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업가 정신과 기업가 비교
•기업가 정신이란?
•성공 및 실패한 기업가의 특성 비교
▲Luciano Benetton
•선정배경
•출생 및 성장
•가 족
▲Benetton社의 연구와 성공요인
•Benetton社
•성공요인
▲기업의 사회적 책임
•사회적 책임
•사회감사
*참고문헌*
•기업가 정신이란?
•성공 및 실패한 기업가의 특성 비교
▲Luciano Benetton
•선정배경
•출생 및 성장
•가 족
▲Benetton社의 연구와 성공요인
•Benetton社
•성공요인
▲기업의 사회적 책임
•사회적 책임
•사회감사
*참고문헌*
본문내용
급 주문을 하면 제품을 7일 이내에 각 매장에 배송
『항공 우송료는 재고에서의 절감과 고객이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물건을 제공함으로써 생기는 판매의 증가에 비하면 그리 중요한 비용이 아니 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
우선 베네통사의 CEO인 베네통에 대해 살펴보았다. 하지만 그룹내의 사회적인 환원이나, 사회에대한 책임부분은 알아볼 방법이 없어, 일반 기업의 그리고 전문경영인의 사회에 대한 책임 및 사회감사에 대해 일반적으로 알아보려고 한다.
기업 또는 경영자의 사회적 책임이란, 경영자가 그의 의사결정과정에서 모든 이해자집단에 미치게 될 의사결정의 영향력을 고려하고, 그 이해자집단들에게 최선의 결과가 주어질 수가 있는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노력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주요한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회적 책임>
1. 기업 유지 및 존속에 대한 책임
오늘날의 기업은 지배주주의 사적 소유물이라고 하기보다는 오히려 전체사회를 구성하는 하나의 구성원으로서 존재하고 있다. 즉 기업은 수많은 주주의 출자와 그 기업에서 생활의 원천을 구하는 많은 종업원과 또 많은 고객에 의하여 유지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기업은 어느 한 개인의 것이 아니고 사회의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적이고 공익적인 차원에서 유지되고 성장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만약 이와 같은 공공성을 갖는 기업이 계속기업(going concern)으로서 유지?존속될 수 없을 때, 다시 말해서 그것이 파산될 때 국민경제 전체에 대해서 갖게 되는 손실은 말할 것도 없이 크다. 기업유지를 위한 적정한 수익의 취득과 배분이 계속적으로 수행되지 않으면 안 되는데, 여기에서 기업의 유지를 위하여 필요한 수익은 제 3자의 부당한 손실에서가 아니라 경영자의 합리적인 경영관리와 창조적 기능에 의해서 얻어지는 것이라야 할 것이다.
2. 이해자집단에 대한 이해조정책임
전술한 바와 같이 이해자집단이란 기업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인 주요환경요인을 말한다. 예를 들면, 경영자는 주주에 대한 배당지급, 채권자에 대한 확실한 원금과 이자의 지급, 노동자에 대한 좋은 노동조건의 제공, 소비자에 대한 제품과 서비스의 제공, 지역사회에 대한 협력 등을 통하여 이들의 요구에 대응해나가는 것을 사회적 책임의 수행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이해자집단의 이해는 서로 상반되는 것이 많으며, 이들의 이해가 충돌될 때는 매우 복잡하고 곤란한 문제가 생기게 된다. 그러므로 이들 이해자집단의 이해조정문제가 경영자의 사회적 책임의 중요과제가 된다.
3. 후계자육성의 책임
기업이 계속기업으로서 성장?발전하기 위해서는 후계자를 적극적으로 육성하여야 한다. 내일의 기업경영을 담당할 유능한 경영자의 양성 없이는 기업성장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후계자의 양성문제는 오늘날의 경영자의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 되는 것이다.
4. 정부에 대한 책임
현대경영은 국가의 제 법규나 규제의 영역에서 벗어나는 경영활동은 생각할 수 없다. 정부를 의식한다는 것은 곧 국민을 의식한다는 것이며 이것은 기업활동의 대전제이기도 하다. 거래와 관계되는 일체의 법규, 즉 민법이나 상법 등을 보다 잘 준수하고 정부가 행하는 일에 보다 적극적으로 협력할 수 있을 때 기업의 사회적 책임도 다하는 셈이 된다.
<사회감사>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는 사회적 성과가 어떻게 평가되어야 할 것인가하는 문제를 제기한다. 사회감사(Social audit)라고 하는 개념은 보웬(H.R Bowen)에 의해서 처음 제기되었다. 사회감사는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의 활동을 조직적으로 평가하고 보고하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고, 사회감사는 기업의 사회에 대한 책임이행도와 공헌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행된다. 한 걸음 더 나아가 데이비스(K.Davis)와 블롬스트롬(R.Blomstrom)은 사회감사를 조직이 실현한 경제적 성과가 아닌 사회적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시스템적 연구라고 정의하고, 그것은 생활의 경제적 질(economic Quality of life)이 아닌, 생활의 사회적 질(social quality of life)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한다.
