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스 아퀴나스 심신이론에 대한 두 가지 해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토마스 심신이론의 문제점

3. 웨버와 바잔간의 논쟁

4. 왜 지성은 육체의 형상인가?

5. 나가는 말

본문내용

- 4 참조.
20) B. Bazan, "Le dialogue entre Siger de Brabant et Thomas d'Aquin," 69 - 78.
21) Ibid., 85.
22) Ibid., 70. 또한 바잔의 "Precisions sur la doctrine de l'influence selon Thomas d'Aquin," 1068 참조.
23) SCG 2.69.1464; ST 1.76.1 ad 1과 2; DUI 3.83.
24) 사이저는 전 생애동안 일관적으로 토마스에 대해 이와 동일한 비판을 제기한다. QIIIDA 7; DAI 3; QLC 26.
25) DUI 3.84; ST 1.76.1 ad 4; SCG 2.69.1463, 1365. 이와 같은 토마스의 입장에 대해서는 장욱, 「성 토마스에 있어서 인간 존엄성의 궁극적 근거」 『카톨릭철학』 2 (200): 175 - 225 참조.
26) B. Bazan, "Le dialogue entre Siger de Brabant et Thomas d'Aquin," 85 n. 84. 바잔은 전거(典據)로서 아베로이스의 LC 3.385,55; 18.439.72를 지적한다. 반면, 사이저에 대한 전거로는 사이저의 텍스트를 열거하지 않고 단지 다 파르마 C.(G. da Palma C.)의 La dottrina sull'unita dell'intelletto in Sigieri di Brabante (Padova: Case Etrice Dott. Antonio Milani, 1955), 30 - 3을 인용한다. 또한 이 점에 대해 H. A. Davidson, Afarbi, Avicenna, and Averroes on the Intellect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301 참조: "『지성적 영혼에 대하여』는 "지성적 영혼", 영혼의 "지성적 부분" 그리고 "지성"에 대해 상호 교환하여 사용하면서 말한다."
27) 아베로이스가 이 두 용어들을 동일시했는지 확실하지 않다. 그의 저술에는 anima intellectiva란 용어가 발견되지 않으며, 바잔이 인용한 아베로이스의 텍스트에는 각각 anima rationalis와 anima in nobis를 포함할 뿐이다.
28) QIIIDA 13.44.29 - 32.
29) DAI 7, 104.71 - 80.
30)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신학대전』의 1부(Prima pars)가 1268년 9월에 쓰여졌다는 점에 의견의 일치를 본다. Jean-Pierre Torrell, Saint Thomas Aquinas. Vol. 1: The Person and His Work. trans. Robert Royal (Washington, D.C.: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1996), 146.
31) 토마스는 QDA 3문에서 "가능지성 혹은 지성적 영혼은 모든 인간에 하나인가"라는 질문을 제기한다.
32) DUI 1.11.
33) QDSC 2c.
34) Aristotle, De anima, 2.1, 412a20-2.
35) Ibid., 2.1, 413a4-7. Cf. 1.1, 403a10.
36) Ibid., 2.2, 413b25 - 7.
37) Ibid., 3.4, 429a15 - b6.
38) LC 2.7, 138.14 - 5.
39) Ibid., 2.22, 161.16 - 18.
40) Ibid., 2.21, 160.9-19.
41) DUI 1.8. Cf. SCG 2.61; DUI 1.5.
42) DUI 1.5.
43) 이 주제에 대해서는 James Doig, "Toward Understanding Aquinas' Com. in De Anima: A Comparative Study of Aquinas and Averroes on the Definition of the Soul (De Anima B, 1 - 2)," Rivista di filosofia neoscolastica 66 (1974): 436 - 74 참조.
44) Cf. ST 1.75.1.
45) In DA 2.3.106 - 16 (2.3.253); DUI 3.61.
46) DUI 1.10 - 11.: Hoc ergo habito quod anima determinatur vegetativo, sensitivo, intellectivo et motu, vult ostendere consequenter quod quantum ad omnes istas partes, anima unitur corpori non sicut nauta navi, sed sicut forma. Et sic certificatum erit quid sit anima in communi. . . . Hoc autem probat per operationes anime sic: manifestum est enim quod illud quo primo aliquid operatur est forma operantis. . . . Ex hoc procedit sic: ≪Anima est primum quo vivimus (quod dicit propter vegetativum), quo sentimus (propter sensitivum), et movemur (propter motivum), et intelligimus (propter intellectivum≫; et concludit: ≪Quare ratio quaedam utique erit et species, sed non ut materia et ut subiectum≫. Manifeste ergo quod supra dixerat, animam esse actum corporis physici, hic concludit non solum de snesitivo, vegetativo et motivo, sed etiam de intellectivo. Fuit ergo sententia Aristotelis quod id quo intelligimus sit forma corporis physici.
  • 가격2,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6.03.14
  • 저작시기2006.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94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