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속의 학교, 그리고 그 안에 있는 교사와 학생 -「로빙화」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영화분석>
▶영화「로빙화」

▶틀에 박힌 주입식 교육보다 자유로운 교육을 추구하는 교사

▶권력과 돈의 힘 앞에 무릎을 꿇는 학교 교육

▶영재 교육에 소홀한 교육 현실


<교육학적 논의>
▶학교에서의 교사의 역할

▶학교는 권력의 도구

본문내용

들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줘야 하는 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와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사회유지를 위한 수단이 되어버린 지 오래이다. 즉, 학교는 기존의 기득권, 특권 세력의 제도적 기반으로서 그들의 사회적, 문화적 우위를 계속 점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되었고 일반의 문화와는 동떨어진 그런 것들을 배워나간다. 학교에서 강조하는 지식은 기득권 세력에게 필요한 그런 것들로서 가난한 집안의 아이들은 거기에 따라갈 수밖에 없는 상황인 것이다. 이러한 학교는 전혀 인간적이지 못한 물질문명을 위한 비인간적인 행동을 하고 있는 것이다.
현재 우리의 교육제도는 자본주의 원칙을 기본으로 하고 있기에 라이머의 주장처럼 많은 불평등을 낳고 있다. 물론 최소한의 기본적인 평등교육을 보장하고는 있다. 초등학교까지의 의무교육, 시골 지역에서 중학교까지의 의무교육, 그리고 대학 입시에 있어서 농어촌 특별전형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것으로는 부족하다. 권력과 돈으로 인해 교육의 불평등이 오지 않도록 보다 근본적인 교육 제도가 필요하다.
우리들 대부분에게 학교와 학교생활이 좋은 추억거리는 되지만 행복했던 시절로 기억되지는 않고 있다. 이것은 학교가 본래적 과제에 충실하지 못했다는 사실을 반증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제 학교는 그의 본래의 존재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자기 혁신을 해야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학생의 삶을 인도하고 그들의 개성적 성장을 위해 존재한다는 본질적 과제와 책임을 재확인하고 그것의 실현을 위해 힘써야 한다. 그럴 때 학교는 비로소 교육의 장으로서 그의 의미를 획득하고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담당할 수 있게 된다.
  • 가격1,6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2.20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73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