이 같은 사회감사를 할 경우, 그것은 사회적 성과(social performance)를 제고시킨다고 그들은 주장한다. 그러나 사회감사에 무엇이 포함되어야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일반적으로 이해자집단의 이해조정, 그리고 또 다른 영역의 요구자의 기대에 대응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품 및 기술적 성과, 경제적 성과, 고용효과, 환경, 자원, 지역사회, 정부, 국제무역의 발전 등이다.
또 다른 문제는 사회적 성과를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이다. 하나의 방법으로, 기업이 각종 분야에 대해 지출한 금액이 얼마인가로 측정하는 것은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비용만으로는 그로 인한 사회적 결과가 무엇이라는 것을 제시해주지 못하기 때문에 불충분하다. 뿐만 아니라. 기업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반영해주는 자료를 어떻게 수집하고 제시해야 할 것인가 하는 것도 어려운 문제이다. 이와 같이 사회감사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뒤따르지만, 기업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사회감사와 비슷한 개념으로 기업사회보고(corporate social reporting)또는 기업의 사회회계(corporate social accounting)라는 것이 있다. 이것은 기업이 사회의 요구에 대응하여 어느 정도의 사회적 성과와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였나 하는 것을 사회에 공시하는 것이다. 다시 말한다면, 이는 기업의 사회적 공헌도에 관한 정보를 공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업이 올바른 사회감사를 받으려면 사회구성집단의 수용가능한 기대를 확인하고 이의 강도와 방향을 평가하여 이에 어느 정도 반응을 할 것인가를 결정하여야만 한다.
<참 고>
<문헌>
1. 중소기업론, 한정화외, 경문사, 2000
2. 루치아노 베네통, 베네통이야기, 명진출판, 1993
3. 대구대학교 이재규 교수의 논문
<신문 및 인터넷>
1. 베네통 그룹 홈페이지(www.benetton.com)
2. 네이버 지식검색 (www.naver.com)
『항공 우송료는 재고에서의 절감과 고객이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물건을 제공함으로써 생기는 판매의 증가에 비하면 그리 중요한 비용이 아니 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
우선 베네통사의 CEO인 베네통에 대해 살펴보았다. 하지만 그룹내의 사회적인 환원이나, 사회에대한 책임부분은 알아볼 방법이 없어, 일반 기업의 그리고 전문경영인의 사회에 대한 책임 및 사회감사에 대해 일반적으로 알아보려고 한다.
기업 또는 경영자의 사회적 책임이란, 경영자가 그의 의사결정과정에서 모든 이해자집단에 미치게 될 의사결정의 영향력을 고려하고, 그 이해자집단들에게 최선의 결과가 주어질 수가 있는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노력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주요한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회적 책임>
1. 기업 유지 및 존속에 대한 책임
오늘날의 기업은 지배주주의 사적 소유물이라고 하기보다는 오히려 전체사회를 구성하는 하나의 구성원으로서 존재하고 있다. 즉 기업은 수많은 주주의 출자와 그 기업에서 생활의 원천을 구하는 많은 종업원과 또 많은 고객에 의하여 유지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기업은 어느 한 개인의 것이 아니고 사회의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적이고 공익적인 차원에서 유지되고 성장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만약 이와 같은 공공성을 갖는 기업이 계속기업(going concern)으로서 유지?존속될 수 없을 때, 다시 말해서 그것이 파산될 때 국민경제 전체에 대해서 갖게 되는 손실은 말할 것도 없이 크다. 기업유지를 위한 적정한 수익의 취득과 배분이 계속적으로 수행되지 않으면 안 되는데, 여기에서 기업의 유지를 위하여 필요한 수익은 제 3자의 부당한 손실에서가 아니라 경영자의 합리적인 경영관리와 창조적 기능에 의해서 얻어지는 것이라야 할 것이다.
2. 이해자집단에 대한 이해조정책임
전술한 바와 같이 이해자집단이란 기업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인 주요환경요인을 말한다. 예를 들면, 경영자는 주주에 대한 배당지급, 채권자에 대한 확실한 원금과 이자의 지급, 노동자에 대한 좋은 노동조건의 제공, 소비자에 대한 제품과 서비스의 제공, 지역사회에 대한 협력 등을 통하여 이들의 요구에 대응해나가는 것을 사회적 책임의 수행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이해자집단의 이해는 서로 상반되는 것이 많으며, 이들의 이해가 충돌될 때는 매우 복잡하고 곤란한 문제가 생기게 된다. 그러므로 이들 이해자집단의 이해조정문제가 경영자의 사회적 책임의 중요과제가 된다.
