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정맥주사
1) 말초정맥주사
(1) 주사부위
(2) 정맥주사 시 사용기구
(3) 용액주입속도조절
(4) 정맥주입용액
(5) 합병증
2) 중심정맥주사
(1) 목적
(2) 삽입부위
(3) 중심정맥관의 종류
(4) 합병증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정맥주사
1) 말초정맥주사
(1) 주사부위
(2) 정맥주사 시 사용기구
(3) 용액주입속도조절
(4) 정맥주입용액
(5) 합병증
2) 중심정맥주사
(1) 목적
(2) 삽입부위
(3) 중심정맥관의 종류
(4) 합병증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때문
- 시술이 간단하고 기흉, 혈흉과 같은 합병증 가능성이 적음
- 삽입 후 3~6개월 간 유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
→ 급성간호와 가정간호에서 아주 유용하게 이용됨
- 카테터가 삽입되어 있는 팔에서는 혈압측정을 하지 않음
④ 이식형 포트(implanted port)
- 카테터 끝은 쇄골하 정맥과 경정맥에 위치하고 중심쪽 또는 port는 상부흉부 벽의 피하조직에 이식됨
- 피하에 터널을 만들어 약물저장고인 포트를 피하에 매립(이식)한 후 봉합하여 외관상 포트는 밖으로 노출되지 않음
- 피부표면에서 포트를 촉지하여 중심부위에 꽂아서 수액이나 약물 또는 혈액 등을 공급하거나 채혈할 수 있음
- 반복적인 정맥처치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
- 포트가 피하에 매립되어 있어 외관상 보기 좋으면 삽입부위는 대상자가 특별 한 관리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함
- 포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월 1회 헤파린 관류를 하여 막히지 않도록 함
- 드레싱은 huber needle과 함께 7일마다 교환함
⑷ 합병증
합병증과 정의
원인
증상 및 징후
간호
침윤(infiltration)
피하조직에 수액이 스며드는 것
잘못 위치한 바늘
정맥벽의 관통
주사 부위의 종창, 통증, 차가움, 주입 속도의 저하, 정맥 귀환율 소실
용액 주입 중단하고 다른 부위에서 다시 시작함
온습포 적용
팔지지대 사용
혈전(thrombus)
혈관 속에서 피가 굳어져서 된 고형물
바늘 또는 카테터로 인한 조직손상
정맥염과 유사한 증 상
즉시 주입 중단
온습포 적용(의사의 지시에 의함)
주입부위를 문지르거 나 마사지 하지 않음
정맥염(phlebitis)
카테터로 인해 혈관에 염증이 발생한 것
바늘 또는 카테터로 인한 기계적 손상
용액에 의한 화학적 손상
오염에 의한 패혈
국소적 급성 압통, 열감, 발적 주입부 위 정맥의 가벼운 부종
즉시 주입중단
온습포 적용
무균술 철저히 적용
무리하게 세척하지 않음
패혈증(septicemia)
카테터 삽입부위를 통한 혈류로의 미생물 침투
카테터 삽입시 무균 술 결여
여러 관강의 카테터
장기간의 카테터 삽 입
잦은 드레싱 교환
주입부위의 발적, 민 감, 발열, 허약
카테터 삽입부위 수 시 관찰
철저한 무균술 적용
체액과부담(fluid overload)
과량의 체액이 순환계에 주입되어 야기된 상태
순환계에 과다 주입 된 용액의 양
혈압상승, 호흡곤란, 경정맥 울혈, 맥박, 호흡수 증가
용액 주입률 늦추고 의사에게 보고
활력징후 주시
high or semi flower's 체위 취해줌
필요시 중심정맥압 측정
필요시 산소공급
순환기쇼크(speed shock)
수액이 너무 빨리 주입 될 때 일어나는 전신적 반응
순환계로의 용액주입 의 속도가 너무 빠 를 때
혈압하강, 호흡곤란, 청색증, 기절, 맥박 이 약해짐, 치는 듯 한 두통
즉시 주입중지
쇼크 치료함
주입속도 자주 확인
용액주입률 주의 깊 게 주시
활력징후 주시
색전(embolism)
순환계의 이물질 혹은 공기
공기가 주입선을 통 해 정맥으로 들어옴
어깨 혹은 등의 통 증, 흉통, 호흡곤란, 저혈압, 청색증, 약 한 맥박, 의식 소실
Trendelenburg 체위 를 왼쪽으로 취해줌
의사에게 알림
활력징후와 맥박산소
Ⅲ. 결론
강연순님에게 필요한 정맥주사 요법을 선택해 그에 맞는 주사부위와 수액 그리고 정확한 주입속도로 주입해야 한다.
