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감소의 요인과 그 대응방안-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출산감소의 요인과 그 대응방안-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연구 목적과 연구 내용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의 분석틀과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의 해석

Ⅴ. 정책적인 대응방안

Ⅵ. 결 론

본문내용

결혼 및 육아에 대한 인식 변화, 규범적생물학적인 측면에서의 홍보 및 계도, 남아선호사상에 대한 불식, 고학력자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 출산 및 육아관련 제도들의 확충, 자녀교육에 따른 경제 문제 해결, 여러 자녀 출산 가정에 대한 세제감면 및 양육비 지원 등을 제기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통계청의 개인별 전수자료에 한정된 자료만을 활용한 자료상의 한계가 있다. 즉, 분석에 투입된 독립변수들은 개인별 변수들을 총합하여 자치단체들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로 활용하였으나, 여전히 주민들의 특성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의 고유한 특성을 나타내는 지방자치단체의 취업기회나 소득수준 같은 경제적요인, 이혼건수와 같은 사회적요인, 출산에 관련된 정부정책적인 요인 등이 포함되지 않은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고유특성을 포함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질 필요성이 높다. 그리고 출산에서 중시되는 각 지방자치단체별 공교육비 및 사교육비, 자녀의 양육비 등에 대한 자료 활용이 필요하다, 사실상 이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각 자치단체별 교육과 관련된 통계자료의 구축이 요구된다.
참 고 문 헌
강은진. (1995). 출산사망력의 지리적 차이와 그 변화: 1970-1990년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지리학 논업」. 26: 77-103.
국회여성특별위원. (2001). 저출산시대의 여성정책 - 신인구정책과 여성인력 활용대책 -. 국회여성특위정책자료집.
구성렬. (1996). 「인구경제론」. 서울: 박영사.
구성렬윤석범. (1995). 한국에서의 출산과 가구의 경제활동. 「연세경제연구」. 2(2): 229-257.
권태환김태헌최진호. (1995). 「한국의 인구와 가족」. 서울: 일신사.
김 원. (1997). 「도시행정론」. 서울: 박영사.
김태헌. (1996). 농촌인구의 특성과 그변화, 1960-1995: 인구구성 및 인구이동. 「한국인구학회」 19(2): 77-105.
문현상장영식김유경. (1995). 출산 예측과 인구구조 안정을 위한 적정 산출수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서울: 대명출판사.
박병식이시경이창기. (1995). 「도시행정론」. 서울: 대영문화사.
박상태. (1996). 동아시아의 인구와 인구정책. 「서강대 동아연구」. 31: 105-144.
보건복지부. (2004). 지방자치단체 인구정책 사례집.
여정성. (1994). 기혼여성의 취업과 자녀출산에 대한 경제학적 접근. 「한국가정학회지」 32(3).
은기수. (2001). 결혼연령 및 결혼 코호트와 첫출산간격의 관계 : 최근의 낮은 출산 수준에 미치는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36(5): 105-139.
정성호. (1990). 한국에 있어서 출산조절에 관한 요인분석. 「한국사회학회」. 24: 113-160.
조남옥이형택배화옥. (1993). 인구통계적 변화: 한국에 있어서 인구가족계획의 미래의 방향. 「한국인구학회지」. 16(1): 37-58.
함주현. (2001). 출산과 노후조건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113-127.
홍문식. (1998). 출산 억제정책의 영향과 변천에 관한 고찰. 「한국인구학」21(2). 182-227.
Aguirre, Maria Sophia. (2002). Sustainable Development: Why the Focus on Pop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Economics. 29(12): 923-942.
Arora, Gomti. (1990). Social Structure and fertility. New Delhi: National Book Organization.
Berelson, B. (1971). Population Policy: Personal Note. Population Studies: A Journal of Demography. 25(2): 173-182.
Bongaarts, John. (1982). The Fertility-Inhibiting Effects of the Intermediate Variables. Studies in Familys Planning. 13. 179-189.
Cannan, E. (1986). A Study in Malthusianism. Thomas Robert Malthus: Critical Assessments. Edited by Cunningham, John, Wood. London: Croom Helm.
Davis, K. & Blake, J. (1956). Social Structure and Fertility: An Analytic Framework, Economic Development and Culture Change. 4: 205-235.
Eldridge, H. T. (1968). Population Policies: International Encyclopedia for Social Science. 12: 381-388.
Gupta, S. P. (1990). Population Growth and the Problem of Unemployment. New Delhi: Anmol Publications PVT LTD.
Jackson, William A. (1995). Population Growth: A Comparison of Evolutionary Views.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Economics. 22(6): 3-16.
Newell, Colin. (1988). Methods and Models in Demography. London: Belhaven Press.
Shrivastava, O. S. (1994). Demography and Population Studies. New Delhi: Vikas Pulishing House PVT LTD.
Weeks, John R. (1999). Population- An introduction to Concept and Issues- (7ed). Belmont: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6.04.07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31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