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울러의 신앙발당 이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파울러의 신앙이해
1. 신앙의 본질
⑴ 보편적인 것으로서의 신앙
⑵ 관계 적인 것으로서의 신앙
⑶ 상상으로서의 신앙
⑷ 앎의 행위로서의 신앙
2. 신앙의 구조
⑴ 논리의 형태
⑵ 관점의 채택
⑶ 도덕적 판단의 형태
⑷사회 의식의 테두리
⑸권위의 장소, 출처
⑹세계관의 형태
⑺상징적 기능다.

Ⅲ. 파울러의 신앙 발달 이론
1. 신앙 발달이론의 심리적 기초
⑴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
⑵ 콜버그의 도덕 발달 이론
⑶ 에릭슨의 인격발달 이론
2. 신앙 발달의 단계별 설명

Ⅳ. 신앙 발달 이론에 대한 평가

Ⅴ. 마치면서

본문내용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파울러가 선택한 일곱 가지 기준이란 사실에 있어 ‘인지적인 능력’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다. 파울러의 신앙 단계설은 피아제에 의해 제시된 4단계 논리의 형태나 콜버그에 의해 제시된 6단계 도덕 판단의 형태를 그대로 차용한 것이었는데, 이 같은 시도는 인간의 행동 중 특히 인지적 차원의 논리적, 추론적 활동을 다른 영역의 행동에 비해 지나치게 중시하는 입장에서 고안된 연구 결과로서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신앙 발달의 단계를 측정하기 위해 파울러가 선택했던 활동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비판의 대상으로 지적하고 있다.
이처럼 파울러의 신앙 발달 이론은 여러 가지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그의 이론이 그만큼 기독교교육 분야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한다. 박원호는 파울러의 이론의 기독교 교육적 가치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는 파울러의 이론은 기독교교육의 중심인 신앙의 본질을 환기 시켜 준 이론으로서 이를 기초하여 기독교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 주체, 객체, 환경, 평가 등을 새롭게 작성할 수 있다고 한다. 즉 파울러는 신앙의 성장은 일평생을 통해 지속적이고 단계적으로 이루어진다고 보았는데, 이것은 기독교교육이 항상 일평생을 통해 전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각 단계를 위한 교육 역시 전체적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과 일치한다. 다음으로 파울러가 신앙은 근본적이라고 본 것은 기독교교육이 인격과 삶을 중심으로 하는 신앙 교육이 되어야 하며, 신앙에는 다양한 영역들이 하나의 유기적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기독교육은 이 영역들이 균형 있게 자랄 수 있도록 관심을 가져야 함을 뜻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신앙은 관계적이라는 것은 신앙의 강조한 것으로서, 공동체성의 본질은 기독교 교육의 모든 노력에 스며들어 있어야 하며 어떤 의미로는 교육의 목적 또한 공동체성과 긴밀히 연결됨을 의미한다.
Ⅴ. 마치면서
파울러의 신앙 발달 이론은 기독교 교육을 위한 터전과 구조, 그리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기독교 교육의 중심은 신앙이다. 그의 신앙에 대한 본질적인 이해, 신앙에 대한 구조적 이해, 신앙에 대한 발달적 이해는 기독교 교육이 가장 깊이 고민하고 해결해야 할 핵심적 문제에 해답을 준다. 오늘날 교회 교육의 가장 근본적 문제와 과제는 신앙의 중심성을 회복하는 일이다.
이기적인 신앙, 비도덕적 신앙, 가식적 신앙, 광신적 신앙, 등 이러한 모습들은 교회교육에 있어서 신앙의 균형을 상실했기 때문이다. 신앙은 전체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신앙의 부분적 이해는 자칫 신앙으로 인한 삶과 인격의 고통을 가져온다.
교육하는 교사의 눈에는 항상 학생의 신앙 성장 (움직임)에 민감해야하며 신앙의 성장이라는 교육적 사명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교사의 교육적 노력들은 신앙의 성장이라는 한 주제에 맞추어야 한다. 신앙에는 생명력이 있으므로 항상 성장하게 되어있다.
(목 차)
Ⅰ. 들어가는 말
Ⅱ. 파울러의 신앙이해
1. 신앙의 본질
⑴ 보편적인 것으로서의 신앙
⑵ 관계 적인 것으로서의 신앙
⑶ 상상으로서의 신앙
⑷ 앎의 행위로서의 신앙
2. 신앙의 구조
⑴ 논리의 형태
⑵ 관점의 채택
⑶ 도덕적 판단의 형태
⑷사회 의식의 테두리
⑸권위의 장소, 출처
⑹세계관의 형태
⑺상징적 기능다.
Ⅲ. 파울러의 신앙 발달 이론
1. 신앙 발달이론의 심리적 기초
⑴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
⑵ 콜버그의 도덕 발달 이론
⑶ 에릭슨의 인격발달 이론
2. 신앙 발달의 단계별 설명
Ⅳ. 신앙 발달 이론에 대한 평가
Ⅴ. 마치면서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02.19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73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