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평가의 유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평가의 유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임의평가

2) 상대평가
(1) 상대평가의 장점
※ 홉킨스(Hopkins)가 말한 상대평가의 장점
(2) 상대평가의 단점
※ 홉킨스(Hopkins)가 말한 상대평가의 단점

3) 절대평가
1) 절대평가의 장점
※ 홉킨스(Hopkins)가 열거한 절대평가의 장점
(2) 절대평가의 단점
※ 홉킨스(Hopkins)가 말한 절대평가의 단점

※ 상대평가와 절대평가의 특징

♣ 2006학년도 임용고시(교육학) 문제♣
<보기>의 대화에서 학부모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데 가장 적합한 평가 유형은?

본문내용

이 도달할 목적에 따라 결정한다.
측정할 특성, 재능
변화한 정도를 나타낸다.
충분한 양, 불충분한 양을 나타낸다.
교수영역
인식, 정서, 정신운동
인식, 정서, 정신운동
검사항목구성
학생들 사이에서 식별
미리 정해진 수준에 대한 숙달측정
항목의 곤란도
중간 정도의 곤란도
비교적 쉬움
식별력
학생들의 높은 점수에서부터 낮은 점수의 순서
기준에 도달하지 못한 사람에서부터 기준에 도달한 사람의 선별
타당성
내용의 타당성(재료와 감추어진 행동을 나타내는 항목)
기대하는 높은 가치
점수의 범위
낮은 점수부터 높은 점수
기대하는 높은 가치
점수해석
내면적으로 산출한 기준 혹은 외면적으로 산출한 기준
외면적 기준
가장 큰 특색은 상대평가에서는 개인과 개인을 상대적으로 평가한 반면 절대평가에서는 남과 비교하기보다는 개인을 어떤 기준에 비추어 평가하는 것이다. 상대평가의 어려운 점은 흔히 부당하게 억지로 첫째가 되거나 꼴찌가 되는 수가 있고, 한 집단에서의 등위와 다른 집단에서 정해진 등위의 차가 사실상의 능력, 혹은 특성의 차를 표시하지는 못한다. 절대평가도 나름대로 어려운 점들이 있다. 즉 각 단계에 알맞은 표준인물을 정하기가 그다지 쉽지 않으며, 인상의 착오 등이 이중으로 작용된다는 점들이다.
♣ 2006학년도 임용고시(교육학) 문제♣
<보기>의 대화에서 학부모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데 가장 적합한 평가 유형은?
학부모: 우리 주현이 수학시험 성적은 어떤가요?
최교사: 반에서 10등쯤 합니다.
학부모: 그런가요? 그런데 저는 등수보다 우리 아이가 무엇을 할 줄 아는 지를 더
알고 싶어요. 두 자리 수 뺄셈을 제대로 할 줄 아는지, 그런 것들은 좀 알고
싶어요.
① 규준지향평가(norm-referenced evaluation)
② 준거지향평가(criterion-referenced evaluation)
③ 능력지향평가(ability-referenced evaluation)
④ 성장지향평가(growth-referenced evaluation)
정답)②
준거지향평가의 장점을 묻는 문제이다.
준거지향평가(절대평가)는 발달적 교육관에 입각한 평가로서 평가의 목적이 교육목표 달성 그 자체에 관심을 지니며 또한 아동의 성장발달에 대한 정보 수집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교사는 교수방법 및 교육과정을 개선하고 학생은 학습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다음 계속되는 교육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2.24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74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