Ⅳ. 참고문헌
기본간호학I 홍근표,수문사,2000
군자츌판사 기본간호학 이론서,장성옥외,2005
http://www.innurse.wo.ro/
http://www.gcomin.co.kr/data/30/F29653.html
- 시술이 간단하고 기흉, 혈흉과 같은 합병증 가능성이 적음
- 삽입 후 3~6개월 간 유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
→ 급성간호와 가정간호에서 아주 유용하게 이용됨
- 카테터가 삽입되어 있는 팔에서는 혈압측정을 하지 않음
④ 이식형 포트(implanted port)
- 카테터 끝은 쇄골하 정맥과 경정맥에 위치하고 중심쪽 또는 port는 상부흉부 벽의 피하조직에 이식됨
- 피하에 터널을 만들어 약물저장고인 포트를 피하에 매립(이식)한 후 봉합하여 외관상 포트는 밖으로 노출되지 않음
- 피부표면에서 포트를 촉지하여 중심부위에 꽂아서 수액이나 약물 또는 혈액 등을 공급하거나 채혈할 수 있음
- 반복적인 정맥처치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
- 포트가 피하에 매립되어 있어 외관상 보기 좋으면 삽입부위는 대상자가 특별 한 관리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함
- 포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월 1회 헤파린 관류를 하여 막히지 않도록 함
- 드레싱은 huber needle과 함께 7일마다 교환함
⑷ 합병증
합병증과 정의
원인
증상 및 징후
간호
침윤(infiltration)
피하조직에 수액이 스며드는 것
잘못 위치한 바늘
정맥벽의 관통
주사 부위의 종창, 통증, 차가움, 주입 속도의 저하, 정맥 귀환율 소실
용액 주입 중단하고 다른 부위에서 다시 시작함
온습포 적용
팔지지대 사용
혈전(thrombus)
혈관 속에서 피가 굳어져서 된 고형물
바늘 또는 카테터로 인한 조직손상
정맥염과 유사한 증 상
즉시 주입 중단
온습포 적용(의사의 지시에 의함)
주입부위를 문지르거 나 마사지 하지 않음
정맥염(phlebitis)
카테터로 인해 혈관에 염증이 발생한 것
바늘 또는 카테터로 인한 기계적 손상
용액에 의한 화학적 손상
오염에 의한 패혈
국소적 급성 압통, 열감, 발적 주입부 위 정맥의 가벼운 부종
즉시 주입중단
온습포 적용
무균술 철저히 적용
무리하게 세척하지 않음
패혈증(septicemia)
카테터 삽입부위를 통한 혈류로의 미생물 침투
카테터 삽입시 무균 술 결여
여러 관강의 카테터
장기간의 카테터 삽 입
잦은 드레싱 교환
주입부위의 발적, 민 감, 발열, 허약
카테터 삽입부위 수 시 관찰
철저한 무균술 적용
체액과부담(fluid overload)
과량의 체액이 순환계에 주입되어 야기된 상태
순환계에 과다 주입 된 용액의 양
혈압상승, 호흡곤란, 경정맥 울혈, 맥박, 호흡수 증가
용액 주입률 늦추고 의사에게 보고
활력징후 주시
high or semi flower's 체위 취해줌
필요시 중심정맥압 측정
필요시 산소공급
순환기쇼크(speed shock)
수액이 너무 빨리 주입 될 때 일어나는 전신적 반응
순환계로의 용액주입 의 속도가 너무 빠 를 때
혈압하강, 호흡곤란, 청색증, 기절, 맥박 이 약해짐, 치는 듯 한 두통
즉시 주입중지
쇼크 치료함
주입속도 자주 확인
용액주입률 주의 깊 게 주시
활력징후 주시
색전(embolism)
순환계의 이물질 혹은 공기
공기가 주입선을 통 해 정맥으로 들어옴
어깨 혹은 등의 통 증, 흉통, 호흡곤란, 저혈압, 청색증, 약 한 맥박, 의식 소실
Trendelenburg 체위 를 왼쪽으로 취해줌
의사에게 알림
활력징후와 맥박산소
Ⅲ. 결론
강연순님에게 필요한 정맥주사 요법을 선택해 그에 맞는 주사부위와 수액 그리고 정확한 주입속도로 주입해야 한다.
Ⅳ. 참고문헌
기본간호학I 홍근표,수문사,2000
군자츌판사 기본간호학 이론서,장성옥외,2005
http://www.innurse.wo.ro/
http://www.gcomin.co.kr/data/30/F29653.html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