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44장. 동물 행동의 발달과 구조
45장. 행동의 적응
45장. 행동의 적응
본문내용
개체는 같은 대립유전자를 가진 타 개체를 본능적으로
식별함.
<적대 행동>
- 같은 종 구성원들내에서 자주 발생.
- 공격, 위협, 복종 행위 등 광범위한 행동 양상으로 나타남.
#싸움
- 서식지에 살며 같은 먹이를 구하는 두 경쟁 개체 사이(보통 같은 종)에서 일어남.
- 짝짓기에 대한 경쟁은 같은 종 내의 동성간에 일어남.
*종간 싸움: 다른 종을 제거하기 위한 행동.
: 같은 종의 경우 살상을 피하는 것의 이점.
:: 당사자들이 물리적 해를 입지 않음
:: 같은 유전자를 지니고 있을지도 모를 경쟁자를 살려둠. →생식의 단절 가능
성 방지됨.
- 스미스: 동물의 싸움을 '진화적으로 안정된 전략'으로 설명함.
: 다른 모든 행동 양상보다 우위에 있는 선천적 행동양상은 새로운 행동양상의
침입에 대하여 안정되게 진화됨.
: 개체군 내에서 상황에 따라 사용되는 가장 안정된 2개의 행동작전 발견.
* 보복전략 - 해를 입은 정도에 따라 보복하는 작전. (장기적으로 볼 때 가장 효
과적이며 흔한 행위.)
* 부르주아 전략 - 상이한 규칙에 의해 진행, 보족 작전보다 어떤 면에서는 더욱
효과적.
<사회적 행동>
#협동 : 종내 또는 종간 사이에서 모두 발생할 수 있다.
예) 종간 협동- 코뿔소와 진드기잡이새, 종내 협동- 돌고래, 집단협동- 야크
: 지능을 가진 동물은 협동을 통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함.- 꿀벌 군체.
#공생 : 두 종이 긴밀한 관계를 맺고 사는 경우.
-상리공생: 공생관계에 있는 종들이 모두 이로운 관계에 있는 것.
예) 소와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분해효소 포함)
-편리공생: 한 종에게는 이득이 되지만 한 종에게는 득도 실도 없는 공생관계.
예) 소화 황로의 관계
<이타주의>
- 한 개체가 다른 개체에게 득이 되도록 행동하면서 그 대가를 스스로 충당하는 행위.
- 이타주의의 유전 메카니즘
: 이타주의적 행위는 대개 유전자를 서로 공유하고 있는 관련 집단 내의 개체간에 이루
어지는 행동. → 이타주의는 비교적 안정된 개체군 내의 근친간에 가장 높은 비율로 나
타남.
- 할데인에 의해 발달, 해밀턴에 의해 더욱 확대됨. → 사회성 곤충(꿀벌, 종이벌레)의 극
단적 이기주의 설명.
- 트리버스: 상호이타주의 (모든 이타주의적 행위는 되돌아온 어떤 이익을 기대하면서
이루어짐.)
<사회생물학>
- 진화의 원리를 동물의 사회행동 연구에 접목시킨 학문.
- 행동에 대한 궁극적 요인의 영향 강조.
- 사회 생활의 적응적 조건
* 집단서식- 동물 집단의 행동은 한 개체가 먹이를 찾는 것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 집단방어- 많은 수가 모여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포식자를 혼란에 빠뜨릴 수 있다.
* 이기적 무리의 효과- 포식자에게 잡힐 확률을 다른 피식자를 방패삼아 기회를 줄임.
* 경계의 증가- 눈이나 귀가 많을수록 포식자의 접근을 잘 경계함.
* 생식적 조정 - 집단이 동시에 출산하도록 생식활동을 조절함.
* 어미와 새끼간의 상호이익 - 생존과 번식에 훨씬 유리하게 작용됨.
식별함.
<적대 행동>
- 같은 종 구성원들내에서 자주 발생.
- 공격, 위협, 복종 행위 등 광범위한 행동 양상으로 나타남.
#싸움
- 서식지에 살며 같은 먹이를 구하는 두 경쟁 개체 사이(보통 같은 종)에서 일어남.
- 짝짓기에 대한 경쟁은 같은 종 내의 동성간에 일어남.
*종간 싸움: 다른 종을 제거하기 위한 행동.
: 같은 종의 경우 살상을 피하는 것의 이점.
:: 당사자들이 물리적 해를 입지 않음
:: 같은 유전자를 지니고 있을지도 모를 경쟁자를 살려둠. →생식의 단절 가능
성 방지됨.
- 스미스: 동물의 싸움을 '진화적으로 안정된 전략'으로 설명함.
: 다른 모든 행동 양상보다 우위에 있는 선천적 행동양상은 새로운 행동양상의
침입에 대하여 안정되게 진화됨.
: 개체군 내에서 상황에 따라 사용되는 가장 안정된 2개의 행동작전 발견.
* 보복전략 - 해를 입은 정도에 따라 보복하는 작전. (장기적으로 볼 때 가장 효
과적이며 흔한 행위.)
* 부르주아 전략 - 상이한 규칙에 의해 진행, 보족 작전보다 어떤 면에서는 더욱
효과적.
<사회적 행동>
#협동 : 종내 또는 종간 사이에서 모두 발생할 수 있다.
예) 종간 협동- 코뿔소와 진드기잡이새, 종내 협동- 돌고래, 집단협동- 야크
: 지능을 가진 동물은 협동을 통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함.- 꿀벌 군체.
#공생 : 두 종이 긴밀한 관계를 맺고 사는 경우.
-상리공생: 공생관계에 있는 종들이 모두 이로운 관계에 있는 것.
예) 소와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분해효소 포함)
-편리공생: 한 종에게는 이득이 되지만 한 종에게는 득도 실도 없는 공생관계.
예) 소화 황로의 관계
<이타주의>
- 한 개체가 다른 개체에게 득이 되도록 행동하면서 그 대가를 스스로 충당하는 행위.
- 이타주의의 유전 메카니즘
: 이타주의적 행위는 대개 유전자를 서로 공유하고 있는 관련 집단 내의 개체간에 이루
어지는 행동. → 이타주의는 비교적 안정된 개체군 내의 근친간에 가장 높은 비율로 나
타남.
- 할데인에 의해 발달, 해밀턴에 의해 더욱 확대됨. → 사회성 곤충(꿀벌, 종이벌레)의 극
단적 이기주의 설명.
- 트리버스: 상호이타주의 (모든 이타주의적 행위는 되돌아온 어떤 이익을 기대하면서
이루어짐.)
<사회생물학>
- 진화의 원리를 동물의 사회행동 연구에 접목시킨 학문.
- 행동에 대한 궁극적 요인의 영향 강조.
- 사회 생활의 적응적 조건
* 집단서식- 동물 집단의 행동은 한 개체가 먹이를 찾는 것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 집단방어- 많은 수가 모여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포식자를 혼란에 빠뜨릴 수 있다.
* 이기적 무리의 효과- 포식자에게 잡힐 확률을 다른 피식자를 방패삼아 기회를 줄임.
* 경계의 증가- 눈이나 귀가 많을수록 포식자의 접근을 잘 경계함.
* 생식적 조정 - 집단이 동시에 출산하도록 생식활동을 조절함.
* 어미와 새끼간의 상호이익 - 생존과 번식에 훨씬 유리하게 작용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