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 실천이성
2. 도덕률
3. 선의지
4. 정언명법
5. 순수실천이성의 원칙
6. 목적의 왕국
결어
본론
1. 실천이성
2. 도덕률
3. 선의지
4. 정언명법
5. 순수실천이성의 원칙
6. 목적의 왕국
결어
본문내용
물들과는 달리 선의지에 의해 행동하여야만 할까. 왜 내가 배고플 때, 남의 굶주림을 아랑곳하지 않고 내 배만 채울 수 없는 것일까. 그것의 인간의 자율성, 즉 "자유의지" 때문이다. 자연물이나 인간의 육체는 인과율의 결정론에 따르지만, 인간은 자유로운 의지를 가지고 있어서, 자연법칙으로부터 어느 정도 자유로울 수 있다. 그래서 칸트는, 우리가 스스로의 행동을 선택할 수 있는 존재이기에 우리는 도덕적으로 선하게 행동해야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선의지의 정언명령이라는 실천이성의 법칙은 다음과 같은 객관적으로 타당한 실천명령을 내놓는다 : "너 자신의 인격에서나 다른 모든 사람의 인격에서 인간(성)을 목적으로서 <대하고>, 결코 한갓 수단으로서 사용치 않도록 행위하라." (≪도덕형이상학 정초≫, Ⅳ-429)
선의지의 정언명령이라는 실천이성의 법칙은 다음과 같은 객관적으로 타당한 실천명령을 내놓는다 : "너 자신의 인격에서나 다른 모든 사람의 인격에서 인간(성)을 목적으로서 <대하고>, 결코 한갓 수단으로서 사용치 않도록 행위하라." (≪도덕형이상학 정초≫, Ⅳ-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