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에 관한 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호흡에 관한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호흡의 정의

- 흡식호흡과 호식호흡

- 외호흡과 내호흡

- 호흡의 종류와 양상

- 정상호흡 양상

- 호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호흡측정방법

- 호흡측정순서

본문내용

각하고 위험할 정도로 심해지기도 함. ***
③ 체위
- 반듯하게 선 자세가 횡격막 움직임이 용이하여 폐 환기량이 가장 큼.
- 그러나 구부리거나 엎드리는 자세는 가스교환에 장애를 주므로 호흡률과 깊이가 증가됨.
6) 호흡측정방법
- 호흡측정방법은 정상적인 흉곽과 복부의 움직임에 대한 간호사의 인지에 의함.
- 대상자가 쉬고 있을 때 하는 것이 중요함.
- 대상자가 모르도록 기술적으로 해야함.
- 대상자가 간호사의 의도를 알면 의식적으로 호흡의 률과 깊이를 변화시킬 수 있음.
- 영아의 호흡측정 방법 : 깨우거나 놀래지 않도록 호흡부터 측정함. 소아는 흉벽의 움직임이 빠르므 로 관찰하기 쉽다.
- 조용한 호흡 : 흉벽이 조용히 상하로 움직이고 늑골간의 근육이나 목과 어깨의 부속근의 수축은 볼 수 없음.
- 수동적 호흡 : 복강이 서서히 상하로 움직여 더욱 횡격막 호흡이 됨. 더 큰 호흡을 요구할 때는 늑골 움직임이 커지고 공기를 들여마시고 내품기 위하여 늑골근과 부속근들이 능동적으로 움직임. 어깨가 오르내리고 목에 있는 부속근의 수축도 눈에 띔. 흉식호흡이 증가되면 횡격막의 움직임은 조금 감소됨.
7) 호흡측정 순서
1. 맥박 측정 후에 자세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호흡의 한 주기(흡기와 호기)를 관찰함.
*** 맥박 측정시와 같은 자세로 호흡을 측정하도록 함.
대상자가 의식하지 못하도록 해야 호흡율과 깊이가 변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음. ***
2. 호흡 주기를 관찰한 후 호흡율을 측정함.
호흡이 규칙적이고 편안하다면
⇒ 30초동안 측정한 호흡수 X 2
리듬이 불규칙하거나 호흡수가 12회 이하 또는 20회 이상일 때도
⇒ 1분동안 호흡수를 측정해야함.
*** 호흡율은 호흡수와 일치하는 것이 정상. 불규칙적일 경우 최소 1분간 사정하도록 함. ***
3. 호흡수를 측정하는 동안 호흡 깊이를 사정하기 위해 흉부의 움직임을 관찰함.
4. 환자에게서 비정상적인 호흡양상이 있는지 주의 깊게 들음.
*** 만성 폐질환 대상자일 경우 호흡 곤란이 있을 수 있음. ***
※ 참 고 문 헌 ※
홍근표 외 (2003) 기본간호학I. 수문사
나명석 외 (2001) 해부생리학. 고문사
이병희 외 (1990) MEDICAL DICTIONARY. 수문사
김명자 외 (1997) 기본간호학下. 현문사
김순자 외 (2001) 기본간호학下. 수문사
장성옥 외 (2005) 기본간호학실습지침서. 군자출판사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6.25
  • 저작시기2006.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01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