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소각장 최적입지 선정-Clark 주내의 쓰레기 소각장 건설 프로젝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쓰레기 소각장 입지조건

3. GIS 분석 과정 및 도구

4. GIS 분석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총인구수로 나눠 계산하였다.
부여된 점수*가중치 = 해당 지역의 점수.
각 도시의 code: 1 - Westfield (Village)
2 - Marshall (City)
3 - Martinsville (City)
4 - Casey (City)
인구밀도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얻은 결과는 <그림 14>와 같다.
도로의 접근성에 따른 가중치 분석
앞서 언급했듯이 쓰레기 운반에서 쓰레기의 량과 더불어 중요한 요소는 쓰레기 소각장과 도로의 접근성이다. 여기서 쓰레기 발생 지역과 도로의 접근성은 고려하지 않았다. 쓰레기가 발생하는 지역은 주로 도시인데 도시 내부에는 수없이 많은 큰 도로, 작은 도로가 존재하기 때문에 접근성이 충분히 높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쓰레기 운반은 철도, 항공을 이용하지 않고 주로 쓰레기 운반차량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로 교통에 매우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도로와 가까울수록 운반 경비가 절감되는 것은 물론, 악취가 나는 쓰레기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지역의 도로에 대한 데이터는 여러 교통 시설물(interchange를 포함하여 위계별 도로 등)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었다. 여기서는 road class가 4, 5, 7, 8인 도로를 고려하기로 했다.
1번 toll road의 경우 도로 사용료를 지불해야 하므로 효율성 면에서 쓰레기 운반차량이 이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가정하고, 또한 2번인 주간고속도로의 경우 각 주 사이의 이동에만 이용한다고 가정하였으므로 이를 제외시켰다. 또한 3번 interchages의 경우는 특정 지역으로 들어가는 관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제외하였다.
Query 명령을 통하여 road class가 4, 5, 7, 8인 도로를 선택하여 이를 중심으로 1000 feet 간격으로 10단계의 buffering을 하였다. 각 단계마다 앞의 경우와 같이 해당 도로와 가장 가까운 곳에는 100점으로 시작해서 가장 먼 곳에는 10점을 부여하였다. 아래 그림에서 색이 짙은 곳이 점수가 높은 지역이다.
가중치 분석 결과
두 가지 경우의 점수를 합산하여 점수가 높은 곳을 짙은 색으로 표시했다. 이 짙은 지역이 쓰레기 소각장을 건설하기에 최적지역이다.
밑의 그림의 경우 합산한 점수가 110점 이상 되는 지역을 Query를 통하여 선정한 후 shape파일로 convert한 결과이다. 합산된 점수가 가장 높은 지역의 점수는 약 143점이었다.
쓰레기 소각장의 최종입지
<그림 17>에서 가장 짙은 부분이 쓰레기 소각장을 건설하는데 최적인 지역이다. Arcview 3.2를 이용하여 분석을 하였지만 배제지역 이외의 부분과 가중치 결과와 intersect하는 과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정확한 지역을 뽑아내는 데 실패하였다. 하지만 개략적으로 어느 지역에 쓰레기 소각장을 건설하는 것이 최적인지는 알 수 있었다.
결론
앞서 Clark 주에서 쓰레기 소각장이 어디에 입지해야할지를 GIS를 이용해 분석해 보았다. 분석의 방법을 요약해보자면, 우선 여러 참고 자료를 통해 쓰레기 소각장의 입지 선정 기준을 알아보고 자연적 요인으로 인한 제외 지역, 여러 사회 시설물에 의한 제외 지역을 포함해 쓰레기 소각장이 들어 설 수 없는 지역을 색출하였다. 또한 쓰레기 운반에 따른 비용을 고려해 최적 입지를 찾고자하여 쓰레기 운반비용에 큰 영향을 미치는 두 가지 요소, 즉 발생하는 쓰레기량(인구밀도에 비례)과 도로와의 인접성을 가중치를 주어 지역별로 점수화하였다. 이 후, 이 두 자료를 합쳐 분석함으로서 쓰레기 소각장의 최적 입지를 선정하였다.
하지만 이렇게 선정된 쓰레기 소각장의 입지가 최고의 선택은 아닐 수 있다. 서론에서 언급했듯이 쓰레기 소각장의 입지를 결정하는 요소들은 수없이 많다. 사회 경제적 인자, 제도적 인자 등은 GIS에서 고려할 수 없는 부분이라 어쩔 도리가 없다 하더라도 기상 조건(풍향 등), 지질학적 특성(경사도, 암반의 강도 등) 등 자료의 부족으로 나머지 물리적인 요소에 대한 고려가 없었기 때문에 여기서 도출해 낸 입지가 최적이라고 볼 수 없고, 도출해 낸 범위보다 더욱 작아질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ArcView 3.2의 기능적 특성상, 최종적으로 도출해 낸 shape에서 각 폴리곤 당 넓이를 구할 수 없었다. 쓰레기 소각장은 쓰레기 운반 차량의 주차장, 쓰레기를 쌓아둘 임시 장소, 소각장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를 다 구비하기 위해서는 일정 넓이 이상이 되어야 하는데 ArcView 3.2에서는 여러 자료처리 이 후 면적의 계산을 지원하지 않는 관계로 이에 대한 부분을 고려하지 못해서 더욱 아쉬움이 남는다.
참고문헌
김길수. 「폐기물처리시설의 성공적인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 전주시 광역소각장 건설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4.4 (2002): 1-16.
남궁완. 『폐기물매립지 입지선정기준』. 서울: 환경과학연구협의회, 1992.
이진덕, 연상호, 김성길. 「GIS를 활용한 폐기물 매립지의 적지분석 사례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3.4 (2000): 33-49.
* 목 차
1. 서론
2. 쓰레기 소각장 입지조건
3. GIS 분석 과정 및 도구
4. GIS 분석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표 차례>
<표 1> 쓰레기 소각장의 요인에 따른 입지 인자
<그림 차례>
<그림 1> GIS분석 흐름도
<그림 2> 100년 빈도 홍수범람지역
<그림 3> 하천 주변 300m 제외지역
<그림 4> 습지 주변 300m 제외지역
<그림 5> 자연요인에 의한 제외지역
<그림 6> 공항주변 3000m 제외지역
<그림 7> 고속도로주변 300m 제외지역
<그림 8> 도심지 제외
<그림 9> 고고학적 가치지역 주변 150m 제외지역
<그림 10> 우물 주변 360m 제외지역
<그림 11> 철도주변 300m 제외지역
<그림 12> 사회기반시설물에 의한 제외지역
<그림 13> 최종 배제지역
<그림 14> 인구밀도에 따른 가중치 적용
<그림 15> 도로접근성에 따른 가중치 적용
<그림 16> 인구밀도접근성 가중치 중첩
<그림 16-2> 합산 점수가 110점 이상인 지역
<그림 17> 쓰레기 소각장 최적입지
  • 가격1,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6.04.09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34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