씨, 사씨 들이다. 이들은 대개 웅진시기의 역사적인 전개과정에서 파악컨대 연씨는 오늘날의 온양, 백씨는 공주 의당지역, 사씨는 부여의 성흥산성일대에 그의 근거지가 위치하고 있던 세력들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웅진시기는 기존의 구귀족과 천도로 인한 새로운 귀족들이 정계에 등장하는 귀족세력의 재편이 이루어지던 과도기적 시기였던 것이다. 이러한 백제의 지방귀족들의 중앙진출은 지방제도의 운영에도 변화를 초래하였다. 또 사비천도는 불안한 사회상황을 극복하여 국력을 회복하고, 또 웅진시대 연이어 일어난 내분의 종지부를 위하여 성왕이 단행하였다. 이로써 진씨와 해씨는 외교사무나 귀족연합체제의 조직능력을 바꾸어서 궁정귀족이 되어, 웅진지역의 귀족과 함께 백제의 귀족층을 형성하고, 목씨나 협씨 등도 궁정귀족화되면서 유력한 귀족의 일원으로 되었다. 이와 같이 웅진시대 이후의 귀족층에는 궁정귀족내지는 궁정귀족화되어 가는 자를 포함하여 대체로 궁정귀족의 세력이 증대해졌다. 이처럼 웅진, 사비시대는 귀족과 타협하기도 하고, 또 왕권 강화를 단행하기도 하면서 멸망해 가는 백제를 중흥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고 볼 수 있다.
웅진, 사비시대의 귀족 세력의 움직임을 파악하는데 있어서는 사료가 적은 관계로 그릇된 추측이 많을 수 있다. 또 귀족들의 근거지를 파악하는데 있어서도 마찬가지였는데, 앞으로 새로운 연구성과를 기대하여 올바른 이해가 이루어졌으면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