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러시아어의 음소론 개관/
2. 러시아어 알파벳(алфавит)의 구성/
2.1. 모음/자음/부호로 세분화된 러시아어 알파벳/
3. 러시아어 모음의 구성과 음가/
3.1. 러시아어 모음과 영어 상당음/
4. 러시아어 자음의 구성과 음가/
4.1. 러시아어 자음과 영어 상당음/
4.2. 경/연자음 읽기규칙/
4.3. 종합 경자음과 연자음 읽기 규칙/
4.4. 유/무성화 된 자음의 발음/
4.5. 자음 결합체를 읽는 방법/
5. 러시아어 음소체계/
5.1. 러시아어 자음의 음소체계/
5.2. 러시아어 모음의 음소체계/
참고 문헌]
2. 러시아어 알파벳(алфавит)의 구성/
2.1. 모음/자음/부호로 세분화된 러시아어 알파벳/
3. 러시아어 모음의 구성과 음가/
3.1. 러시아어 모음과 영어 상당음/
4. 러시아어 자음의 구성과 음가/
4.1. 러시아어 자음과 영어 상당음/
4.2. 경/연자음 읽기규칙/
4.3. 종합 경자음과 연자음 읽기 규칙/
4.4. 유/무성화 된 자음의 발음/
4.5. 자음 결합체를 읽는 방법/
5. 러시아어 음소체계/
5.1. 러시아어 자음의 음소체계/
5.2. 러시아어 모음의 음소체계/
참고 문헌]
본문내용
(거기에)
любить[l'jub'it'](사랑하다)
ф
шкафы[kaf](장롱들)
физика[f'iz'ik](물리학)
х
холод[xolt](추위)
стихи[st'ix'i](시들:poems)
ж
журнал[urnal](잡지)
жёлтый[joltj](노란/황색의)
ш
шапка[alk](모자)
шёлк[jolk](비단)
ц
улица[yl'ic·a](거리)
цифра[cfr](숫자)
ч
час[as](시간)
читать[itat'](읽다)
щ
щука[uk](창꼬치)
ещё[ijo](여전히/아직)
й
йод[jot](요오드)
паранойя[prnoji](편집증)
유/무성화 된 자음의 발음
<도표11>
단어의 끝 / 무성화 된 자음 앞에서
유성화 된 자음 앞에서
문자
동화
예
문자
동화
예
б[b]
[p]
гриб[gr'ip](버섯)
голубка[galupk]
(암비둘기)
п[p]
[b]
суп был[subbl]
(수프가 있었다)
в[v]
[f]
нрав[nraf](기분)
завтра[zaftr](내일)
ф[f]
[v]
Афганистан[vgn'istan] (아프가니스탄)
г[g]
[k]
слог[slok](음절)
когти[kokt'i](발톱들)
к[k]
[g]
pюкзак[r'jugzak](배낭)
д[d]
[t]
сад[sat](정원)
лодка[lotk](보트)
т[t]
[d]
футбол[fudbol](축구)
ж[]
[]
муж[mu](남편)
ложка[lok](스푼)
ш[]
[]
наш дом[nadom](우리 집)
з[z]
[s]
мороз[maros](서리)
узкий[uskij](좁은)
с[s]
[z]
cдоба[zdob](맛내는 재료)
러시아어에는 씌어진 대로 발음할 수 없는 자음의 결합체들이 여럿 있다. 아래의 도표 참조하라.
