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칸트의 인식론
1) 칸트의 구성이론
2)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2. 칸트의 윤리학
1. 선의지
2. 실천이성
3. 실천이성의 절대적 법칙(실천법칙)
4. 선천적 입법의 형식(실천이성의 근본법칙)
5. 가언명령과 정언명령
6. 칸트 윤리학의 특색
3. 칸트의 인식론와 윤리설에 대한 느낌
1) 칸트의 구성이론
2)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2. 칸트의 윤리학
1. 선의지
2. 실천이성
3. 실천이성의 절대적 법칙(실천법칙)
4. 선천적 입법의 형식(실천이성의 근본법칙)
5. 가언명령과 정언명령
6. 칸트 윤리학의 특색
3. 칸트의 인식론와 윤리설에 대한 느낌
본문내용
그리고 그 도덕성은 그 자체가 옳은 것이기 때문에 그것을 실천해야 하는 것이다. 항상 지킬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이런 점들을 마음속에 담고는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대학에 입학해서 말로만의 외형적인 자유만을 외칠 것이 아니라 내 행동을 조절할 수 있는 자유를 올바로 사용함으로써 겉으로 보기에도 바른 행동이 나오고 내면적으로도 성숙한 사람이 되어야겠다고 다짐했다. 또 내가 행위의 주체라는 생각을 가지고 항상 생활을 반성하고 생각 없이 사는 것이 아니라 내가 어떤 도덕성을 갖느냐에 따라 내 행동이 달라지므로 앞으로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는 태도를 지녀야 할 것 같다.
그런데 한가지, 정언명령에 대해서 조사하는 중에 그에 대한 비판도 보았는데 정언 명령은 가언 명령에서 나왔다고 할 수 있다고 한다. 예를 들어 `만일 누군가 거짓말을 한다면 그는 손해를 끼치게 될 것이다'라는 가언 명령을 토대로 `거짓말을 하지 말라'라는 정언명령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었다. 이런 비판에 대해서는 솔직히 나도 고개가 끄덕여졌다.
선하게 산다는 것이 무엇이냐고 물으면 나는 우물거렸을 것이다. 그리고 우리가 왜 선하게 살아가야 하는 지에 대해 알지 못하고 그냥 살아왔다. 하지만 칸트를 알게 된 지금 묻는다면 우리는 이성이 있고 그 이성에 따라 보편적인 어떤 것, 즉 선에 이르러야 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선한 일을 함에 있어서 결과를 중시하는 것이 아니라 그 선한 일을 하기 위해 선한 동기를 지니는 것이 도덕 법칙에 대한 진정한 의무인 것이다. 그리고 이 사실은 요즘 같이 각박한 세상에서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도 깨달았다.
그런데 한가지, 정언명령에 대해서 조사하는 중에 그에 대한 비판도 보았는데 정언 명령은 가언 명령에서 나왔다고 할 수 있다고 한다. 예를 들어 `만일 누군가 거짓말을 한다면 그는 손해를 끼치게 될 것이다'라는 가언 명령을 토대로 `거짓말을 하지 말라'라는 정언명령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었다. 이런 비판에 대해서는 솔직히 나도 고개가 끄덕여졌다.
선하게 산다는 것이 무엇이냐고 물으면 나는 우물거렸을 것이다. 그리고 우리가 왜 선하게 살아가야 하는 지에 대해 알지 못하고 그냥 살아왔다. 하지만 칸트를 알게 된 지금 묻는다면 우리는 이성이 있고 그 이성에 따라 보편적인 어떤 것, 즉 선에 이르러야 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선한 일을 함에 있어서 결과를 중시하는 것이 아니라 그 선한 일을 하기 위해 선한 동기를 지니는 것이 도덕 법칙에 대한 진정한 의무인 것이다. 그리고 이 사실은 요즘 같이 각박한 세상에서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도 깨달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