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친일문학의 예(이광수, 서정주)
2. 친일문학에 대한 나의 의견
2. 친일문학에 대한 나의 의견
본문내용
력과 명성이 너무도 크기 때문에 과거의 잘못에 대한 용기있고 진실한 반성이 필요해지는 것이다. 이 글이 그의 진면목을 드러내 참된 미당의 시인됨을 밝히기에는 처음부터 '당랑거철(螳螂拒轍)'의 형국을 면하기 어려운 것이겠지만, 역사의 엄중함을 신뢰한다면, 그의 시와 시인됨이 온전히 하나로 묶여, 덜고 보탬이 없이 객관적으로 조명받을 때가 반드시 있으리라고 믿는다. 이러한 미당을 분리해서 볼 필요가 있을까? 오히려 그의 시는 이제야 비로써 올바른 평가작업을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진정한 미당 비평, 사회와 예술의 분리, 저자와 텍스트의 분리, 민족국가간의 분리의 벽을 부수는 작업은 방금 시작되었고, 계속 이어질 것이다.
이미 고인이 된 사람이지만 그를 통해 우리는 우리의 과거와 미래에 대해 생각해 본다.
진정한 미당 비평, 사회와 예술의 분리, 저자와 텍스트의 분리, 민족국가간의 분리의 벽을 부수는 작업은 방금 시작되었고, 계속 이어질 것이다.
이미 고인이 된 사람이지만 그를 통해 우리는 우리의 과거와 미래에 대해 생각해 본다.
추천자료
[현대문학사] 1910년대 비평 문학
한국 아동 문학사의 전개 및 아동문학의 문제점과 나아가야할 방향
문학작품 정리
[현대문학사]현대문학의 어제와 오늘- 기말과제
동인지 문학의 등장과 근대문학의 지형변화 1
식민지상황과 문학적 대응, 근대적 주체와 문학양식의 발견
[이태준][이태준의 문학][여성상]이태준과 그의 문학, 이태준의 생애, 이태준의 작품에 나타...
한국문학작품의 정신
한국현대문학
현대문학사를 연대별로 정리
서사문학교육
시, 소설, 평론 중심으로 본 해방기 문학 (1945-50년대) -해방의 소용돌이 속 민족 문학을 바...
[1910년대][정부수립운동][문학][동아시아][노동단체]1910년대의 정부수립운동, 1910년대의 ...
[채만식][문학세계][풍자소설][치숙][명일]채만식의 생애, 채만식의 평가, 채만식의 문학세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