자음 결합체를 읽는 방법
<도표12>
결합
발음
예
발음되지 않는 자음과의 결합
здн[zdn]
зн[zn]
праздник[prazn'ik](휴일)
рдц[rdc]
рц[rc]
сердце[s'jerci](마음)
лнц[lnc]
нц[nc]
солнце[sonci](태양)
стн[stn]
сн[sn]
лестница[l'jesn'ic·a](사닥다리)
вств[vstv]
ств[stv]
чувство[ustv](기분)
다른 결합
жч[]
щ[]
мужчина[muin](남자)
зч[z]
извозчик[izvoik](마부/운송업자)
сч[s]
счастье[ast'i](행복)
чт[t]
шт[t]
что[to](무엇)
чн[n]
шн[n]
конечно[kan'jen](물론)
тц[tc]
ц[c/ts]
вкратце[fkraci](간단히)
дц[dc]
двадцать[dvacat'](20)
тч[t]
ч[]
лётчик[ljoik](비행조종사)
дч[d]
докладчик[daklaik](기자)
тся[ts'ja]
цца[cca]
учится[uicca](그는 공부한다)
ться[t's'ja]
учиться[uicca](연구하다)
5. 러시아어 음소체계
5.1. 러시아어 자음의 음소체계
러시아어 자음의 음소 수는 32개: п-п’, б-б’, ф-ф’, в-в’, м-м’, т-т’, д-д’, с-с’, з-з’, ц, н-н’, л-л’, ш, ж, ч, р-р’, й, к, г, х 이다. 그러나 어떤 학자들은 ш’, ж’, к’, г’, х’도 변별적 자질을 가진 하나의 음소로 보고 자음소에 포함시켜서 37개로 보기도 한다. 37개의 음소 가운데 유/무성에 따라 12쌍(24음소)이 대립을 보이고 13음소는 유/무성 대립이 없다. 37개의 음소 가운데 경/연자음 대립에 따라 15쌍(30음소)이 대립을 보이고 7음소는 이러한 자질의 대립이 없다. 이것을 도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도표13>
<п> ㅡ <б> <ф> ㅡ <в> <т> ㅡ <д> <с> ㅡ <з> <к> ㅡ <г>
<п’> ㅡ <б’> <ф’> ㅡ <в’> <т’> ㅡ <д’> <с’> ㅡ <з’> <к’> ㅡ <г’>
<м> <л> <н> <р> <х>
<ш> ㅡ <ж> <щ> ㅡ <ж> <ц> <ч> <й>
<м’> <л’> <н’> <р’> <х’>
5.2. 러시아어 모음의 음소체계
러시아어의 모음의 음소는 ‘중화(иейтрализация:neutralization)’가 발생하는 양상에 따라 혹은 상호관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도표화할 수 있다.
<도표1>
음소
위치
<у> <и> <э> <о> <а>
비강세폐음절
강세음절 바로 앞의 비강세음절의 경자음 뒤
강세음절 바로 앞 음절 이외의 비강세음절로 경자음 뒤
비강세음절 연자음 뒤
[у] [и] [а]
[у] [ы] [а]
[у] [ы] [ъ]
[у] [и]
[참고 문헌]
1. ЯРЦЕВА, В. Н.(1990),ЛИНГВИСТИЧЕСКИЙ ЭНЦИКЛОПЕДИЧЕСКИЙ СЛОВАРЬ[l'ingv'ist'ijesk‘ij enc'iklop'id'ijeskij slovar'] - <언어학 백과사전>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in Russian)
2. ОВСИЕНКО, Ю.Г.(1989), РУССКИЙ ЯЗЫК ДЛЯ НАЧИНАЮЩИХ[russk‘ij izk dlja nainajuix] - <초보자들을 위한 러시아어>
<<РУССКИЙ ЯЗЫК>>, МОСКВА. (in Russian)
3. G. I. KOPILOVA y T. A. RAMSINA(1975), MANUAL DE LENGUA RUSA para espanoles e hispanoamericanos - <스페인과 남미인들을 위한 러시아어 교본>
EDITORIAL ARIEL, BARCELONA.
(in Spanish)
4. S. KHAVRONINA(1992), RUSSIAN AS WE SPEAK IT, RUSSKY YAZYK PUBLISHERS, MOSCOW. (in English)
5. EDNA ANDREWS(2001), RUSSIAN, LINCOM EUROPA. (in English)
6. 표상용(1996), 노어학개론, 신아사.
7. 강흥주 & 강덕수(1992), 러시아어사, 민음사.
любить[l'jub'it'](사랑하다)
ф
шкафы[kaf](장롱들)
физика[f'iz'ik](물리학)
х
холод[xolt](추위)
стихи[st'ix'i](시들:poems)
ж
журнал[urnal](잡지)
жёлтый[joltj](노란/황색의)
ш
шапка[alk](모자)
шёлк[jolk](비단)
ц
улица[yl'ic·a](거리)
цифра[cfr](숫자)
ч
час[as](시간)
читать[itat'](읽다)
щ
щука[uk](창꼬치)
ещё[ijo](여전히/아직)
й
йод[jot](요오드)
паранойя[prnoji](편집증)
유/무성화 된 자음의 발음
<도표11>
단어의 끝 / 무성화 된 자음 앞에서
유성화 된 자음 앞에서
문자
동화
예
문자
동화
예
б[b]
[p]
гриб[gr'ip](버섯)
голубка[galupk]
(암비둘기)
п[p]
[b]
суп был[subbl]
(수프가 있었다)
в[v]
[f]
нрав[nraf](기분)
завтра[zaftr](내일)
ф[f]
[v]
Афганистан[vgn'istan] (아프가니스탄)
г[g]
[k]
слог[slok](음절)
когти[kokt'i](발톱들)
к[k]
[g]
pюкзак[r'jugzak](배낭)
д[d]
[t]
сад[sat](정원)
лодка[lotk](보트)
т[t]
[d]
футбол[fudbol](축구)
ж[]
[]
муж[mu](남편)
ложка[lok](스푼)
ш[]
[]
наш дом[nadom](우리 집)
з[z]
[s]
мороз[maros](서리)
узкий[uskij](좁은)
с[s]
[z]
cдоба[zdob](맛내는 재료)
러시아어에는 씌어진 대로 발음할 수 없는 자음의 결합체들이 여럿 있다. 아래의 도표 참조하라.
