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황
* 사회와 문화
* 정치
* 경제
* 한국과의 관계
* 사회와 문화
* 정치
* 경제
* 한국과의 관계
본문내용
e Agreement:북미자유무역협정)의 출범으로 경제 부흥기를 맞고 있는데, 최고 관세율을 100%에서 20%로 하향조정하는 등 개방화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밖에도 경제발전을 위한 외국인 투자유치 장려, 독점방지를 위한 공기업(公企業)의 민영화(民營化)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1994년 초 NAFTA 출범과 함께 경제성장 국면으로 진입하였던 멕시코 경제는 1994년말 페소화(貨) 폭락사태로 1995년 경제경장률이 전년대비 -6.2%로 마이너스 성장하였다. 그러나 정부의 긴축정책과 미국의 긴급자원지원 등에 힘입어 1997년에는 1981년 이후 최대의 성장률을 기록하였다. 1998년 8월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정으로 멕시코의 페소화와 주식의 약세, 고금리로 인하여 경제가 불안하였으나 1998년 11월 이후 안정을 되찾았다.
1999년에는 미국 경제의 호조와 석유가격을 배경으로 수출이 확대되었고 멕시코 경제도 더욱 안정되었으나 2001년에는 미국 경기침체의 여파로 멕시코 경제도 급속히 위축되었다. 2000년 수출은 1664억 달러, 수입은 1745억 달러이고 주요 무역상대국은 미국, EU(European Union:유럽연합) 국가, 일본, 캐나다 등이다.
현재 멕시코와 일본간 자유무역협정 체결이 8차 협상을 끝내고 순항 중이며 이런 속도로 협상이 진행되면 10월 말이면 협정이 체결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은 현재 900억달러 규모의 농산물을 아시아 지역에서 수입하고 있어 멕시코에서는 협상 타결시 대일본 농업분야 수출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농산물 이외도 멕시코가 주안점을 두고 있는 것은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수출이다. 두나라간 협정은 모든 품목을 포함하는 명실상부한 ‘자유무역협정’이다.
* 한국과의 관계
멕시코는 남북한 동시수교국이다. 한국은 1962년 7월 공관을 설치하고 1966년 4월에는 문화협정, 같은 해 12월에는 무역협정을 체결하였다. 북한과는 1991년 수교하였다. 1980년 10월 19일 세라노멕시코석유회사 총재가 대한 원유공급문제를 토의하기 위하여 내한하였으며 1996년에는 대통령 세디요가 방한하였다. 한국에서는 1991년 대통령 노태우, 1997년 대통령 김영삼이 멕시코를 방문하였고 2000년 11월 브루나이에서 열린 APEC(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회의를 계기로 양국 정상회담을 가졌다.
멕시코와 한국은 문화협정, 무역협정(1966), 사증면제협정(1979), 항공협정(1988), 경제·과학기술협력협정(1989), 이중과세방지협약(1994), 투자보장협정(2000) 등을 체결하였다. 무역협정 이후로도 별다른 교역을 이루지 못하다가, 1970년대에 들어 본격적으로 교역량이 증대되었다. 2000년 대한(對韓) 수출 3억 7794만 달러, 대한 수입 23억 9136만 달러이며 주요 수출품은 화학·금속·유리제품 등이며 수입품은 전자·전기제품, 섬유류, 기계류 등이다. 현재 한국인 교민 9,500여 명, 체류자 1,500여 명이다.
이밖에도 경제발전을 위한 외국인 투자유치 장려, 독점방지를 위한 공기업(公企業)의 민영화(民營化)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1994년 초 NAFTA 출범과 함께 경제성장 국면으로 진입하였던 멕시코 경제는 1994년말 페소화(貨) 폭락사태로 1995년 경제경장률이 전년대비 -6.2%로 마이너스 성장하였다. 그러나 정부의 긴축정책과 미국의 긴급자원지원 등에 힘입어 1997년에는 1981년 이후 최대의 성장률을 기록하였다. 1998년 8월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정으로 멕시코의 페소화와 주식의 약세, 고금리로 인하여 경제가 불안하였으나 1998년 11월 이후 안정을 되찾았다.
1999년에는 미국 경제의 호조와 석유가격을 배경으로 수출이 확대되었고 멕시코 경제도 더욱 안정되었으나 2001년에는 미국 경기침체의 여파로 멕시코 경제도 급속히 위축되었다. 2000년 수출은 1664억 달러, 수입은 1745억 달러이고 주요 무역상대국은 미국, EU(European Union:유럽연합) 국가, 일본, 캐나다 등이다.
현재 멕시코와 일본간 자유무역협정 체결이 8차 협상을 끝내고 순항 중이며 이런 속도로 협상이 진행되면 10월 말이면 협정이 체결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은 현재 900억달러 규모의 농산물을 아시아 지역에서 수입하고 있어 멕시코에서는 협상 타결시 대일본 농업분야 수출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농산물 이외도 멕시코가 주안점을 두고 있는 것은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수출이다. 두나라간 협정은 모든 품목을 포함하는 명실상부한 ‘자유무역협정’이다.
* 한국과의 관계
멕시코는 남북한 동시수교국이다. 한국은 1962년 7월 공관을 설치하고 1966년 4월에는 문화협정, 같은 해 12월에는 무역협정을 체결하였다. 북한과는 1991년 수교하였다. 1980년 10월 19일 세라노멕시코석유회사 총재가 대한 원유공급문제를 토의하기 위하여 내한하였으며 1996년에는 대통령 세디요가 방한하였다. 한국에서는 1991년 대통령 노태우, 1997년 대통령 김영삼이 멕시코를 방문하였고 2000년 11월 브루나이에서 열린 APEC(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회의를 계기로 양국 정상회담을 가졌다.
멕시코와 한국은 문화협정, 무역협정(1966), 사증면제협정(1979), 항공협정(1988), 경제·과학기술협력협정(1989), 이중과세방지협약(1994), 투자보장협정(2000) 등을 체결하였다. 무역협정 이후로도 별다른 교역을 이루지 못하다가, 1970년대에 들어 본격적으로 교역량이 증대되었다. 2000년 대한(對韓) 수출 3억 7794만 달러, 대한 수입 23억 9136만 달러이며 주요 수출품은 화학·금속·유리제품 등이며 수입품은 전자·전기제품, 섬유류, 기계류 등이다. 현재 한국인 교민 9,500여 명, 체류자 1,500여 명이다.
추천자료
한-멕시코 FTA의 추진현황 및 추진과제
멕시코 에너지 산업-석유
멕시코의 음식문화
멕시코의 식생활과 문화
[한미투자협정][한미투자협정 문제점][멕시코와 미국의 투자협정 사례][한미투자협정 평가]한...
엘살바도르의 노동관련법제, 엘살바도르의 노사관계, 엘살바도르의 미국기업 및 노조와 인권...
[엘살바도르]엘살바도르의 경제, 엘살바도르의 일반개황, 엘살바도르의 산업투자, 엘살바도르...
멕시코의 식생활 문화
2006년(2000년대)의 사회복지, 2006년(2000년대)의 물가상승률, 2006년(2000년대)의 실물경제...
노무현정부(참여정부)의 성격, 신자유주의, 노무현정부(참여정부)의 경제, 노무현정부(참여정...
멕시코 혁명 [The Mexican Revolution]
베이비붐 세대와 한국경제-베이비붐 세대의 특수성,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후 파급효과(노동시...
멕시코 사빠띠스따에 대하여
[세계의정치와경제] 1 세계화시대 남북통일 민족국가 의미, 남북통일 필요성, 남북통일 불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