3. 후계자육성의 책임
기업이 계속기업으로서 성장?발전하기 위해서는 후계자를 적극적으로 육성하여야 한다. 내일의 기업경영을 담당할 유능한 경영자의 양성 없이는 기업성장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후계자의 양성문제는 오늘날의 경영자의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 되는 것이다.
4. 정부에 대한 책임
현대경영은 국가의 제 법규나 규제의 영역에서 벗어나는 경영활동은 생각할 수 없다. 정부를 의식한다는 것은 곧 국민을 의식한다는 것이며 이것은 기업활동의 대전제이기도 하다. 거래와 관계되는 일체의 법규, 즉 민법이나 상법 등을 보다 잘 준수하고 정부가 행하는 일에 보다 적극적으로 협력할 수 있을 때 기업의 사회적 책임도 다하는 셈이 된다.
<사회감사>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는 사회적 성과가 어떻게 평가되어야 할 것인가하는 문제를 제기한다. 사회감사(Social audit)라고 하는 개념은 보웬(H.R Bowen)에 의해서 처음 제기되었다. 사회감사는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의 활동을 조직적으로 평가하고 보고하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고, 사회감사는 기업의 사회에 대한 책임이행도와 공헌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행된다. 한 걸음 더 나아가 데이비스(K.Davis)와 블롬스트롬(R.Blomstrom)은 사회감사를 조직이 실현한 경제적 성과가 아닌 사회적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시스템적 연구라고 정의하고, 그것은 생활의 경제적 질(economic Quality of life)이 아닌, 생활의 사회적 질(social quality of life)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한다.
이 같은 사회감사를 할 경우, 그것은 사회적 성과(social performance)를 제고시킨다고 그들은 주장한다. 그러나 사회감사에 무엇이 포함되어야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일반적으로 이해자집단의 이해조정, 그리고 또 다른 영역의 요구자의 기대에 대응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품 및 기술적 성과, 경제적 성과, 고용효과, 환경, 자원, 지역사회, 정부, 국제무역의 발전 등이다.
또 다른 문제는 사회적 성과를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이다. 하나의 방법으로, 기업이 각종 분야에 대해 지출한 금액이 얼마인가로 측정하는 것은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비용만으로는 그로 인한 사회적 결과가 무엇이라는 것을 제시해주지 못하기 때문에 불충분하다. 뿐만 아니라. 기업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반영해주는 자료를 어떻게 수집하고 제시해야 할 것인가 하는 것도 어려운 문제이다. 이와 같이 사회감사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뒤따르지만, 기업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사회감사와 비슷한 개념으로 기업사회보고(corporate social reporting)또는 기업의 사회회계(corporate social accounting)라는 것이 있다. 이것은 기업이 사회의 요구에 대응하여 어느 정도의 사회적 성과와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였나 하는 것을 사회에 공시하는 것이다. 다시 말한다면, 이는 기업의 사회적 공헌도에 관한 정보를 공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업이 올바른 사회감사를 받으려면 사회구성집단의 수용가능한 기대를 확인하고 이의 강도와 방향을 평가하여 이에 어느 정도 반응을 할 것인가를 결정하여야만 한다.
<참 고>
<문헌>
1. 중소기업론, 한정화외, 경문사, 2000
2. 루치아노 베네통, 베네통이야기, 명진출판, 1993
3. 대구대학교 이재규 교수의 논문
<신문 및 인터넷>
1. 베네통 그룹 홈페이지(www.benetton.com)
2. 네이버 지식검색 (www.naver.com)
추천자료
피터 드러커의 미래 사회를 위한 기업가 정신
잘못된 반기업정서와 기업가 정신
이병철과 정주영의 기업가 정신 비교분석(이병철vs정주영을 읽고..)
미래사회를 이끌어 가는 기업가 정신 -서평
아산 정주영의 기업가 정신
신경정신과 전문병원 방문 보고서, 의료사회복지실천론 조사 - 기관소개, 기관에 취직하려 할...
창업가 정신과 특성) 기업가의 정의와 과업 및 일반적 특성, 창업자의 특성과 바람직하지 못...
[독후감] 결단은 칼처럼 행동은 화살처럼 -현대기업 故 정주영의 기업가 정신
정신보건 전문요원 자격기준 및 업무범위와 역할
富者 哲學 (경주 최부잣 집을 통해본 기업가 정신)
전문가의 정신건강
이상심리학이나 정신의학 전문서적을 참조하여, 정신장애에 대해 학습해보시오.
사회적 기업(社會的企業/social enterprise) 및 사회적 기업가 정신(社會的企業家精神/social...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아동학대 (兒童虐待) - 학대아동의 개념 및 정의, 학대아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