자음 결합체를 읽는 방법
<도표12>
결합
발음
예
발음되지 않는 자음과의 결합
здн[zdn]
зн[zn]
праздник[prazn'ik](휴일)
рдц[rdc]
рц[rc]
сердце[s'jerci](마음)
лнц[lnc]
нц[nc]
солнце[sonci](태양)
стн[stn]
сн[sn]
лестница[l'jesn'ic·a](사닥다리)
вств[vstv]
ств[stv]
чувство[ustv](기분)
다른 결합
жч[]
щ[]
мужчина[muin](남자)
зч[z]
извозчик[izvoik](마부/운송업자)
сч[s]
счастье[ast'i](행복)
чт[t]
шт[t]
что[to](무엇)
чн[n]
шн[n]
конечно[kan'jen](물론)
тц[tc]
ц[c/ts]
вкратце[fkraci](간단히)
дц[dc]
двадцать[dvacat'](20)
тч[t]
ч[]
лётчик[ljoik](비행조종사)
дч[d]
докладчик[daklaik](기자)
тся[ts'ja]
цца[cca]
учится[uicca](그는 공부한다)
ться[t's'ja]
учиться[uicca](연구하다)
5. 러시아어 음소체계
5.1. 러시아어 자음의 음소체계
러시아어 자음의 음소 수는 32개: п-п’, б-б’, ф-ф’, в-в’, м-м’, т-т’, д-д’, с-с’, з-з’, ц, н-н’, л-л’, ш, ж, ч, р-р’, й, к, г, х 이다. 그러나 어떤 학자들은 ш’, ж’, к’, г’, х’도 변별적 자질을 가진 하나의 음소로 보고 자음소에 포함시켜서 37개로 보기도 한다. 37개의 음소 가운데 유/무성에 따라 12쌍(24음소)이 대립을 보이고 13음소는 유/무성 대립이 없다. 37개의 음소 가운데 경/연자음 대립에 따라 15쌍(30음소)이 대립을 보이고 7음소는 이러한 자질의 대립이 없다. 이것을 도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도표13>
<п> ㅡ <б> <ф> ㅡ <в> <т> ㅡ <д> <с> ㅡ <з> <к> ㅡ <г>
<п’> ㅡ <б’> <ф’> ㅡ <в’> <т’> ㅡ <д’> <с’> ㅡ <з’> <к’> ㅡ <г’>
<м> <л> <н> <р> <х>
<ш> ㅡ <ж> <щ> ㅡ <ж> <ц> <ч> <й>
<м’> <л’> <н’> <р’> <х’>
5.2. 러시아어 모음의 음소체계
러시아어의 모음의 음소는 ‘중화(иейтрализация:neutralization)’가 발생하는 양상에 따라 혹은 상호관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도표화할 수 있다.
<도표1>
음소
위치
<у> <и> <э> <о> <а>
비강세폐음절
강세음절 바로 앞의 비강세음절의 경자음 뒤
강세음절 바로 앞 음절 이외의 비강세음절로 경자음 뒤
비강세음절 연자음 뒤
[у] [и] [а]
[у] [ы] [а]
[у] [ы] [ъ]
[у] [и]
[참고 문헌]
1. ЯРЦЕВА, В. Н.(1990),ЛИНГВИСТИЧЕСКИЙ ЭНЦИКЛОПЕДИЧЕСКИЙ СЛОВАРЬ[l'ingv'ist'ijesk‘ij enc'iklop'id'ijeskij slovar'] - <언어학 백과사전>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in Russian)
2. ОВСИЕНКО, Ю.Г.(1989), РУССКИЙ ЯЗЫК ДЛЯ НАЧИНАЮЩИХ[russk‘ij izk dlja nainajuix] - <초보자들을 위한 러시아어>
<<РУССКИЙ ЯЗЫК>>, МОСКВА. (in Russian)
3. G. I. KOPILOVA y T. A. RAMSINA(1975), MANUAL DE LENGUA RUSA para espanoles e hispanoamericanos - <스페인과 남미인들을 위한 러시아어 교본>
EDITORIAL ARIEL, BARCELONA.
(in Spanish)
4. S. KHAVRONINA(1992), RUSSIAN AS WE SPEAK IT, RUSSKY YAZYK PUBLISHERS, MOSCOW. (in English)
5. EDNA ANDREWS(2001), RUSSIAN, LINCOM EUROPA. (in English)
6. 표상용(1996), 노어학개론, 신아사.
7. 강흥주 & 강덕수(1992), 러시아어사, 민음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